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The Korean thought has dominated the our people's history and our spirit after our people has established a nation. Currently, the blind obedience on the western thought and the ancient Chinese thought is prevalent in our society. Some people say the question that “Is there a Korean thought in Korea?”. The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thought like Hongikingan(弘益人間), Jeseihwa(在世理化) and Juphwagunshang(接化群生) etc,. Nevertheless, the Korean thought has been badly mutilated by blind toadying scholar about foreign and imported ideas.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is pursuing the analysi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as premise of deep studying about Korean thought. If I define the concept of the Korean thought, it is chiefly based on our intrinsic thought. In sequence, the Korean thought has accepted foreign ideas centering around a unique Korean thought. The scope of the Korean thought is the same as noted above.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The Korean thought has dominated the our people's history and our spirit after our people has established a nation. Currently, the blind obedience on the western thought and th...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The Korean thought has dominated the our people's history and our spirit after our people has established a nation. Currently, the blind obedience on the western thought and the ancient Chinese thought is prevalent in our society. Some people say the question that “Is there a Korean thought in Korea?”. The Korean thought has the character of thought like Hongikingan(弘益人間), Jeseihwa(在世理化) and Juphwagunshang(接化群生) etc,. Nevertheless, the Korean thought has been badly mutilated by blind toadying scholar about foreign and imported ideas.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is pursuing the analysi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thought as premise of deep studying about Korean thought. If I define the concept of the Korean thought, it is chiefly based on our intrinsic thought. In sequence, the Korean thought has accepted foreign ideas centering around a unique Korean thought. The scope of the Korean thought is the same as noted abo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나라를 세운 후 우리 민족사와 우리의 정신을 지배해왔다. 오늘 우리가 여기까지 이른 것도 우연이 아니고 한국사상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현재 서양사상에 대한 맹종과 동양사상 특히 중국사상에 대한 맹종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혹자들은 한국에 과연 한국사상이 있는가? 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처럼 건국 후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 및 접화군생(接化群生) 등 확고부동한 사상성을 지니고 있던 한국사상은 외래사조에 대한 맹목적인 사대주의 학자 및 연구자들로 의해 그 의미와 역사성이 심히 훼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상에 대한 보다 심층 있는 연구의 전개를 위한 제1차적인 전제로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사상은 한국사상 나름의 고유성을 지니고 있고 한국사상은 다른 사상과 다른 주체성도 분명히 함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사상은 한국사와 우리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위한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기본인식을 가지고 한국사상을 개념정의하면 한국사상은 고유한 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의 사조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용하여 정립된 사상이라고 개념정의할 수 있다. 한국사상의 범위 역시 이러한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나라를 세운 후 우리 민족사와 우리의 정신을 지배해왔다. 오늘 우리가 여기까지 이른 것도 우연이 아니고 ...

      본 논문은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나라를 세운 후 우리 민족사와 우리의 정신을 지배해왔다. 오늘 우리가 여기까지 이른 것도 우연이 아니고 한국사상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현재 서양사상에 대한 맹종과 동양사상 특히 중국사상에 대한 맹종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혹자들은 한국에 과연 한국사상이 있는가? 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처럼 건국 후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 및 접화군생(接化群生) 등 확고부동한 사상성을 지니고 있던 한국사상은 외래사조에 대한 맹목적인 사대주의 학자 및 연구자들로 의해 그 의미와 역사성이 심히 훼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상에 대한 보다 심층 있는 연구의 전개를 위한 제1차적인 전제로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사상은 한국사상 나름의 고유성을 지니고 있고 한국사상은 다른 사상과 다른 주체성도 분명히 함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사상은 한국사와 우리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위한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기본인식을 가지고 한국사상을 개념정의하면 한국사상은 고유한 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의 사조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용하여 정립된 사상이라고 개념정의할 수 있다. 한국사상의 범위 역시 이러한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采浩, "浪客의 新年漫筆, In 丹齋 申采浩 全集(下卷)" 丹齋申采浩先生記念事業會 1995

      2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의 성격과 과제"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3 정경환, "한국정치사상 연구 :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경 2010

      4 박연수, "한국인의 지혜" 집문당 2003

      5 최창규, "한국의 사상" 서문당 1996

      6 崔仁, "한국사상의 신발견" 오늘 1988

      7 조지훈, "한국사상의 모색, In 한국학연구" 나남출판 1996

      8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9 정경환, "한국고대정치사상의 내용과 의미, In 한국정치사상 연구 :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경 2010

      10 정경환, "철학에 대하여(3)"

      1 申采浩, "浪客의 新年漫筆, In 丹齋 申采浩 全集(下卷)" 丹齋申采浩先生記念事業會 1995

      2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의 성격과 과제"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3 정경환, "한국정치사상 연구 :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경 2010

      4 박연수, "한국인의 지혜" 집문당 2003

      5 최창규, "한국의 사상" 서문당 1996

      6 崔仁, "한국사상의 신발견" 오늘 1988

      7 조지훈, "한국사상의 모색, In 한국학연구" 나남출판 1996

      8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9 정경환, "한국고대정치사상의 내용과 의미, In 한국정치사상 연구 :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경 2010

      10 정경환, "철학에 대하여(3)"

      11 정영도, "철학사전 : 개념의 근원" 이경 2012

      12 정경환, "중국사상의 노예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1)"

      13 정경환, "주체(1)"

      14 양근석, "제5장 단군시대의 통치철학 연구 -대한민국 60년, 그 반성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45-198, 2009

      15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25-166, 2009

      16 이현희, "제1장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사상 인식"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9-32, 2009

      17 이현희, "제1장 석오 이동녕의 애국사상과 활동"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9-40, 2010

      18 金凡父, "정치철학 특강 : 凡夫遺稿" 以文出版社 1986

      19 정경환, "자기철학의 실종시대를 통탄한다"

      20 김득황, "우리민족 우리역사" 삶과 꿈 2003

      21 Nietzsche, Friedrich W,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8

      22 김부식,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2004

      23 데카르트, "방법서설, In 방법서설․성찰 데까르뜨연구" 서광사 1984

      24 Fromm, Erich, "반항과 자유" 文學出版社 1990

      25 정경환, "민족주의 연구" 이경 2009

      26 안호상, "민족사상의 정통과 역사" 1992

      27 이현희, "동학과 근대성"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007

      28 韓龍雲, "나와 너, In 韓龍雲全集, 2" 佛敎文化硏究院 2006

      29 韓龍雲, "靜中動, In 韓龍雲全集, 2" 佛敎文化硏究院 2006

      30 "金剛經"

      31 朴鍾鴻, "民族的 主體性, In 現實과 構想" 博英社 1963

      32 大學國民倫理敎育硏究會, "國民倫理" 大旺社 1978

      33 申采浩, "問題 없는 論文, In 丹齋 申采浩 全集(下卷)" 丹齋申采浩先生記念事業會 1995

      34 金得榥, "(增補)韓國思想史" 大地文化史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