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新安船 磁器와 高麗 遺蹟 出土 元代 磁器 =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and Yuan Ceramics from Ancient Goryeo Sit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안선 발굴은 1976년 10월부터 1984년 9월까지 9년간 실시되었고, 2016년은 신안선 발굴이 시작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에서의 발...

      신안선 발굴은 1976년 10월부터 1984년 9월까지 9년간 실시되었고, 2016년은 신안선 발굴이 시작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에서의 발표를 계기로, 40년간의 신안선 자기에 대한 연구사를 개관하는 것으로 이글을 시작하였다. 신안선의 자기는 일본에서 중국 문물이 유행하면서 크게 선호하던 자기였으므로 사실 한국보다는 중국과 일본의 무역자기 연구에 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국내 연구보다는 일본에서의 연구 성과가 더 풍부하다. 국내 학계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는 미흡한 편이었으며, 기념비적인 학술대회나 특별전에서 포괄적인 주제 안에서 자기는 부분적으로 소개되거나 그 내용도 개론적인 수준에 그쳤다. 고려와 원의 자기 교류는 왕실, 지배층, 민간 상인을 통한 교류가 비교적 활발했음이 문헌기록에서 발견된다. 『高麗史』 등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말, 원이 고려 청자에 대한 애호와 구입 욕구가 강했고 고려에서 상인들이 부를 축적했으며 더욱이 사기를 매매하는 상인의 신분도 상승하였다. 원으로부터는 주로 특수한 제기를 구해왔고, 원 공주에 의해 고려 왕실에 원 양식의 자기가 소량이지만 전래되었다고 짐작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 원대 자기의 출토 사례는 송·명·청대의 자기에 비해 매우 적다. 당연히 신안선의 원대 자기와 유사한 고려 유적 출토 원대 자기도 그리 많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까지 한국에서 발견, 조사된 원대 자기를 출토지별로 정리하여 비교해 보았는데, 출토지는 주로 무역선의 운항 경로였던 서해와 제주, 제주의 항파두리성과 법화사지 및 여러 유적, 충남 아산, 경기도 남양주 수종사탑 등이다. 수종사의 경우 조선 초의 사찰이지만 대표적인 원대 청자호가 출토되어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한국의 유적에서 출토된 자기의 종류는 청자, 백자, 흑유, 도기병 등 소량이며 이 가운데 용천요 청자의 비율이 가장 많다. 그릇의 종류는 대부분이 실용적인 대접, 접시, 완, 병, 저장용 도기병 등 몇 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원대에 새로 등장한 각종 형태의 연적, 인물상 등의 특이한 기형이나 露胎貼花文과 鐵斑文 같은 전형적인 원대 자기의 문양 장식은 고려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대접, 접시, 완 등을 비롯한 각종 병과 화분, 수반, 향로 등 다양한 종류의 신안선 원대 자기에 비하면 매우 간소하다. 특히 아산 온양동에서 출토된 원대 청자 8점과 백자 1점은 신안선의 자기와 같은 양식을 보이므로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신안선 자기 유형이 온양동에서 출토 된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뒤로 미루기로 한다. 신안선 자기를 제외하면, 고려가 수입한 원 자기의 수량은 적은 반면 원에 공납되거나 개인간의 교역을 통해 원에 들어간 고려 자기의 수량은 많다. 따라서 고려와 원의 관계의 실상을 깊이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원 유적에서 출토된 고려 자기에 대한 연구가 더 절실하다. 이 글이 고려 유적 출토 원 자기의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year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irst excavation of the Sinan shipwreck, which was launched in October 1976 and continued for nine years until September 1984. This paper for the international symposium incommemoration of this meaningful an...

