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정 60년과 정치제도의 변용 ― 불안정 속의 안정 ― = A study on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 : Stability & Instabil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ixty years’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can be compared to a lifetime of one man full of adversity. Actually there was none to expect the normal constitutionalism functioning, considering the situation Korea has faced since 1945 which concludes the difficulties of making new independent state, the miserable result of Korean Civil War, and the desperate continuation of military coup d´É́tats, and so forth. Moreover,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was full of unhappy experiences such as unconstitutional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the suspension of constitutionalism or the destruction of Constitution by emergency power.
      In spite of those chaotic situations, we have been successful in keeping the growth-axis in constitutional development. And we have preserved the original form of constitution at the establishment of our country in 1948. For this reason, we can have the cherished trace for Korean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s the wave in the sea leaves a sedimentary layer,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fetter conceived the precious seeds. We can not but consider that history as the extinction process of negation bounding for the affirmation.
      Our Constitutional vortices(which is real vortices since we have experienced ten constitutional regimes during only 40 years), at last, brought about the stability age(status quo) of constitution now we are enjoying. For more than 20 years to the present, the constitution of 1987 has well functioned and unchanged. Already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sappearance of echoes of emergency power(which has afflicted so much pain and heavy restrictions on our civilian life and freedom). Now we successfully erected the milestone of constitutional democracy(namely the milestone of the new history) after the long, painful history of vortices came to an end. Once an ambassador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our principal blood alliance state) mentioned with despair that expecting democracy in Korea is like expecting the blossom of roses in trash, but we have developed democracy based on constitution with remarkable speed that only 10 years have passed since his comment. Korea already have made continued two experiences of peaceful transfer of political power through election, which, I think, is the monumental achievement in East-Asian democracy.
      Despite of the fact, we ought not to be negligent to choose the substance because we can cause Korean Democracy to leap to one higher stage when we realize the democratic infrastructure.
      Thus it is high time to examine problems arisen from the operation of our present constitution. Of course that examination is concerned with the revision of our constitution. However that revision should be one that does not be incompatible with what we have accomplished(in other words, the revision in harmonization with our people's having fostered-precious system even in unstable history of our constitution). And there is possibility of creation of new constitution based on the recognition(that “ours is good, rather that new one is good in any case”). Moreover it is high time for us to reflect what the political system is suitable to us as well as the desirable and ideal constitution.
      And we need to come up with the consensus about constitutional norm that does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age(even though we don't know when that reunification will come true). As a matter of fact, whether the reunification will be come true in 5 or 10 year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in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 revision these days. In conclusion, we should set up the complete constitution, not incomplete one, in terms of constitutional reform preparing that reunification.
      번역하기

      The sixty years’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can be compared to a lifetime of one man full of adversity. Actually there was none to expect the normal constitutionalism functioning, considering the situation Korea has faced since 1945 which ...

