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제공 방향 연구 =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Strategie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Resour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8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3차원·동적인 정보를 연계·통합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방적·공개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1~2015)’의 기본방향 그리고 실천적 전략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서비스를 전제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방향과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현실성 있는 프레임 제시, 그리고 3차원 지적공간정보 유형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향과 이·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에 있어서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는 물론, ‘속도’,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등 3가지 항목의 연관성 측면에서의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주요 기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4개의 등록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에 있어서는 특히, 분산된 민간 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한 기술적 측면(DB 표준화 및 호환가능성, 보안성 및 암호화)을 고려하여 3단계의 정보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방향과 관련하여서는 데이터 유형별, 서비스 대상자(공공기관, 민간기업, 개발자, 이용자)를 고려하여 웹연동과 데이터 구매 등과 같은 제공방식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에 따른 활용 방향으로서 공공기관(효율적 토지관리, 입체적 도시계획, 시설물 유지관리, 인허가 심의, 지방세 징구, 소유자 재산권보호, 방재정보 제공, 해양관리 등), 민간기업(인허가 준비, 사업성 검토, 수익률 제고, 관광단지 운영 컨텐츠 개발 등), 개발자(웹연동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수익모델 창출, 맞춤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용자(교육현장 활용, 거주지 주변 도시계획 시설 확인, 부동산 매매정보(일조권, 조망권, 경사도 등) 취득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3차원·동적인 정보를 연계·통합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방적·공개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1~2015)’의 기본방향 그리고 실천적 전략으로서 서비�...

      본 연구는 3차원·동적인 정보를 연계·통합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방적·공개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1~2015)’의 기본방향 그리고 실천적 전략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서비스를 전제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방향과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현실성 있는 프레임 제시, 그리고 3차원 지적공간정보 유형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향과 이·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에 있어서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는 물론, ‘속도’,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등 3가지 항목의 연관성 측면에서의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주요 기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4개의 등록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에 있어서는 특히, 분산된 민간 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한 기술적 측면(DB 표준화 및 호환가능성, 보안성 및 암호화)을 고려하여 3단계의 정보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방향과 관련하여서는 데이터 유형별, 서비스 대상자(공공기관, 민간기업, 개발자, 이용자)를 고려하여 웹연동과 데이터 구매 등과 같은 제공방식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에 따른 활용 방향으로서 공공기관(효율적 토지관리, 입체적 도시계획, 시설물 유지관리, 인허가 심의, 지방세 징구, 소유자 재산권보호, 방재정보 제공, 해양관리 등), 민간기업(인허가 준비, 사업성 검토, 수익률 제고, 관광단지 운영 컨텐츠 개발 등), 개발자(웹연동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수익모델 창출, 맞춤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용자(교육현장 활용, 거주지 주변 도시계획 시설 확인, 부동산 매매정보(일조권, 조망권, 경사도 등) 취득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개념 및 동향
      • 1.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의 이해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사점
      • 요약
      • Ⅰ. 서론
      • Ⅱ.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개념 및 동향
      • 1.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의 이해
      • 2.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사점
      • 3.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의 주요 환경 변화
      • Ⅲ. 3차원 지적공간정보 시스템 구축 방향
      • 1. 3차원 지적공간정보 시스템 구축 개요
      • 2.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 대상 및 방향
      • Ⅳ. 3차원 지적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및 활용 방향
      • 1. 3차원 지적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방향
      • 2. 서비스에 따른 활용 방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기, "효율적인 3차원 지적 자료취득을 위한 세밀도(LOD)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2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제11592호)"

      3 이왕무, "지적학" 신광문화사 2012

      4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제11062호)"

      5 유창호, "지적 분야의 모바일 서비스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모형 연구" 대한지적공사 42 (42): 195-212, 2012

      6 장우진, "지역성에 기반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 (20): 189-212, 2011

      7 국토해양부,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2010

      8 이왕무, "입체지적 관리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2012

      9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사회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전략" 2010

      10 이장우, "수치표고모형 기반의 입체필지 제작에 관한 연구" 대한지적공사 40 (40): 241-256, 2010

      1 조창기, "효율적인 3차원 지적 자료취득을 위한 세밀도(LOD)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2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제11592호)"

      3 이왕무, "지적학" 신광문화사 2012

      4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제11062호)"

      5 유창호, "지적 분야의 모바일 서비스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모형 연구" 대한지적공사 42 (42): 195-212, 2012

      6 장우진, "지역성에 기반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 (20): 189-212, 2011

      7 국토해양부,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2010

      8 이왕무, "입체지적 관리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2012

      9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사회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전략" 2010

      10 이장우, "수치표고모형 기반의 입체필지 제작에 관한 연구" 대한지적공사 40 (40): 241-256, 2010

      11 방송통신위원회, "소셜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2011

      12 서울특별시, "서울시 입체지적 구축사업(2009~2011)" 2011

      13 "서울부동산정보광장"

      14 전방진, "부필지 기반의 3차원 지적 등록모형 개발" 한국지적학회 25 (25): 201-218, 2009

      15 신동윤, "다중 DEM과 도화원도를 이용한 지형공간정보의 3차원 구현" 한국지적정보학회 14 (14): 65-76, 2012

      16 "국토해양부 공간정보오픈플랫폼 - 브이월드"

      17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정보 이・활용 및 유통서비스 방안 연구" 2010

      18 국토해양부, "국가공간정보체계 구축사업계획서" 2009

      19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기반의 소셜서비스 플랫폼 구축 : 지적공간정보 활용정책 개발" 2013

      20 국토해양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가격정책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2012

      21 국토해양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 설립 설명자료" 2011

      22 최원욱,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 정부의 역할"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37-45, 2012

      23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 기반의 소셜서비스 플랫폼 구축" 2012

      24 이양규, "경영정보시스템의 이해" 사이텍미디어 2007

      25 Alien Ali, "spects of 3D Cadastre - A Case study in Victoria" 2011

      26 Davis, G. B.,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cGeaw Hill 1985

      27 Erba, Diego Alfonso, "Application of 3D Cadastres as a land Policy tool, In : Land Lines" 2012

      28 Forral, J., "An Interdisciplinary 3D Cadastre Development Project in Practice" 2003

      29 신현태, "AHP기법을 활용한 지방정부의 투자유치지원시스템 고도화 추진에 관한 연구" 경인행정학회 12 (12): 323-341, 2012

      30 김영학, "4차원 토지관리의 바람직한 방향" 한국지적학회 23 (23): 219-230, 2007

      31 이동현, "4차원 지적 관련 연구의 성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4 (14): 133-151, 2012

      32 조정관, "3차원지적의 건물모형 구축을 위한 공간자료 융합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33 최원준, "3차원지적 등록방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34 김건태, "3차원 지적정보 시스템 구축"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5 김일, "3차원 지적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36 대한지리학회, "3차원 지적 온라인 서비스모델 연구" 2012

      37 김성수, "3차원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SDSS) 구축" 27-52, 2009

      38 공간정보연구원, "3D 지적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 2012

      39 이지영, "3D GIS를 기반한 입체지적정보시스템 개발" 2010

      40 Papaefthymiou Mary, "3-D Cadastre in Greece. Legal, Physical and Practical Issues Application on Santorini Island" 2004

      41 공간정보산업진흥원, "2013 오픈플랫폼 서비스 제공 계획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