      This year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first excavation of the Sinan shipwreck, which was launched in October 1976 and continued for nine years until September 1984. This paper for the international symposium incommemoration of this meaningful anniversary overviewed the four decades of research on the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Originally bound for Japanese consumers who had high demand for Chinese cultural products, the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provide important resources for the study of ceramics trade between China and Japan, and probably for this reason, more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Japan than in Korea. Korean academia lacked in-depth research on the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the whole picture of these ceramics were covered only partially or comprehensively along with other subjects in symposiums or special exhibitions on the Sinan shipwreck. Goryeo and Yuan (元, 1271~1368) exchanged ceramics through diplomatic relations as well as commercial trade. 『Goryeosa 高麗史』 indicates that Yuan had a strong demand for Goryeo celadon, while Goryeo’s demand for Yuan ceramics was limited to special ritual vessels in the late Goryeo period. A small number of Yuan ceramics were introduced to Goryeo by the Yuan Princess and dealers of ceramics amassed fortunes and enjoyed enhanced social status. Compared to the ceramics from the Song (宋, 960~1279), Ming (明, 1368~1344), and Qing (淸, 1636~1912) dynasties, those from the Yuan dynasty were excavated in relatively small number in ancient sites in Korea. This means that among the Yuan ceramics discovered at ancient Goryeo sites, there are not many examples comparable to the salvage from the Sinan shipwreck. Major discovery sites are located along the main route of trading ships-that is, the seabed of the Yellow Sea, the waters of Jejudo, and several historical sites on Jejudo, including the Hangpaduriseong Fortress (缸坡頭里城) and the Beophwasa Temple site (法華寺址). Other sites include A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Sujongsa Temple (水鍾寺)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It is interesting that a typical Yuan celadon jar was excavated from inside the pagoda of Sujongsa Temple, which is dat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 types of ceramics excavated from ancient Goryeo sites are limited to celadon, white porcelain, black-glazed, and earthenware vessels, with Longquan celadon accounting for the largest proportion. Most vessels are for practical use, such as bowls, soup bowls, dishes, bottles, and storage bottles. Examples that feature major characteristics of Yuan ceramics, such as water-droppers or figurines of special shapes or vessels with a new type of design (e.g., applique design, spot design), have not yet been found in ancient Goryeo sites. Compared to the diverse range of vessels from the Sinan shipwreck (e.g., soup bowls, bowls, dishes, bottles, vases, basins, incense burners, water-droppers, candle sticks, ritual vessels), the small quantity of discoveries from ancient Goryeo sites include only a few vessel types. In particular, as there are remarkable similarities among the eight pieces of Yuan celadon wares and one piece of white ware excavated from Onyang-dong (溫陽洞) in Asa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clarify their historical context and relations. An in-depth analysis of this issue should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Apart from the ceramics from the Sinan shipwreck, few ceramics are known to have been imported into Goryeo from Yuan. On the other hand, large quantities of Goryeo celadon poured into China, both in the form of private trading and as tributes. Therefore, research on Goryeo celadons excavated in Yuan archeological sites should be conducted as a priorit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pth of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and Yuan dynasties. Hopefull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research on the Yuan ceramics excavated at the Goryeo archeological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新安船 磁器에 대한 國內 硏究
      • Ⅲ. 新安船의 元代 磁器
      • Ⅳ. 高麗와 元의 磁器 交流
      • Ⅴ. 新安船 磁器와 高麗 遺蹟 出土 元 磁器의 比較
      • Ⅰ. 머리말
      • Ⅱ. 新安船 磁器에 대한 國內 硏究
      • Ⅲ. 新安船의 元代 磁器
      • Ⅳ. 高麗와 元의 磁器 交流
      • Ⅴ. 新安船 磁器와 高麗 遺蹟 出土 元 磁器의 比較
      •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원, "항해와 표류의 역사" 솔 279-, 2003

      2 김영원,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 서경문화사 179-192, 2011

      3 김영원, "중국도자" 국립중앙박물관 368-369, 2007

      4 국립제주박물관, "제주 출토 고려시대 도자기" 2013

      5 藍浦, "역주 경덕진도록" 일지사 2004

      6 고미경, "신안해저 출토 용천요 청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7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신안선발굴 3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14세기 아시아의 해상교역과 신안해저유물"

      8 문화재청, "신안선-청자·흑유편; 백자·기타 유물편; 본문편" 2006

      9 문화재청, "신안선 청자·흑유편" 2006

      10 정양모, "신안 해저 유물을 통해 본 14세기 동아시아의 도자문화" (71·72) : 382-294, 1991

      1 김영원, "항해와 표류의 역사" 솔 279-, 2003

      2 김영원,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 서경문화사 179-192, 2011

      3 김영원, "중국도자" 국립중앙박물관 368-369, 2007

      4 국립제주박물관, "제주 출토 고려시대 도자기" 2013

      5 藍浦, "역주 경덕진도록" 일지사 2004

      6 고미경, "신안해저 출토 용천요 청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7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신안선발굴 3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14세기 아시아의 해상교역과 신안해저유물"

      8 문화재청, "신안선-청자·흑유편; 백자·기타 유물편; 본문편" 2006

      9 문화재청, "신안선 청자·흑유편" 2006

      10 정양모, "신안 해저 유물을 통해 본 14세기 동아시아의 도자문화" (71·72) : 382-294, 1991

      11 김윤정, "고려후기에서 조선초기 상감청자에 나타난 원대 자기의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2 김윤정, "高麗後期 象嵌靑瓷에 보이는 元代 磁器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49) : 163-205, 2006

      13 張東翼, "高麗後期 外交史硏究" 일조각 1997

      14 馮先銘, "靑花磁器の起源に關する諸問題" 小學館 263-264, 1981

      15 국립해양유물전시관, "新安船과 동아시아 陶瓷交易" 2006

      16 出川哲朗, "新安船과 동아시아 陶瓷交易"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18-224, 2006

      17 尹龍爀, "新安船과 동아시아 陶瓷交易"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07-217, 2006

      18 국립해양유물전시관, "新安船과 동아시아 陶瓷交易"

      19 정양모, "新安発見陶磁器の種類と諸問題" 中日新聞社 18-21, 1983

      20 文化公報部, "新安海底遺物-資料篇Ⅲ" 25-26, 1985

      21 沈琼华, "大元帆影-韓國新安沈船出水文物精華" 文物出版社 2012

      22 김영원, "中國陶磁" 국립중앙박물관 377-, 2007

      23 馮先銘, "中國古陶瓷文獻集釋 上冊" 186-, 2000

      24 馮先銘, "中國古陶瓷圖典" 文物出版社 1998

      25 "『星湖僿說』 第4卷, 「萬物門」, ‘秘色磁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5 0.5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