-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상실 경험
- 2. 외상 후 성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유희정,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59-85, 2014
4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5 서영석,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787-816, 2012
6 이윤주, "주변 사람의 죽음이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113-124, 2005
7 단두리,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8 전유진,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4 (34): 215-228, 2013
9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81-799, 2008
10 박혜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01-214, 2006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유희정,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59-85, 2014
4 안현의,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17-231, 2005
5 서영석,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787-816, 2012
6 이윤주, "주변 사람의 죽음이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3 (13): 113-124, 2005
7 단두리, "자아탄력성 및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8 전유진,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4 (34): 215-228, 2013
9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81-799, 2008
10 박혜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01-214, 2006
11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2 양귀화,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041-1062, 2014
13 임선영,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방략과 신념체계의 특성: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567-588, 2013
14 한인영,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19-441, 2011
15 김현정,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이상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289-309, 2012
17 고아름, "수용-전념 치료가 죽음관련 외상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고통, 부정적 정서수준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8 한상숙, "성인애착과 대상상실 후 성장의 관계 : 사건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의미중심적 대처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19 최선재,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4 (14): 323-341, 2013
20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1 한장미, "사후반추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불안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22 윤명숙, "부모상실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사별, 이혼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177-201, 2013
23 이선미,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547-563, 2002
24 박보경, "대학생의 탄력성, 삶의 의미,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5 김고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26 정민선, "대학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415-430, 2014
27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28 Tedeschi, R. G., "the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6
29 McCullough, M. E., "Writing about the benefit of an interpersonal transgression facilitates forgiveness" 74 : 887-897, 2006
30 Cyrulnik, B., "Warum die Libe Wunden heilt" Beltz 2006
31 Herman, J. L., "Trauma and Recovery" Basic Books 1997
32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 455-471, 1996
33 Baron, R., "The moderator-media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51 (51): 1173-1182, 1986
34 Homels, "The Social Readjustment Scale" 11 : 213-218, 1967
35 Frezier, P. A.,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ical research" 51 : 115-134, 2004
36 Bell, J. M.,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method in mental illness and illness behavior" 26 (26): 136-141, 1977
37 Lazarus, R.,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1984
38 Armeil, S., "Stre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 :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20 : 366-395, 2001
39 Janoff-Bulman, R., "Shattered assumption : Towo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The Free Press 1992
40 Janoff-Bulman, R., "Shattered assumption : Towo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The Free Press 1992
41 Martin, L. M., "Rumination thoughts: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9-209, 1996
42 Nolen-Hoeksema, S.,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100 (100): 569-582, 1991
43 Bellizzi, K. M.,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oncer survivors" 25 : 47-56, 2006
44 Nishi, D.,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of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s" 4 : 1-6, 2010
45 Janoff-Bulman, R., "Posttraumatic growth : Three explanatory models" 15 : 30-34, 2004
46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15 : 1-18, 2004
47 Linley, P. A.,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17 : 11-21, 2004
48 Rosenblatt, P., "Parent grief Narrative of loss and relationship" Brunner/Masel 2000
49 Danforth, M. M.,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 25 : 513-329, 2011
50 Leist, M., "Kinder begegnen dem Tod" Gütersloh 1979
51 Ullrich. P. M.,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24 : 244-250, 2002
52 Forsythe, C. J., "Interaction of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ful events and coping : Testing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11 (11): 473-485, 1987
53 Folkman, 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48 : 150-170, 1985
54 Fazio, R. J., "Growth through loss : promotion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10 : 221-252, 2005
55 Sofka, C, J., "Grieving days, healing days" Allen & Bacon 1997
56 Michael, S, T., "Getting unstuck : The roles of hope, finding meaning, and rumination in the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29 : 435-458, 2005
57 Terry, D. J., "Employee adjustment to stress: The role of coping resources, situational factors, and coping responses" 8 (8): 1-24, 1995
58 Johnson, D. W., "Effects of acceptance and reciprocation of self-disclosures on the development of trust" 19 (19): 411-416, 1992
59 Barret, T. W., "Development of the grief experience questionnaire" 19 : 201-215, 1989
60 Field, N. P., "Continuing Bonds in Bereavement : An Attachment Theory Based Perspective" 29 (29): 277-300, 2005
61 Affleck, G.,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 Adapta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itional underpinnings" 64 : 899-992, 1996
62 Finkelhor, D., "Children as victims of violence : A national survey" 94 : 413-420, 1994
63 Herman, J. L., "Childhood trauma in boreline personality disorder" 146 : 490-495, 1989
64 Mcfarlane, A., "Biologic model of traumatic memorie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The role of neural networks" 25 : 253-270, 2002
65 Simonsen, M., "Bereavement and loss, how an early years team helps children cope with forms of separation" 3910 (3910): 12-13, 2004
66 Park, C. L.,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64 : 71-105, 1996
67 Howard, D. W., "An exploratory study of attachment and coping for bereav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1 : 1752-, 2000
68 Calhoun, L, G., "A correlational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13 : 521-527, 2000
69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595-611, 2008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과 행복과의 관계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체험이 진로탐색과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 입양 후 파양된 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9 | 0.88 | 1.094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