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헌법학회, 4 (4): 1998
2 문광삼, "현행헌법상 통치구조 개현의 쟁점과 방향" 34 (34): 2005
3 신우철, "현행 대통령제에 대한 몇 가지 생각-우리 헌정사의 경험을 반추하면서" 41 (41): 200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8
5 권영설, "헌법재판운영상의 쟁점과 비판적 분석" 12 (12): 2006
6 허영,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권한갈등을 어떻게 풀 것인가" 24 (24): 1996
7 "헌법재판소 용역과제 in : 현행 헌법상 헌법재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6 : 2005
8 남복현, "헌법재판 관할권의 재설계― 현행헌법 20년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 한국공법학회 35 (35): 1-48, 2007
9 은숭표, "헌법이론에서의 참여와 정당성" 31 (31): 2002
10 성낙인, "헌법연습" 법문사 2000
11 전광석, "헌법과 한국민주주의: 1987년 헌정체제를 중심으로" 12 (12): 2006
12 "헌법개정추친단, 개헌 더 낳은 미래를 위한 선택입니다, 2007"
13 조병윤,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추진체계" 2008
14 도회근, "헌법개정의 쟁점과 과제-공법학자 설문조사 결과분석" 34 (34): 2005
15 김문현, "헌법개정의 기본방향" 34 (34): 2006
16 김형성, "헌법개정의 과제와 전망" 12 (12): 2006
17 한국헌법학회, "헌법개정연구(2006 헌법개정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2006
18 한국공법학회, "헌법개정안 연구보고서" 2006
19 대한민국 국회, "헌법개정심의록" 1 : 1967
20 정재황, "헌법개정과 정부형태" 34 (34):
21 최대권, "헌법개정 논의" 26 (26): 1998
22 함께하는 시민행동, "헌법 다시 보기 :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007
23 권영성, "헌법 50의 평가와 정보화시대의 헌법적 과제"
24 김수용, "해방 후 헌법논의와 1948년 헌법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7
25 "한반도선진화재단, 대한민국신진화를 위한 바람직한 헌법개정-21세기 국가 이상에 맞는 개헌 방향은 무엇인가, 2008.10.14, 국회 헌정기념관"
26 이국운, "한국헌정에서 입법자의 권위 실추:진단과 처방-입헌적 공화주의의 관점" 35 (35): 2006
27 정종섭, "한국헌법상 대통령제의 과제" 5 (5):
28 정신문화연구원, "한국헌법사(상), (하)" 1988
29 김영수, "한국헌법사" 학문사 2000
30 김철수, "한국헌법사" 대학출판사 1988
31 성낙인, "한국헌법과 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 5 (5):
32 박상철, "한국정치법학론 in : 제1장 권력구조의 개헌쟁점과 민주주의논쟁" 리북 2008
33 이헌환, "한국의 대통령제" 2008
34 이준일, "한국에서 의원내각제" 2008
35 이관희, "한국민주헌법론 Ⅱ" 박영사 2008
36 "한국공법학회, 유신헌법 자료집, 2003"
37 진영재,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38 정재황, "프랑스 혼합정부제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고찰" 27 (27): 1999
39 "특집 2 한국헌정 40주년" 한국공법학회 17 : 1989
40 박정원, "통일헌법에 대한 골격구상" 27 (27): 1998
41 성낙인, "통일헌법상 권력구조에 관한 연구" 36 (36): 2007
42 김형남, "통일한국의 헌법재판제도에 대한 전망" 14 (14): 2008
43 권영설, "통일지향적 정부형태로서의 대통령제" 27 (27): 1999
44 권영설, "통일순응적 정치체계의 몇 가지 모색" 19 : 1991
45 방승주, "참여와 민주적 정당성 in : 한국 참여민주주의의 헌법적 과제와 평가" 32 (32): 2003
46 오동석, "지방자치제의 형성과정" 31 (31): 2003
47 신봉기, "지방자치에 있어서 직접민주제의 도입-주민소환제와 관련하여" 33 (33): 2004
48 최경옥, "제헌국회의 성립사-미군정법령과 관련하여" 31 (31): 2003
49 한상범, "제헌과 민주화의 시련" 17 : 1989
50 양건, "제4공화국 및 제5공화국 헌법사의 개관(1972-1988)" 17 : 1989
51 백영철, "제2공화국과 한국민주주의" 나남 1996
52 김도협, "제2공화국 국무원에 관한 연구-독일연방정부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14 (14): 2008
53 박찬욱, "정부형태와 개헌과제" 2008
54 김병록, "정부형태 바꾸어야 하는가" 27 (27): 1999
55 권영설, "정부교체와 개혁의 몇 가지 헌법문제" 22 (22): 1994
56 강경근, "정보화사회와 대의정 그리고 헌법의 개정" 26 (26): 1998
57 문홍주, "절충형 정부형태" 15 : 1987
58 장용근, "전자민주주의의 헌법적 연구" 서울대 2004
59 한상희, "전자민주주의의 실천을 위한 공법의 과제와 국가정보화"
60 윤명선,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30 (30):
61 김선택, "재신임국민투표의 법률적 무의미성과 정치적 유의미성" 32 (32): 2004
62 전학선, "이원정부제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2008
63 김도협, "의원내각제의 성공적 수용을 위한 전제조건" 33 (33): 2005