      The sixty years’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can be compared to a lifetime of one man full of adversity. Actually there was none to expect the normal constitutionalism functioning, considering the situation Korea has faced since 1945 which concludes the difficulties of making new independent state, the miserable result of Korean Civil War, and the desperate continuation of military coup d´É́tats, and so forth. Moreover,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was full of unhappy experiences such as unconstitutional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the suspension of constitutionalism or the destruction of Constitution by emergency power.
      In spite of those chaotic situations, we have been successful in keeping the growth-axis in constitutional development. And we have preserved the original form of constitution at the establishment of our country in 1948. For this reason, we can have the cherished trace for Korean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s the wave in the sea leaves a sedimentary layer,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fetter conceived the precious seeds. We can not but consider that history as the extinction process of negation bounding for the affirmation.
      Our Constitutional vortices(which is real vortices since we have experienced ten constitutional regimes during only 40 years), at last, brought about the stability age(status quo) of constitution now we are enjoying. For more than 20 years to the present, the constitution of 1987 has well functioned and unchanged. Already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sappearance of echoes of emergency power(which has afflicted so much pain and heavy restrictions on our civilian life and freedom). Now we successfully erected the milestone of constitutional democracy(namely the milestone of the new history) after the long, painful history of vortices came to an end. Once an ambassador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our principal blood alliance state) mentioned with despair that expecting democracy in Korea is like expecting the blossom of roses in trash, but we have developed democracy based on constitution with remarkable speed that only 10 years have passed since his comment. Korea already have made continued two experiences of peaceful transfer of political power through election, which, I think, is the monumental achievement in East-Asian democracy.
      Despite of the fact, we ought not to be negligent to choose the substance because we can cause Korean Democracy to leap to one higher stage when we realize the democratic infrastructure.
      Thus it is high time to examine problems arisen from the operation of our present constitution. Of course that examination is concerned with the revision of our constitution. However that revision should be one that does not be incompatible with what we have accomplished(in other words, the revision in harmonization with our people's having fostered-precious system even in unstable history of our constitution). And there is possibility of creation of new constitution based on the recognition(that “ours is good, rather that new one is good in any case”). Moreover it is high time for us to reflect what the political system is suitable to us as well as the desirable and ideal constitution.
      And we need to come up with the consensus about constitutional norm that does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age(even though we don't know when that reunification will come true). As a matter of fact, whether the reunification will be come true in 5 or 10 years can be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in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 revision these days. In conclusion, we should set up the complete constitution, not incomplete one, in terms of constitutional reform preparing that reunif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헌법 60년은 바로 사람의 한 평생을 의미하는 삶의 60년 곧 耳順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신생독립국가의 건설, 민족상잔의 전쟁, 혁명과 쿠데타가 계속되는 가운데 정상적인 헌정을 기대할 수 없었다. 여기에 위헌적 헌법개정과 헌정중단과 헌법파괴는 일상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그 혼돈의 와중에서도 제헌헌법의 원형을 잃지 않고 계속되어 온 헌정사의 발전 축은 한국민주헌정을 위한 소중한 자취를 남기고 있었다. 파도가 쓸려간 자리에 그 파도의 여적이 퇴적층을 남기듯이 질곡의 헌정사에서도 소중한 씨앗은 잉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긍정을 향한 부정의 소멸과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40년 동안에 10개의 헌법을 체험한 헌정사적 소용돌이는 마침내 20년 이상 안정을 지속하는 헌법의 안정시대를 구가하고 있다. 국민을 옥죄던 국가긴급권의 망령도 사라진지 4반세기를 넘어서고 있다. 긴 소용돌이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역사의 이정표,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 두 번의 평화적 정권교체는 한국 민주주의가 외견상 동아시아적인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헌법의 문제점을 점검할 때가 되었다. 하지만 헌법사의 불안정 속에서도 우리가 가꿔 온 소중한 제도에 그 향기를 부여하는 방향으로의 헌법개정이어야 한다. 새 것만이 좋은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는 인식의 기초 아래 새 헌법의 구상도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헌법 못지않게 우리에게 맞는 우리에게 착근한 정치제도가 무엇인지 성찰할 시점이다. 또한 통일시대를 대비한 헌법규범도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야 한다. 작금의 헌법개정 논의에 있어서도 통일이 5년 또는 10년 내에 가능할 것인지의 여부는 중요한 변수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 통일을 대비하는 헌법개혁은 헌법을 미완성헌법이 아니라 완성헌법으로 정립하는 것이어야 한다.
      번역하기

      한국헌법 60년은 바로 사람의 한 평생을 의미하는 삶의 60년 곧 耳順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신생독립국가의 건설, 민족상잔의 전쟁, 혁명과 쿠데타가 계속되는 가운데 정상적인 헌정을 기대할 ...

