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 노인의 생활영역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90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21.7%) is four times more than that of the urban area (5.4%) in Korea. With this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rural Korea,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Compare to urban elderly, rural elderly experience many disadvantages, especially in terms of limited offering of social/educational programs. Their social/educational needs are rarely assessed and there are few programs geared to the needs of rural elder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1) to identify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 needs of the rural elderly related to three dimensions: Fαmily life, Fαrming life, αnd Community αctivities and (2) to develop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for the rural elderly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 For this purpose, data are gathered from 413 rural elderly and 110 community welfare specialis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ar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les with SPSS wins 1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jority(94.l%) of the rural elderly wants to participate in diverse social/educational programs. They want to have programs dealing with 'relationship enhancement with children', 'nutrition', 'health and care', 'farming skill', 'gardening', 'volunteering', etc.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 eight types of education program and four types of activity program,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ir needs in each dimension. There are four sessions of Fαmily life program, and four sessions of Community αctivities program. The effect of these programs will be evaluated by taking pretest and protest in local basis.
      번역하기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21.7%) is four times more than that of the urban area (5.4%) in Korea. With this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rural Korea,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Compa...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21.7%) is four times more than that of the urban area (5.4%) in Korea. With this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rural Korea,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Compare to urban elderly, rural elderly experience many disadvantages, especially in terms of limited offering of social/educational programs. Their social/educational needs are rarely assessed and there are few programs geared to the needs of rural elder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1) to identify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 needs of the rural elderly related to three dimensions: Fαmily life, Fαrming life, αnd Community αctivities and (2) to develop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for the rural elderly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 For this purpose, data are gathered from 413 rural elderly and 110 community welfare specialis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ar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les with SPSS wins 1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jority(94.l%) of the rural elderly wants to participate in diverse social/educational programs. They want to have programs dealing with 'relationship enhancement with children', 'nutrition', 'health and care', 'farming skill', 'gardening', 'volunteering', etc.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 eight types of education program and four types of activity program,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ir needs in each dimension. There are four sessions of Fαmily life program, and four sessions of Community αctivities program. The effect of these programs will be evaluated by taking pretest and protest in local ba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동회a, "한국의 노인차별에 관한 연구" 78-93, 2002

      2 이정화,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282-294, 2002

      3 모선희,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 2001

      4 양순미, "농촌노인의 독거ㆍ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21 (21): 129-139, 2003

      5 박대식, "농촌노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대책" 2001

      6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농촌 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7-119, 1998

      7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0 (20): 27-35, 2002

      8 이형실,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비교" 대한가정학회 41 (41): 57-69, 2003

      9 김범수,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2 (2): 1997

      10 김동배,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및 여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2000

      1 한동회a, "한국의 노인차별에 관한 연구" 78-93, 2002

      2 이정화,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282-294, 2002

      3 모선희,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 2001

      4 양순미, "농촌노인의 독거ㆍ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21 (21): 129-139, 2003

      5 박대식, "농촌노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대책" 2001

      6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농촌 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7-119, 1998

      7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20 (20): 27-35, 2002

      8 이형실, "농촌 노인의 세대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비교" 대한가정학회 41 (41): 57-69, 2003

      9 김범수,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2 (2): 1997

      10 김동배,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및 여가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2000

      11 어성현, "노인의 가정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 분석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1994

      12 김경신,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5 : 51-57, 1996

      13 김오현, "노인소득보장제도의 활성화 방안연구" 2000

      14 박재간, "노인생활실태 및 정책방향" 1996

      15 변재관, "노인복지회관 관리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2002

      16 한동회b, "노인교육프로그램 개발" 2002

      17 이순희,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2001

      18 전길양,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20 (20): 69-91, 2000

      19 이정현, "가족 생활교육과 가정복지" 2 (2): 1995

      20 ILO, "Yearbook of labour statistics 2002" 2002

      21 United Nations,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00 rev" 2000

      22 Utz RL, "The effect of Widowhood on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 An Evaluation of Activity, Disengagement, and continuity Theories." 42 (42): 522-533, 2002

      23 Kahn RL, "Suc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9

      24 Rowe JW, "Successful aging" 37 : 433-440,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7 0.85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