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현상학의 ‘상호주관성’ 개념과 상호문화철학의 ‘상호문화성’ 개념이 상호문화교육의정의와 기본 원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상호문화교육의 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55440
2016
-
상호문화교육 ; 상호주관성 ; 상호문화성 ; 겹침 ; 철학 ; 교육학 ; intercultural ; education ; philosophy ; intersubjectivity ; interculturality ; overlapping
370
KCI등재
학술저널
33-54(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현상학의 ‘상호주관성’ 개념과 상호문화철학의 ‘상호문화성’ 개념이 상호문화교육의정의와 기본 원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상호문화교육의 철...
본 논문의 목적은 현상학의 ‘상호주관성’ 개념과 상호문화철학의 ‘상호문화성’ 개념이 상호문화교육의정의와 기본 원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살펴보는데 있다. 상호문화교육에서 지금까지 나온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이 둘의 관계는 부분적이거나 간헐적으로만 언급되고 있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상호문화교육의 출현배경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초라 할 수 있는 ‘상호주관성’과 ‘상호문화성’에대해서 알아본 다음, 이 둘을 좀 더 긴밀히 연결시켜 보기로 한다. Abdallah-Pretceille의 저서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듯이, 이 중에서 ‘상호주관성’의 영향은 분명해 보이지만 ‘상호문화성’의 영향은 그만큼은 아닌 것 같다. 이것은 현상학,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철학의 출현 시기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20세기 초반에 출현한 현상학은 상호문화교육이 발전하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1990년대 출현한상호문화철학은 상호문화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난 후 그 철학적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기 때문인 것 같다. 아무튼 사람들 간의 심리적 관계를 다루는 ‘상호주관성’과 문화들 간의 모든 상호작용을 다룬 ‘상호문화성’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중요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제 상호문화교육학자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이 두 철학적 기반을 모든 교육 영역과 과정에 충실히반영하여 지구촌 시대가 요구하는 ‘더불어 더 잘 살기’라는 시대적 과제를 가능한 효율적으로 실행하는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hilosophical basis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clarifying how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are related to definitions and basic principl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some education phil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hilosophical basis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clarifying how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are related to definitions and basic principl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some education philosophers mention in their studies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which helped intercultural educators to build up their theoretical frame, it remains partial or intermittent. This paper will explain apparition and evolu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and in France, define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as its philosophical basis and try to connect these two domai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intersujectivity on intercultural education is direct and obvious as can be seen in the work of Abdallah-Pretceille(1999) but the impact of interculturality is less obvious than that of intersujectivity. If the notion of intersujectivity, developed by phenomenolog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provided philosophical basis to intercultural education, the notion of interculturality, appeared in the German speaking countries of Europe in the 1990s, helped to consolidate its posi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진단과정에 Sacks의 신경심리방법론 적용의 중요성 : Oliver Sacks 추모 1주기를 기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