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後期西洋醫學의 受容과 人體觀의 變化 = 星湖學派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90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etal chang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needed a corresponding endorsement in terms of ideological logic. The social thoughts(ideology) dominated by Chu Hsi(朱熹) Neo-Confucianism had attempted to maintain its underlying social system by adherin...

      Societal chang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needed a corresponding endorsement in terms of ideological logic. The social thoughts(ideology) dominated by Chu Hsi(朱熹) Neo-Confucianism had attempted to maintain its underlying social system by adhering to the establishment of landlordism as well as the consolidation of caste system. However, the advent of new ideas and things from the West demanded modification or complementation of the world view held by the social thoughts of Chosun Dynasty based on the Chu Hsi Neo-Confucianism.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ody derived from the Wests medieval medicine was introduced through the literature like Chuchih Chuncheng(主制群徵) as things and ideas transported from the West span through varied fields. Accounts of Chuchih Chuncheng articulated in detail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liver (肝), heart(心) and brain(腦) associated with blood.
      It is Lee yik(李瀷) that introduced enthusiastically the perspective of Chuchih Chuncheng on the human body. He could take in the discourse of the transferred Western medicine through the mediation of his own epistemology of nature that scrutiny for particulars leads to the universal.
      Furthermore, the Western medicine that he absorbed and introduced was thought to be a form of methodology by which he could look into the human body as he valued highly self-apprehension(自得) and experience (經驗), and kept open-minded toward other different thoughts. He took notice of the function of organs governing features of human as a living thing, and blood that mediated between the organs. Leeyiks accounts of the human body were fragmented and incoherent and largely based on the conventional Confucian point of view. Nontheless, he viewed the human body as a dynamic being accommodat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made room to allow for intrepreting his accounts of the human body in terms of flowing qi(游氣) and blood(血).
      It is Jeong yak-yong(丁若鏞) that developed further such way of thinking. he reviewed critically the conventional viewpoint of medicine through the Western medicine and attempted to reframe conventional medical knowledge, though to a certain extent. On the other hand, Shin hu-dam(愼後聃) and Ahn cheong-bok(安鼎福) belonging to the rightist group of Seong-ho(星湖)s school held the framework of reification(形化) that allowed for understanding that the circulation of the qi inside the human body is separated from, and thus independent of circulation of the celestial qi, though they did not get fully involved in adopting medical knowledge coming from the Western world. Unfortunately, following suppression on the Western-Studies(西學) swept away the historical occasion that could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with which to make sense of the human body as an object of the investigation of universal principles(格物)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orted Western medic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性理學的人體論과 西洋醫學論전래
      • 3. 星湖李瀷의 서양 의학론 수용
      • 4. 星湖學派의 분기와 서양 의학론의 채용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性理學的人體論과 西洋醫學論전래
      • 3. 星湖李瀷의 서양 의학론 수용
      • 4. 星湖學派의 분기와 서양 의학론의 채용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容傑, "李瀷의 認識理論?" 110 : 2001

      2 金喆凡, "靈言?勺』과 근기실학사상과의 접점 -李星湖·丁茶山을 중점으로-?" 7 : 2004

      3 朱七星, "한국실학과 동아시아 실학비교" 한국학술정보 2005

      4 여인석, "최한기의 의학사상?" 2 (2): 1993

      5 원재린,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학풍연구" 혜안(연세국학총서41) 2003

      6 금장태, "조선 후기 儒敎와 西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7 여인석, "일본의 해부학 도입과 정착 과정" 3 (3): 1994

      8 강경원, "이익-인간소외 극복의 실학자, 유학사상가총서시리즈"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1

      9 계명대학교 철학연구소,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10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 혜안 1996

      1 金容傑, "李瀷의 認識理論?" 110 : 2001

      2 金喆凡, "靈言?勺』과 근기실학사상과의 접점 -李星湖·丁茶山을 중점으로-?" 7 : 2004

      3 朱七星, "한국실학과 동아시아 실학비교" 한국학술정보 2005

      4 여인석, "최한기의 의학사상?" 2 (2): 1993

      5 원재린,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학풍연구" 혜안(연세국학총서41) 2003