      한국헌법 60년은 바로 사람의 한 평생을 의미하는 삶의 60년 곧 耳順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신생독립국가의 건설, 민족상잔의 전쟁, 혁명과 쿠데타가 계속되는 가운데 정상적인 헌정을 기대할 수 없었다. 여기에 위헌적 헌법개정과 헌정중단과 헌법파괴는 일상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그 혼돈의 와중에서도 제헌헌법의 원형을 잃지 않고 계속되어 온 헌정사의 발전 축은 한국민주헌정을 위한 소중한 자취를 남기고 있었다. 파도가 쓸려간 자리에 그 파도의 여적이 퇴적층을 남기듯이 질곡의 헌정사에서도 소중한 씨앗은 잉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긍정을 향한 부정의 소멸과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40년 동안에 10개의 헌법을 체험한 헌정사적 소용돌이는 마침내 20년 이상 안정을 지속하는 헌법의 안정시대를 구가하고 있다. 국민을 옥죄던 국가긴급권의 망령도 사라진지 4반세기를 넘어서고 있다. 긴 소용돌이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역사의 이정표,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 두 번의 평화적 정권교체는 한국 민주주의가 외견상 동아시아적인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헌법의 문제점을 점검할 때가 되었다. 하지만 헌법사의 불안정 속에서도 우리가 가꿔 온 소중한 제도에 그 향기를 부여하는 방향으로의 헌법개정이어야 한다. 새 것만이 좋은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는 인식의 기초 아래 새 헌법의 구상도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헌법 못지않게 우리에게 맞는 우리에게 착근한 정치제도가 무엇인지 성찰할 시점이다. 또한 통일시대를 대비한 헌법규범도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야 한다. 작금의 헌법개정 논의에 있어서도 통일이 5년 또는 10년 내에 가능할 것인지의 여부는 중요한 변수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 통일을 대비하는 헌법개혁은 헌법을 미완성헌법이 아니라 완성헌법으로 정립하는 것이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헌법학회, 4 (4): 1998

      2 문광삼, "현행헌법상 통치구조 개현의 쟁점과 방향" 34 (34): 2005

      3 신우철,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몇 가지 생각-우리 헌정사의 경험을 반추하면서" 41 (41): 200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8

      5 권영설, "헌법재판운영상의 쟁점과 비판적 분석" 12 (12): 2006

      6 허영,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권한갈등을 어떻게 풀 것인가" 24 (24): 1996

      7 "헌법재판소 용역과제 in : 현행 헌법상 헌법재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6 : 2005

      8 남복현, "헌법재판 관할권의 재설계― 현행헌법 20년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 한국공법학회 35 (35): 1-48, 2007

      9 은숭표, "헌법이론에서의 참여와 정당성" 31 (31): 2002

      10 성낙인, "헌법연습" 법문사 2000

      1 한국헌법학회, 4 (4): 1998

      2 문광삼, "현행헌법상 통치구조 개현의 쟁점과 방향" 34 (34): 2005

      3 신우철,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몇 가지 생각-우리 헌정사의 경험을 반추하면서" 41 (41): 200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8

      5 권영설, "헌법재판운영상의 쟁점과 비판적 분석" 12 (12): 2006

      6 허영,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권한갈등을 어떻게 풀 것인가" 24 (24): 1996

      7 "헌법재판소 용역과제 in : 현행 헌법상 헌법재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6 : 2005

      8 남복현, "헌법재판 관할권의 재설계― 현행헌법 20년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 한국공법학회 35 (35): 1-48, 2007

      9 은숭표, "헌법이론에서의 참여와 정당성" 31 (31): 2002

      10 성낙인, "헌법연습" 법문사 2000

      11 전광석, "헌법과 한국민주주의: 1987년 헌정체제를 중심으로" 12 (12): 2006

      12 "헌법개정추친단, 개헌 더 낳은 미래를 위한 선택입니다, 2007"

      13 조병윤,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추진체계" 2008

      14 도회근, "헌법개정의 쟁점과 과제-공법학자 설문조사 결과분석" 34 (34): 2005

      15 김문현, "헌법개정의 기본방향" 34 (34): 2006

      16 김형성, "헌법개정의 과제와 전망" 12 (12): 2006

      17 한국헌법학회, "헌법개정연구(2006 헌법개정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2006

      18 한국공법학회, "헌법개정안 연구보고서" 2006

      19 대한민국 국회, "헌법개정심의록" 1 : 1967

      20 정재황, "헌법개정과 정부형태" 34 (34):

      21 최대권, "헌법개정 논의" 26 (26): 1998

      22 함께하는 시민행동, "헌법 다시 보기 :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007

      23 권영성, "헌법 50의 평가와 정보화시대의 헌법적 과제"

      24 김수용, "해방 후 헌법논의와 1948년 헌법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7

