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민속방법론이 함의하고 있는 연구 논리를 기술하고 이를 통해 사회구성주의 지식관인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스포츠교육학의 실천적 지식연구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73844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6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민속방법론이 함의하고 있는 연구 논리를 기술하고 이를 통해 사회구성주의 지식관인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스포츠교육학의 실천적 지식연구 공...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민속방법론이 함의하고 있는 연구 논리를 기술하고 이를 통해 사회구성주의 지식관인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스포츠교육학의 실천적 지식연구 공동체에서 경험적 연구로 활용 가능한지 이론적 수준에서 담론을 제기하고 독자의 이해를 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계라고 여겨지는 영역에서 민속방법론이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를 다양한 논증을 통해 기술하고 있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 지금까지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실천적 지식연구들은 실천적 지식이 상황적 지식이라는 전제에는 공통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상황에 대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상황이 가지고 있는 일상적인 속성들을 어떤 논리를 바탕으로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논리로서 민속방법론의 이론적 소개와 더불어 다양한 논증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교육학에서의 민속방법론 활용은 체육교사와 학생간의 의사결정과정과 내용에 대한 미시적 탐구, 체육 수업 및 체육 수업모형 운영에 대한 본질적 접근, 반성적 체육교사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의 미시적인 논의까지 확장이 가능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속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연구논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근하기 어려웠던 간주관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스포츠교육학 질적 연구 공동체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possibility and range of how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so called situationalism or a sense of knowledge of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implemented as empirical research in sport pedagogy through so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possibility and range of how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so called situationalism or a sense of knowledge of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implemented as empirical research in sport pedagogy through somehow unfamiliar research logic for us as ethnomethodology. Through this, It`s intended to suggest diverse research issues and discourses regarding practical knowledge among qualitative researchers in sport pedagogy.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convention of practical knowledge discourse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introduced and diverse cases on how practical knowledge can approach it through ethnomethodology were described. Lastly it was described in-depth that ethnomethodology can be used for practical knowledge research in sport pedagogy in which directions and aspects. In conclusion, the use of ethnomethodology in sport pedagogy suggested in this research describes micro study o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contents between sport teachers and students, fundamental approach on P·E class and P·E class model operation, and expansion to micro discussion on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reflective P·E pedagogy. Ultimately, the possibility of ethnomethodology provides logical frame to the glance of intersubjective world which we have felt difficult to approach until now, and it asserts it is necessary for qualitative research community of sport pedagogy should have continuous interest in it.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체육교사의변화 경험과 요인 탐색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체육 강좌에서 겪는어려움과 대처 방법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