      6 금장태, "조선 후기 儒敎와 西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7 여인석, "일본의 해부학 도입과 정착 과정" 3 (3): 1994

      8 강경원, "이익-인간소외 극복의 실학자, 유학사상가총서시리즈"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1

      9 계명대학교 철학연구소,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10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 혜안 1996

      11 안영상, "성호학파의 宇宙論과 도덕 실천적 心性論의 분리?" 32 : 1999

      12 강세구, "성호학통 연구" 혜안 1999

      13 강병수, "河濱 愼後聃의 學問과 思想硏究" 2001

      14 琴章泰, "東西交涉과 近代韓國思想" 한국학술정보 2005

      15 신병주, "星湖僿說의 체제와 주요 내용?" 1 : 2003

      16 金容傑, "星湖 李瀷의 哲學思想硏究"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9

      17 한우근, "星湖 李瀷 硏究"

      18 鄭昌烈, "?李瀷의 歷史理論에 관한 硏究?" 36 : 2002

      19 하성래, "?李家煥과 西學과의 관계?" 35 : 2001

      20 안영상, "?旅軒 張顯光과 星湖 李瀷의 성리설 비교 연구-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 24 : 2005

      21 여인석, "?한의학의 병리이론?" 4 (4): 1995

      22 안영상, "?퇴계학파 내 호발설의 이해에 대한 일고찰-성호·청대·대산의 논쟁 비교를 통하여-?" 115 : 2004

      23 川原 秀城(가와하라 히데키), "?최한기 기학 체계내의 과학 -혜강의 서학수용과 그 한계?" 45 : 2004

      24 안영상, "?천주교의 영혼설이 조선후기 사상계에 끼친 영향:성호, 다산, 담헌, 혜강을 중심으로" 19 : 2002

      25 盧大煥, "?조선후기의 서학유입과 서기수용론?" 83 : 1997

      26 김문용, "?조선후기 한문서학서의 사행론과 그 영향?" 16 (16): 2005

      27 김정숙, "?조선후기 서학수용과 여성관의 변화?" 20 : 2003

      28 이봉규, "?조선후기 사상사의 쟁점 1-조선후기 성리학과 실학의 관계성; 실학의 예론-성호학파의 예론을 중심으로" 24 : 2005

      29 이영택,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된 서의설?" 4 (4): 1995

      30 최동희, "?신후담의 西學辨에 관한 연구?" 15 (15): 1972

      31 이광호, "?성호 이익의 서학 수용의 경학적 기초?" 7 : 2004

      32 여인석, "?몸의 윤리학: 스피노자와 이제마에 있어 몸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 7 (7): 1998

      33 宋榮培, "?마테오 리치의 서학과 한국 실학의 현대적 의미?" 45 : 2004

      34 안영상, "?동서 문화의 융합·충돌 과정에 나타난 성호학파의 철학적 특징의 일단면-인체관에 나타난 pneuma와 心氣論을 중심으로-?" 41 : 2004