      25 "한반도선진화재단, 대한민국신진화를 위한 바람직한 헌법개정-21세기 국가 이상에 맞는 개헌 방향은 무엇인가, 2008.10.14, 국회 헌정기념관"

      26 이국운, "한국헌정에서 입법자의 권위 실추:진단과 처방-입헌적 공화주의의 관점" 35 (35): 2006

      27 정종섭, "한국헌법상 대통령제의 과제" 5 (5):

      28 정신문화연구원, "한국헌법사(상), (하)" 1988

      29 김영수, "한국헌법사" 학문사 2000

      30 김철수, "한국헌법사" 대학출판사 1988

      31 성낙인, "한국헌법과 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 5 (5):

      32 박상철, "한국정치법학론 in : 제1장 권력구조의 개헌쟁점과 민주주의논쟁" 리북 2008

      33 이헌환, "한국의 대통령제" 2008

      34 이준일, "한국에서 의원내각제" 2008

      35 이관희, "한국민주헌법론 Ⅱ" 박영사 2008

      36 "한국공법학회, 유신헌법 자료집, 2003"

      37 진영재,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38 정재황, "프랑스 혼합정부제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고찰" 27 (27): 1999

      39 "특집 2 한국헌정 40주년" 한국공법학회 17 : 1989

      40 박정원, "통일헌법에 대한 골격구상" 27 (27): 1998

      41 성낙인, "통일헌법상 권력구조에 관한 연구" 36 (36): 2007

      42 김형남, "통일한국의 헌법재판제도에 대한 전망" 14 (14): 2008

      43 권영설, "통일지향적 정부형태로서의 대통령제" 27 (27): 1999

      44 권영설, "통일순응적 정치체계의 몇 가지 모색" 19 : 1991

      45 방승주, "참여와 민주적 정당성 in : 한국 참여민주주의의 헌법적 과제와 평가" 32 (32): 2003

      46 오동석, "지방자치제의 형성과정" 31 (31): 2003

      47 신봉기, "지방자치에 있어서 직접민주제의 도입-주민소환제와 관련하여" 33 (33): 2004

      48 최경옥, "제헌국회의 성립사-미군정법령과 관련하여" 31 (31): 2003

      49 한상범, "제헌과 민주화의 시련" 17 : 1989

      50 양건, "제4공화국 및 제5공화국 헌법사의 개관(1972-1988)" 17 : 1989

      51 백영철, "제2공화국과 한국민주주의" 나남 1996

      52 김도협, "제2공화국 국무원에 관한 연구-독일연방정부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14 (14): 2008

      53 박찬욱, "정부형태와 개헌과제" 2008

      54 김병록, "정부형태 바꾸어야 하는가" 27 (27): 1999

      55 권영설, "정부교체와 개혁의 몇 가지 헌법문제" 22 (22): 1994

      56 강경근, "정보화사회와 대의정 그리고 헌법의 개정" 26 (26): 1998

      57 문홍주, "절충형 정부형태" 15 : 1987

      58 장용근, "전자민주주의의 헌법적 연구" 서울대 2004

      59 한상희, "전자민주주의의 실천을 위한 공법의 과제와 국가정보화"

      60 윤명선,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30 (30):

      61 김선택, "재신임국민투표의 법률적 무의미성과 정치적 유의미성" 32 (32): 2004

      62 전학선, "이원정부제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2008

      63 김도협, "의원내각제의 성공적 수용을 위한 전제조건" 33 (33): 2005

      64 이영록, "유진오 헌법사상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 2000

      65 김승환, "유신헌법하에서의 헌법학이론" 31 (31): 2002

      66 성낙인, "유신헌법의 역사적 평가" 31 (31): 2002

      67 황태연, "유럽의 분권형대통령제와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방안" 2008

      68 송기춘, "우리 헌법상 대통령 탄핵제도에 관한 소고" 32 (32): 2004

      69 양건, "여민주주의ㆍ시민운동ㆍ법" 26 (26):

      70 정종섭, "시민단체와 참여민주주의" 26 (26):

