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 인식 및 효능감 조사연구 = Investiga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Perceptions, and Teaching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13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entral foc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140 pre-service music teachers ...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entral foc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140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multicultural attitudes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Second, what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understand by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fficacy in a multicultural teaching environment? Fourth,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on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showed a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overall. Regard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views, there were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daily interest groups deal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teachers understood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Third, the teachers showed a generally high level of multicultural efficacy; they tended to show a greater teaching efficacy level in multicultural attitude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factors than nurtu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bilities, and developing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urth,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human relation-centered.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music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lso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와 인식, 교수효능감에 관한 다면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와 인식, 교수효능감에 관한 다면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2)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3)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4)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음악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중등예비음악교사 140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러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다문화태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다문화교육 이해도에 관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 대상의 범위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습성취도에 대해서는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 다문화교육에 의한 역차별 현상과 다문화교육의 초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태도, 관점, 인간관계 항목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의 발견 및 해결, 교재개발 관련 내용의 문항의 효능감이 낮았다.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태도에 의한 다문화교수효능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모두 조화로운 현 사회유지 및 발전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관점에 우선순위를 두었으나 하위 순서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정, "한국적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천적 함의(含意)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15-538, 2014

      2 윤문정,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태 조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69-182, 2009

      3 김용희, "초등학생을 위한영국 민속음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47-62, 2014

      4 박지영,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8) : 59-80, 2014

      5 함희주, "초등학교교육에서 다문화적 음악교육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25) : 2003

      6 장인실,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73-104, 2013

      7 최지연,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183-202, 2009

      8 노석봉,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전남대학 2010

      9 이기용, "중등학교 교사용 다문화 교수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421-442, 2014

      10 주희선,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민족음악학회 (41) : 353-378, 2011

      1 김향정, "한국적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천적 함의(含意)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15-538, 2014

      2 윤문정,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 실태 조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69-182, 2009

      3 김용희, "초등학생을 위한영국 민속음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47-62, 2014

      4 박지영,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8) : 59-80, 2014

      5 함희주, "초등학교교육에서 다문화적 음악교육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25) : 2003

      6 장인실,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73-104, 2013

      7 최지연,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183-202, 2009

      8 노석봉,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전남대학 2010

      9 이기용, "중등학교 교사용 다문화 교수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421-442, 2014

      10 주희선,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민족음악학회 (41) : 353-378, 2011

      11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12 최진호,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0) : 81-94, 2010

      13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1

      14 배성아,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61-181, 2012

      15 양정혜, "예비교사의 문화성향 실태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연구원 30 (30): 197-217, 2014

      16 우희숙, "예비교사의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41-165, 2010

      17 권덕원, "다문화주의 음악교육론과 국악교육" 세계음악학회 (2) : 49-76, 2000

      18 황혜원, "다문화주의 관련 쟁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27-52, 2012

      19 홍은미,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예비·현직 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49-174, 2009

      20 장인실,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학지사 2012

      21 강운선,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99-521, 2015

      22 모경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75-99, 2009

      23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24 이가원,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 교사 교육의 방향 : 미국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다문화 교과목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73-483, 2013

      25 민경훈, "다문화 교육으로서 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한국예술교육학회 7 (7): 93-111, 2009

      26 김민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61-86, 2010

      27 고은영, "다문화 교육대상의 정의와 다문화 효능감 연구: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99-119, 2013

      28 모경환,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1-53, 2010

      29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30 Soto, A., "University–School Music Partnership for Music Education Majors in a Culturally Distinctive Community" 56 (56): 338-356, 2009

      31 Manes, S., "The Pedagogical Process of a Japanese-American Shamisen Teacher" 182 : 41-50, 2009

      32 Guyton, E,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33 Oare, S., "The Chelsea House Orchestra: A Case Study of a Non-Traditional School Instrumental Ensemble" 177 : 63-78, 2008

      34 O'Hagin, I, "Reshaping Imagination: The Musical Culture of Migrant Farmworker Families in Northwest Ohio" 151 : 21-30, 2001

      35 Pang, V, "Multicultural education :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McGraw Hill 2005

      36 Waldron, J, "Learning in a Celtic Community: An Exploration of Informal Music Learning and Adult Amateur Musicians" 180 : 59-74, 2009

      37 Banks, J.,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37 (37): 129-139, 2008

      38 Carlow, R., "Diva Irina: An English Language Learner in High School Choir" 170 : 63-77, 2006

      39 Ponterotto, J.,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Quick Discrimination Index(QDI)" 55 (55): 1016-1031, 1995

      40 Ponterotto, J., "Development and Initial Score Validation of th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58 (58): 1002-1016, 1998

      41 박주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 음악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단원 내용분석" 음악연구소 19 (19): 27-5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