      35 여인석, "?갈레노스의 질병개념?" 12 (12): 2003

      36 김시업, "?邵南 尹東奎의 近畿學派에서의 位置?" 9 : 2005

      37 琴章泰, "?遯窩 愼後聃의 서학비판이론과 쟁점?" 20 : 2001

      38 金鍾錫, "?近畿 退溪學派 硏究를 위한 예비적 고찰-星湖 李瀷의 學問淵源과 退溪學 수용 양상?" 111 : 2002

      39 원재린, "?英·正祖代 星湖學派의 學風과 政治 志向?" 111 : 2001

      40 姜秉樹, "?河濱 愼後聃의 易學 硏究와 理解?" 16 : 2001

      41 조성을, "?朱熹와 李瀷의 歷史理論 比較-時勢·是非·實踐·王朝評價·華夷觀을 중심으로-?" 122 : 2003

      42 崔韶子, "?朝鮮後期 對淸關係와 도입된 西學의 性格?" 33 (33): 2001

      43 盧大煥, "?朝鮮後期 ‘西學中國原流說’의 전개와 그 성격?" 178 : 2003

      44 안재순, "?星湖의 西學觀?" 7 : 1999

      45 金容傑, "?星湖의 自然 認識과 理氣論 體系 變化?" 1 : 1999

      46 姜世求, "?星湖死後 星湖學統의 變遷과 性格?" 1 : 2003

      47 姜世求, "?星湖學派의 理氣論爭과 그 영향-公喜怒論爭을 중심으로-?" 17 : 2000

      48 徐鍾泰, "?星湖學派의 陽明學과 西洋科學技術?" 9 : 1997

      49 徐鍾泰, "?星湖學派의 陽明學과 實學?" 7 : 1998

      50 朴星來, "?星湖僿說속의 西洋科學?" 59 : 1985

      51 유인희, "?星湖僿說 哲學思想 -程朱理學과의 比較硏究-?" 59 : 1985

      52 李成茂, "?星湖 李瀷의 가계와 학통" 2 : 2000

      53 한예원, "?星湖 李瀷의 經世사상에 관한 일고?" 40 : 2004

      54 金弘炅, "?星湖 李瀷의 科學精神-神秘主義思想 批判을 중심으로-?" 28 : 1993

      55 具萬玉, "?星湖 李瀷의 科學思想 -과학적 자연인식-?" 9 : 2000

      56 이상익, "?星湖 李瀷의 四端七情論 -『四七新編』을 중심으로, 退溪·栗谷과 관련하여-?" 4 : 1999

      57 崔錫起, "?星湖 李瀷의 『大學』 解釋과 그 意味?" 4 : 2002

      58 서근식, "?星湖 李瀷의 『周易』 解釋에 관한 硏究" 117 : 2005

      59 姜秉樹, "?星湖 李瀷과 河濱 愼後聃의 西學談論-腦囊에 대한 認識을 중심으로-?" 6 : 2003

      60 안영석, "?星湖 性理說의 전개와 변용" 41 : 2005

      61 이성호, "?明淸西學의 朝鮮傳來와 星湖 李翼의 反應-西敎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30 : 2004

      62 趙誠乙, "?實學의 女性觀 -李瀷·丁若鏞을 中心으로-?" 20 : 2003

      63 朱漢民, "?實學과 西學의 互動 -魏源의 西學觀 및 近代 西學思潮에 대한 探析-?" 5 : 2003

      64 金鍾潤, "?嚴復의 傳統 認識 및 西學 受容의 態度?" 37 : 1997

      65 申炳周, "?19세기 중엽 李圭景의 學風과 思想?" 75 : 1994

      66 신항수, "?18세기 후반 이익 문인들의 분기와 ‘성호학’ 계승?" 8 : 2004

      67 金成潤, "?18세기 畿湖南人의 洪範이해 -星湖 李瀷과 邵南 尹東奎를 중심으로-?" 16 : 2001

      68 林宗台, "?17·18세기 서양 과학의 유입과 분야설의 변화:『星湖僿說』 ?分野?의 사상사적 위치를 중심으로?" 21 : 2003

      69 안영상, "<大學> 설을 둘러싼 성호학파의 갈등 양상과 그 의미" 한국사상문화학회 (29) : 197-230, 2005

      70 한자경, "18세기 조선 유학자들의 『천주실의』비판-성호, 하빈, 순암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69 (69): 73-102, 2005

      71 김성준, "18ㆍ19세기 조선에 전해진 서구 腦主說과 惠岡 崔漢綺의 대응" 고려대 1999

      72 최석기, "17-8세기의 學術動向과 星湖 李瀷의 經學" 경남문화연구원 16 : 4-16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
      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3 1.54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