      71 이기우, "시ㆍ도의 지위 보장을 위한 헌법개정의 과제" 2008

      72 신우철, "비교헌법사-대한민국 입헌주의의 연원" 법문사 2008

      73 장명봉, "분단국가의 통일과 헌법" 국민대 출판부 2001

      74 이기우, "분권적 국가권력구조의 개편을 위한 헌법개정의 과제" 2008

      75 안경환, "법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in : 법학교육과 사법제도개혁" 서울대 출판부 1998

      76 신평, "박정희 시대의 사법부, 그에 대한 헌법적 성찰" 31 (31): 2002

      77 김효전, "바이마르헌법과 한국헌법" 1 : 1986

      78 박기덕, "민주주의와 정치제도: 체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998

      79 정상우, "미군정기 중간파의 헌정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7

      80 이경주, "미 군정사료와 헌정사" 31 (31): 2003

      81 김철수, "독일통일의 정치와 헌법" 박영사 2004

      82 장영수, "독일식 의원내각제의 한국적 적용" 5 (5):

      83 허영, "독일 통일의 법적 조명" 박영사 1994

      84 장명봉, "독일 통일 후의 헌법개혁에 관한 고찰" 23 (23): 1995

      85 "대화문화아카데미, 새로운 헌법 필요한가, 2008"

      86 서희경,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기초와 수정" 31 (31): 2003

      87 박인수, "대표제 민주주의와 국민투표" 32 (32): 2004

      88 정만희, "대통령제에 있어서 분열정부의 헌법문제" 14 (14): 2008

      89 정태호, "대통령임기제 개헌의 필요성과 정당성" 13 (13):

      90 음선필,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의 선거주기: 정치권력의 시간적 배분" 13 (13): 2007

      91 음선필, "대통령 재신임 국민투표의 위헌성 논의" 32 (32): 2004

      92 성낙인, "대통령 유고ㆍ권한대행ㆍ후임자선거" 13 (13):

      93 김종철, "대통령 4년 연임제 ‘원 포인트’ 개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3 (13):

      94 권영설,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그 긴장과 조화의 과제" 33 (33): 2004

      95 허경, "내각제개헌의 당위성" 27 (27): 1999

      96 변해철, "남북한통합과 통치구조문제" 21 : 1993

      97 권영성, "남북한통합과 국가체제문제" 21 : 1993

      98 양건, "남북의 통일방안을 어떻게 볼 것인가" 22 (22): 1994

      99 김효전, "권위주의헌법의 성립과 붕괴" 17 : 1989

      100 박종보, "국회의 대정부 통제권- 대통령 탄핵을 중심으로- 대통령 탄핵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2 (32): 79-112, 2004

      101 장영수, "국회의 기능 활성화와 제어- 국회의 대정부통제기능과 그에 대한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공법학회 32 (32): 113-138, 2004

      102 "국제평화전략연구원 편, 한국의 권력구조논쟁, 1ㆍ2, 풀빛, 1997, 3, 인간사랑, 2002"

      103 이성환, "국민소환제의 헌법적 검토" 33 (33): 2004

      104 임종훈, "국가권력구조의 개편방향" 12 (12): 2006

      105 김수용, "건국과 헌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8 : 2008

      106 임지봉,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정부의 개헌시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본권 규정 개정을 중심으로" 13 (13): 2007

      107 김종철, "개헌론과 감사개혁의 과제" 2008

      108 김유환, "감사원의 지위와 기능에 관한 법적 문제" 22 (22): 1994

      109 W. H. Riker, "“Le bipartisme et la loi de Duverger,” in Melanges Duverger, Paris, PUF, 1988, p. 406"

      110 "Pierre Desmottes, De la r?ponsabilit?p?ale des ministres em r?ime parlementaire fran?is, Paris, LGDJ, 1968"

      111 "Otto Mayer, Deutsches Vervaltungsrecht Ⅰ, 1924"

      112 "Maurice Duverger, La monarchie r?ublicaine, Ed. R. Laffont, 1974"

      113 "Maurice Duverger, Institutions politiques et droit constitutionnel, tome 2, Paris, PUF, 1985"

      114 "L? Hamon et Albert Mabileau, La personnalisation du pouvoir, PUF, 1964"

      115 "Arthur Meier Schlesinger Jr., The Imperial Presidency, 1973"

      116 김민전, "8년 중임제 대통령제를 지지하며"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6 1.0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