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 A Study of Sino-Korean Word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80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necessity for the teaching of Sino-Korean word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o provide efficient and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lexic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s, and argues that the direct method is highly useful for teaching them. In Chinese characters, the morpheme of Sino-Korean words has its own meaning, so after learning the basic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e highest word formation ability, expand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related to and derived from their respective Chinese characters is meaningful. Thus,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of great service.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with this methodology has two effects on learning Korean vocabulary. The first effect is that students can learn by classifying 'meaning relations', that is, Sino-Korean words based on the same meaning. The second effect is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through learning Sino-Korean words by recognizing similar forms (spelling).
      The outline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thesis reviews the state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Second, this paper surveys the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arge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most efficient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s. Having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e dissertation moves to the core of its research. The third section of this thesis focuses on methodologies and materials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examines different teaching methods such as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through derivatives with high frequency affixe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semantic mapping; it presents a university-level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I revamped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introduces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and Sino-Korean textbook, both of which I developed,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Lastly, the dissertation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ese teaching methods through a one-month long experimental study on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using the textbook I developed.
      As the result of reviewing domestic Korean Language programs, five universities have electiv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based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build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participate in the classes.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have many courses o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which are compulsory subjects for their major. Korean language programs in Chinese cultural countries instead have some courses on reading Sino-Korean and contrastive analysis. So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are more active in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Chinese literacy education.
      In this survey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92%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was very close. So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need to develop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for efficient teaching of Sino-Korean vocabulary. Regarding students'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and their lexical competence, more than 90%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Thus, it would be advisable to raise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is survey, 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ndergone difficulties in learning Native Korean words most, but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for them to learn Sino-Korean vocabulary. Therefore,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need th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ecaus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s more urgent for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best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would be one based upon the word 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s the result of examining textbooks, this dissertation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ino-Korean vocabulary textbooks to teach Sino-Korean vocabulary on the basis of word-formation units. In light of the survey, my research presents goals and contents of the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degree and non-degree levels for training Korean instructors as one of various strategies for raising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I also develop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with word-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drawn from word entries listed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nec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y thesis selects 595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according to eight key criteria. On the foundation of this Sino-Korean vocabulary list, I also created a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 efficient pedagogical methods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Lastly, this research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by using the researcher developed textbook on the subjects of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or a month.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d that the teaching method of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and to use them for learning vocabulary was very effective for expanding and memorizing Sino-Korean vocabularies.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of the words by learning the form and meaning of learned Sino-Korean words through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learners could build up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infer unknown Sino-Korean vocabularies by learn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with similar mean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to provid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according to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suggest methods to utiliz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for teaching to develop a textbook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s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necessity for the teaching of Sino-Korean word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o provide efficient and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lexical competence of Korean langu...

      This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necessity for the teaching of Sino-Korean word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o provide efficient and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lexic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s, and argues that the direct method is highly useful for teaching them. In Chinese characters, the morpheme of Sino-Korean words has its own meaning, so after learning the basic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e highest word formation ability, expand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related to and derived from their respective Chinese characters is meaningful. Thus,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of great service.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with this methodology has two effects on learning Korean vocabulary. The first effect is that students can learn by classifying 'meaning relations', that is, Sino-Korean words based on the same meaning. The second effect is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through learning Sino-Korean words by recognizing similar forms (spelling).
      The outline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thesis reviews the state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Second, this paper surveys the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arge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most efficient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s. Having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e dissertation moves to the core of its research. The third section of this thesis focuses on methodologies and materials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examines different teaching methods such as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through derivatives with high frequency affixe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semantic mapping; it presents a university-level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I revamped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introduces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and Sino-Korean textbook, both of which I developed,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Lastly, the dissertation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ese teaching methods through a one-month long experimental study on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using the textbook I developed.
      As the result of reviewing domestic Korean Language programs, five universities have electiv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based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build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participate in the classes.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have many courses o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which are compulsory subjects for their major. Korean language programs in Chinese cultural countries instead have some courses on reading Sino-Korean and contrastive analysis. So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are more active in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Chinese literacy education.
