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양안전심판에 있어서 증거의 증명력 인정범위에 관한 연구 : 전자적 증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mit of Application of the Probative Power of Evidence in the Judgement of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 Focused on Electronic Evi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15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System is to contribute to marine safety by clarifying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through an investigation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 by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KMST). After the strandin...

      The purpose of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System is to contribute to marine safety by clarifying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through an investigation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 by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KMST).
      After the stranding events of tanker Sea Prince occurred in July 1995, the judgment of KMST is recognized as the opinion of the expert group and is having an effect on criminal prosecution as well as civil lawsuits.
      Therefore, given these circumstances, the KMST will need to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judgment with logical, scientific and objective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requires ships to install the Voyage Data Recorder(VDR) b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SOLAS) Chapter 5 Regulation 20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and to prevent the similar marine accidents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analysis of causes of marine accidents is being mad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by using stored data in the VDR.
      In addition, most ships engaged in international voyages are installed with the Alarm Monitoring System(AMS) for recording alarms and status of ship's machine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IT technology. This is also important evidence for analysis of causes of marine accidents.
      The stored data in the VDR or AMS, so-called “electronic evidence”, needs to be proven its integrity and authenticity to hav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But these are not easy to prove because the electronic evidence have several important features compared with physical evidence.
      Recently, the Criminal Procedure Act as well as the Civil Procedure Act, many studies on the collection and admissibility of electronic evidence are in progress even though there is no sufficient studies about those in maritime safety tribunal.
      Also, the Act on the Investigation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 which is the basis of KMST has no regulations on the evidence and has yet to be established on the limit of application of the probative power an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uch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inimum standard respect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especially electronic evidence, in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System by analogy with basic principle of evidence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establishes the limit of application of the probative powe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 with the Act on the Investigation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 for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clarifying the causes of marine acci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ⅴ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Abstract ⅴ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2장 우리나라 해양안전심판제도 5
      • 제1절 해양안전심판제도의 개념 5
      • 제2절 해양안전심판제도의 특성 5
      • 1. 해양안전심판의 제도적 특성 5
      • (1)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5
      • (2)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의 성질 7
      • (3) 타 제도와의 구별 8
      • 2. 해양안전심판의 구성적 특성 10
      • 3. 해양안전심판의 절차적 특성 13
      • (1) 해양안전심판의 대상 13
      • (2) 조사관의 해양사고 인지 13
      • (3) 조사관의 해양사고조사 및 증거보전 13
      • (4) 심판의 청구 15
      • (5) 지방심판원의 심판 16
      • (6) 중앙심판원의 심판 및 중앙심판원 재결에 대한 소송 18
      • 제3장 민․형사소송법상 증거와 전자적 증거 20
      • 제1절 증거의 증거능력과 증명력 20
      • 1. 증거의 의의 20
      • 2. 증거능력과 증명력 20
      • (1) 증거능력과 증명력의 의의 20
      • (2) 증거능력과 증명력의 구별 21
      • 3. 증명과 소명 22
      • (1) 민․형사소송법상 증명 22
      • (2) 소명 23
      • 제2절 전자적 증거 24
      • 1. 전자적 증거의 개념 24
      • 2. 전자적 증거의 특성 25
      • 3. 전자적 증거의 수집과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25
      • 제4장 민․형사소송법상 증거의 증명력 인정범위 28
      • 제1절 민사소송법상 자유심증주의 28
      • 1. 민사소송법 제202조 28
      • 2. 증거원인 29
      • (1) 변론 전체의 취지 29
      • (2) 증거조사의 결과 29
      • (3) 자유심증의 정도 31
      • (4) 사실인정의 위법과 상고 32
      • 3.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32
      • (1) 증거방법․증명력의 법정 32
      • (2) 증거계약 33
      • 제2절 형사소송법상 자유심증주의 34
      • 1. 형사소송법 제308조 34
      • 2. 자유판단 34
      • (1) 자유판단의 대상 34
      • (2) 자유판단의 의미 34
      • (3) 자유판단의 기준 35
      • 3.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36
      • (1) 자백의 증명력제한 36
      • (2) 공판조서의 증명력 37
      • (3) 피고인의 진술거부 37
      • 제5장 해양안전심판에 있어서 증거의 증명력 인정범위 38
      • 제1절 서 설 38
      • 제2절 해양안전심판에서 증거의 증거능력 40
      • 1. 증거심판주의 40
      • 2. 해양안전심판에 형사소송법상의 증거의 기본원칙 적용 가능성 41
      • (1) 엄격한 증명과 자유로운 증명 41
      • (2) 거증책임 42
      • (3) 자백배제법칙과 자백보강법칙 43
      • (4)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44
      • (5) 전문법칙 45
      • 3. 해양사고에서 법적 증거능력을 위한 전자적 증거의 구체적 검토 51
      • (1) 문제의 제기 51
      • (2) VDR 52
      • (3) AMS 62
      • (4) 전자적 증거의 무결성 유지 방안 64
      • (5) 전자적 증거의 신뢰성 유지 방안 67
      • 4. 소 결 68
      • 제3절 해양안전심판에서 자유심증주의의 한계 69
      • 1. 문제의 제기 69
      • 2. 견해의 대립 70
      • (1) 민사소송의 최소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 70
      • (2) 형사소송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 70
      • (3) 사안의 경중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 71
      • (4) 민사소송과 형사소송의 중간정도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 71
      • 3. 해양안전심판원의 견해 72
      • 4. 대법원의 견해 72
      • 5. 소 결 73
      • 제6장 결 론 75
      • 참 고 문 헌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