64 이영록, "유진오 헌법사상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 2000
65 김승환, "유신헌법하에서의 헌법학이론" 31 (31): 2002
66 성낙인, "유신헌법의 역사적 평가" 31 (31): 2002
67 황태연, "유럽의 분권형대통령제와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방안" 2008
68 송기춘, "우리 헌법상 대통령 탄핵제도에 관한 소고" 32 (32): 2004
69 양건, "여민주주의ㆍ시민운동ㆍ법" 26 (26):
70 정종섭, "시민단체와 참여민주주의" 26 (26):
71 이기우, "시ㆍ도의 지위 보장을 위한 헌법개정의 과제" 2008
72 신우철, "비교헌법사-대한민국 입헌주의의 연원" 법문사 2008
73 장명봉, "분단국가의 통일과 헌법" 국민대 출판부 2001
74 이기우, "분권적 국가권력구조의 개편을 위한 헌법개정의 과제" 2008
75 안경환, "법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in : 법학교육과 사법제도개혁" 서울대 출판부 1998
76 신평, "박정희 시대의 사법부, 그에 대한 헌법적 성찰" 31 (31): 2002
77 김효전, "바이마르헌법과 한국헌법" 1 : 1986
78 박기덕, "민주주의와 정치제도: 체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998
79 정상우, "미군정기 중간파의 헌정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7
80 이경주, "미 군정사료와 헌정사" 31 (31): 2003
81 김철수, "독일통일의 정치와 헌법" 박영사 2004
82 장영수, "독일식 의원내각제의 한국적 적용" 5 (5):
83 허영, "독일 통일의 법적 조명" 박영사 1994
84 장명봉, "독일 통일 후의 헌법개혁에 관한 고찰" 23 (23): 1995
85 "대화문화아카데미, 새로운 헌법 필요한가, 2008"
86 서희경,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기초와 수정" 31 (31): 2003
87 박인수, "대표제 민주주의와 국민투표" 32 (32): 2004
88 정만희, "대통령제에 있어서 분열정부의 헌법문제" 14 (14): 2008
89 정태호, "대통령임기제 개헌의 필요성과 정당성" 13 (13):
90 음선필,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선거의 선거주기: 정치권력의 시간적 배분" 13 (13): 2007
91 음선필, "대통령 재신임 국민투표의 위헌성 논의" 32 (32): 2004
92 성낙인, "대통령 유고ㆍ권한대행ㆍ후임자선거" 13 (13):
93 김종철, "대통령 4년 연임제 ‘원 포인트’ 개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3 (13):
94 권영설,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그 긴장과 조화의 과제" 33 (33): 2004
95 허경, "내각제개헌의 당위성" 27 (27): 1999
96 변해철, "남북한통합과 통치구조문제" 21 : 1993
97 권영성, "남북한통합과 국가체제문제" 21 : 1993
98 양건, "남북의 통일방안을 어떻게 볼 것인가" 22 (22): 1994
99 김효전, "권위주의헌법의 성립과 붕괴" 17 : 1989
100 박종보, "국회의 대정부 통제권- 대통령 탄핵을 중심으로- 대통령 탄핵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2 (32): 79-112, 2004
101 장영수, "국회의 기능 활성화와 제어- 국회의 대정부통제기능과 그에 대한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공법학회 32 (32): 113-138, 2004
102 "국제평화전략연구원 편, 한국의 권력구조논쟁, 1ㆍ2, 풀빛, 1997, 3, 인간사랑, 2002"
103 이성환, "국민소환제의 헌법적 검토" 33 (33): 2004
104 임종훈, "국가권력구조의 개편방향" 12 (12): 2006
105 김수용, "건국과 헌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8 : 2008
106 임지봉, "개헌의 바람직한 방향-정부의 개헌시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기본권 규정 개정을 중심으로" 13 (13): 2007
107 김종철, "개헌론과 감사개혁의 과제" 2008
108 김유환, "감사원의 지위와 기능에 관한 법적 문제" 22 (22): 1994
109 W. H. Riker, "“Le bipartisme et la loi de Duverger,” in Melanges Duverger, Paris, PUF, 1988, p. 406"
110 "Pierre Desmottes, De la r?ponsabilit?p?ale des ministres em r?ime parlementaire fran?is, Paris, LGDJ, 1968"
111 "Otto Mayer, Deutsches Vervaltungsrecht Ⅰ, 1924"
112 "Maurice Duverger, La monarchie r?ublicaine, Ed. R. Laffont, 1974"
113 "Maurice Duverger, Institutions politiques et droit constitutionnel, tome 2, Paris, PUF, 1985"
114 "L? Hamon et Albert Mabileau, La personnalisation du pouvoir, PUF, 1964"
115 "Arthur Meier Schlesinger Jr., The Imperial Presidency, 1973"
116 김민전, "8년 중임제 대통령제를 지지하며"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