      In this survey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92%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was very close. So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need to develop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for efficient teaching of Sino-Korean vocabulary. Regarding students'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and their lexical competence, more than 90%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Thus, it would be advisable to raise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is survey, 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ndergone difficulties in learning Native Korean words most, but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for them to learn Sino-Korean vocabulary. Therefore,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need th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ecaus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s more urgent for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best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would be one based upon the word 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s the result of examining textbooks, this dissertation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ino-Korean vocabulary textbooks to teach Sino-Korean vocabulary on the basis of word-formation units. In light of the survey, my research presents goals and contents of the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degree and non-degree levels for training Korean instructors as one of various strategies for raising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I also develop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with word-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drawn from word entries listed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nec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y thesis selects 595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according to eight key criteria. On the foundation of this Sino-Korean vocabulary list, I also created a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 efficient pedagogical methods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Lastly, this research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by using the researcher developed textbook on the subjects of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or a month.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d that the teaching method of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and to use them for learning vocabulary was very effective for expanding and memorizing Sino-Korean vocabularies.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of the words by learning the form and meaning of learned Sino-Korean words through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learners could build up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infer unknown Sino-Korean vocabularies by learn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with similar mean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to provid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according to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suggest methods to utiliz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for teaching to develop a textbook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s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한국어 어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어 교육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직접적인 방법이 유용하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관련 한자어를 유의미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때 한자 교육과 연계한 한자어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한자어 교육의 효과를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한자어 형태소가 가지는 의미를 이용하여 유사 의미가 들어간 관련 한자어들을 ‘의미 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익힐 수 있는 효과이다. 둘째, 유사한 단어의 형태(철자)를 인식하여 한자어를 익혀서 장기 기억으로 가져가는 효과이다.
      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외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어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한자어 교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자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을 살펴본 결과, 다섯 개 대학에서 주로 중급 이상의 비한자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선택반’의 형태로 한자 교육에 바탕을 둔 한자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살펴본 결과, 비한자권 대학들은 한자어 교육과 관련된 강좌를 전공필수로 개설하는 등 한자권 대학보다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 교육 내용을 보면, 한자권 대학들은 주로 ‘한자음 읽기’와 ‘어휘 대조’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비한자권 대학들은 ‘문자 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을 기반으로 한 한자어 교육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번 요구도 조사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92%가 교사의 한자 능력과 한자어 교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여,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해서 한국어 교사는 일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의 90% 이상이 학습자의 한자 능력과 어휘력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한자 교육은 중급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국어 어휘 중에서 한자권 학습자들은 고유어를, 비한자권 학습자들은 한자어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한자어 교육은 비한자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자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하여,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하여 한자어를 확장할 수 있는 교재를 1순위로 꼽았다. 한자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조어 단위로서 한자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한자 능력 제고를 위해 정규 및 비정규 과정으로 개설된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에서 ‘한국어 한자교육론’에 대한 교육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한 한자어 확장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 제시된 한자어를 교육용 한자어로 삼아,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를 산출하여, 한자어 학습 목록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자의 조어력을 비롯한 여덟 가지의 기준에 따라 595개의 교육용 한자를 선정한 후,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한자권과 비한자권 학습자들이 한자어 교육에서 공통으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과 별도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한자어 어휘 교수법으로는 유사 의미 관계 고빈도 접사 목록을 이용한 한자어 파생어 교수법, 의미 지도 그리기를 이용한 한자어 교수법, 뉴스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한자성어 교수법, 학습 단계별 한자 읽기 교수법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자어 교재를 이용하여,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간 한자어 어휘 확장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번 실험 연구를 통하여, 한자의 의미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익히고, 이를 한자어 어휘 학습 전략으로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한자어의 확장 및 기억에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학습자들은 한자라는 문자를 통해 기학습된 한자어들의 형태와 의미를 정확하게 익히게 되어, 장기 기억으로 가져갈 수 있었으며, 의미가 유사한 관련 한자어를 익힘으로써, 새로운 한자어에 대한 의미 유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을 위하여 한자의 조어력 빈도와 위치별 빈도를 이용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마련하고 한자권과 비한자권 모두에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는 점,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교재를 개발하여,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한국어 어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한국어 어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어 교육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직접적인 방법이 유용하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관련 한자어를 유의미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때 한자 교육과 연계한 한자어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한자어 교육의 효과를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한자어 형태소가 가지는 의미를 이용하여 유사 의미가 들어간 관련 한자어들을 ‘의미 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익힐 수 있는 효과이다. 둘째, 유사한 단어의 형태(철자)를 인식하여 한자어를 익혀서 장기 기억으로 가져가는 효과이다.
