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과증식성 반흔 병변에서 발견된 Skin Staple = Skin Staple Found at the Intractable Hypertrophic Scar Le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3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52세 남자 환자가 내원 4개월 전 보일러 폭발사고로 사지에 심부 2도 화상 수상 후 피부이식술 시행하였고, 이후 사지에 과증식성 반흔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A). 8개월간 상기 병변에 대해 국소 트리암시놀론 주사(20mg/mL) 7회, 595 nm pulsed dye laser 2회, fractional CO<sub>2</sub> laser 2회 시행 후 대부분의 병변에서 홍반이 옅어지고 편평해졌으나, 오른쪽 5번째 손가락 지골의 병변은 호전되지 않고 점차 둥글고 단단한 결절을 형성하였다(Fig. 1B). 타양성 종양 등의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피하지방층에서 직경 8 mm, 두께 3 mm의 이물이 발견되었다(Fig. 2A). 이어 시행한 X-ray상 오른쪽 손에 총4개의 이물이 관찰되었으며 이물은 피부이식술 당시 사용한 staple이었다(Fig. 2B, C). 성형외과에서 국소 마취 하에 모두 제거하였고 8개월 뒤 병변은 편평하게 호전되었다(Fig. 1C).
      피부이식술 중 공여부의 피부를 고정할 때 일반적으로 빠른 봉합을 위해 봉합사 보다는 skin staple을 주로 사용한다<sup>1</sup>. 본 증례의 경우 과도한 반흔의 증식과정에서 staple이일부 살 안으로 파고 들어 적절히 제거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Skin staple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활성 이물(Inert foreign body)에 속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이물 자체에 의한 염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sup>2</sup>. 본 증례의 환자에서도 총 4개의 staple이 체내에 8개월간 삽입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소 통증, 열감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오른쪽 5번째 손가락 지골의 병변은 관절 운동이 많고 손 전체로 보았을 때 외측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마찰이 발생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이 부위에서만 비특이적으로 staple에 의한 조직의 섬유화 정도가 더 심하여 둥글고 단단한 결절이 형성되어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sup>3,4</sup>.
      따라서 저자들은 skin staple로 인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과증식성 반흔 병변을 경험하고 화상 후 광범위한 피부이식술 과정에서 다량의 staple을 사용한 경우 적절히 제거되었는지 x-ray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번역하기

      52세 남자 환자가 내원 4개월 전 보일러 폭발사고로 사지에 심부 2도 화상 수상 후 피부이식술 시행하였고, 이후 사지에 과증식성 반흔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A). 8개월간 상기 병변에 대해...

      52세 남자 환자가 내원 4개월 전 보일러 폭발사고로 사지에 심부 2도 화상 수상 후 피부이식술 시행하였고, 이후 사지에 과증식성 반흔을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A). 8개월간 상기 병변에 대해 국소 트리암시놀론 주사(20mg/mL) 7회, 595 nm pulsed dye laser 2회, fractional CO<sub>2</sub> laser 2회 시행 후 대부분의 병변에서 홍반이 옅어지고 편평해졌으나, 오른쪽 5번째 손가락 지골의 병변은 호전되지 않고 점차 둥글고 단단한 결절을 형성하였다(Fig. 1B). 타양성 종양 등의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피하지방층에서 직경 8 mm, 두께 3 mm의 이물이 발견되었다(Fig. 2A). 이어 시행한 X-ray상 오른쪽 손에 총4개의 이물이 관찰되었으며 이물은 피부이식술 당시 사용한 staple이었다(Fig. 2B, C). 성형외과에서 국소 마취 하에 모두 제거하였고 8개월 뒤 병변은 편평하게 호전되었다(Fig. 1C).
      피부이식술 중 공여부의 피부를 고정할 때 일반적으로 빠른 봉합을 위해 봉합사 보다는 skin staple을 주로 사용한다<sup>1</sup>. 본 증례의 경우 과도한 반흔의 증식과정에서 staple이일부 살 안으로 파고 들어 적절히 제거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Skin staple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비활성 이물(Inert foreign body)에 속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이물 자체에 의한 염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sup>2</sup>. 본 증례의 환자에서도 총 4개의 staple이 체내에 8개월간 삽입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소 통증, 열감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오른쪽 5번째 손가락 지골의 병변은 관절 운동이 많고 손 전체로 보았을 때 외측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마찰이 발생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이 부위에서만 비특이적으로 staple에 의한 조직의 섬유화 정도가 더 심하여 둥글고 단단한 결절이 형성되어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sup>3,4</sup>.
      따라서 저자들은 skin staple로 인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과증식성 반흔 병변을 경험하고 화상 후 광범위한 피부이식술 과정에서 다량의 staple을 사용한 경우 적절히 제거되었는지 x-ray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egula CG, "Suture Products and Techniques:What to Use, Where, and Why" 41 : s187-s200, 2015

      2 Anderson JM, "Foreign body reaction to biomaterials" 20 : 86-100, 2008

      3 Joyce S, "Foreign body granuloma" 13 : 351-354, 2014

      4 Luttikhuizen DT, "Cellular and molecular dynamics in the foreign body reaction" 12 : 1955-1970, 2006

      1 Regula CG, "Suture Products and Techniques:What to Use, Where, and Why" 41 : s187-s200, 2015

      2 Anderson JM, "Foreign body reaction to biomaterials" 20 : 86-100, 2008

      3 Joyce S, "Foreign body granuloma" 13 : 351-354, 2014

      4 Luttikhuizen DT, "Cellular and molecular dynamics in the foreign body reaction" 12 : 1955-197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1 0.11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4 0.25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