      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외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어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한자어 교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자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을 살펴본 결과, 다섯 개 대학에서 주로 중급 이상의 비한자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선택반’의 형태로 한자 교육에 바탕을 둔 한자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살펴본 결과, 비한자권 대학들은 한자어 교육과 관련된 강좌를 전공필수로 개설하는 등 한자권 대학보다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 교육 내용을 보면, 한자권 대학들은 주로 ‘한자음 읽기’와 ‘어휘 대조’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비한자권 대학들은 ‘문자 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을 기반으로 한 한자어 교육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번 요구도 조사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92%가 교사의 한자 능력과 한자어 교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여,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해서 한국어 교사는 일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의 90% 이상이 학습자의 한자 능력과 어휘력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한자 교육은 중급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국어 어휘 중에서 한자권 학습자들은 고유어를, 비한자권 학습자들은 한자어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한자어 교육은 비한자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자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하여,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하여 한자어를 확장할 수 있는 교재를 1순위로 꼽았다. 한자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조어 단위로서 한자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한자 능력 제고를 위해 정규 및 비정규 과정으로 개설된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에서 ‘한국어 한자교육론’에 대한 교육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한 한자어 확장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 제시된 한자어를 교육용 한자어로 삼아,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를 산출하여, 한자어 학습 목록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자의 조어력을 비롯한 여덟 가지의 기준에 따라 595개의 교육용 한자를 선정한 후,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한자권과 비한자권 학습자들이 한자어 교육에서 공통으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과 별도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한자어 어휘 교수법으로는 유사 의미 관계 고빈도 접사 목록을 이용한 한자어 파생어 교수법, 의미 지도 그리기를 이용한 한자어 교수법, 뉴스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한자성어 교수법, 학습 단계별 한자 읽기 교수법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자어 교재를 이용하여,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간 한자어 어휘 확장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번 실험 연구를 통하여, 한자의 의미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익히고, 이를 한자어 어휘 학습 전략으로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한자어의 확장 및 기억에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학습자들은 한자라는 문자를 통해 기학습된 한자어들의 형태와 의미를 정확하게 익히게 되어, 장기 기억으로 가져갈 수 있었으며, 의미가 유사한 관련 한자어를 익힘으로써, 새로운 한자어에 대한 의미 유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을 위하여 한자의 조어력 빈도와 위치별 빈도를 이용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마련하고 한자권과 비한자권 모두에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는 점,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교재를 개발하여,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
      • 1.2 연구 방법과 절차 = 5
      • 1.3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6
      • 2. 한자어 교육을 위한 기본적 논의 = 15
      • 1. 서론 = 1
      •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
      • 1.2 연구 방법과 절차 = 5
      • 1.3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6
      • 2. 한자어 교육을 위한 기본적 논의 = 15
      • 2.1 용어의 개념과 범위 설정 = 15
      • 2.2 한국어 어휘 체계와 한자어의 특성 = 17
      • 2.3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 = 28
      • 3. 한국어 한자어 교육의 현황 = 29
      • 3.1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현황과 요구도 조사 = 29
      • 3.1.1 국내외 한자어 교육 기관 = 29
      • 3.1.2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의 한국어 한자교육론 = 32
      • 3.1.3 한자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 = 35
      • 3.2 한국어 교재 분석 = 66
      • 3.2.1 한국어 회화 교재의 한자어 분석 = 66
      • 3.2.2 한자어 교재 분석 = 68
      • 4. 한자어 교육의 방안 = 77
      • 4.1 한자어 교육을 위한 학습 목록 = 77
      • 4.1.1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에 따른 한자어 = 77
      • 4.1.2 교육용 한자 목록 = 85
      • 4.2 언어권별 한자어 교육 내용 = 95
      • 4.2.1 한자권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내용 = 95
      • 4.2.2 비한자권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내용 = 99
      • 4.3 한자어 교재 개발 = 100
      • 4.3.1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 = 100
      • 4.3.2 학습 단계별 교재 구성 = 101
      • 4.4 한자어 교육 방안과 교수법 = 109
      • 4.4.1 수업 지도안의 예시 = 109
      • 4.4.2 한자어 어휘 교수법 = 123
      • 5. 한자어 교육의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증 = 145
      • 5.1 연구 방법 = 145
      • 5.2 실험반 어휘 평가의 결과 분석 = 151
      • 5.3 면대면 인터뷰 및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 = 157
      • 5.4 실험 연구에 대한 시사점 = 160
      • 6. 결론 = 161
      • 참고 문헌 = 165
      • ABSTRACT = 173
      • 부록 = 1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