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다층모형 활용실태와 비판적 성찰 = Actual Condition and Critical Reflection of Multi-level Analysi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1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which are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use of multi-level model that can predict causal relationships by reflecting nested or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s gr...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which are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use of multi-level model that can predict causal relationships by reflecting nested or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multi-level model has been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o critically reflect on its use in th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e last 22 years (2000~2022) (Volume 20, No. 1 ~ Volume 40, No. 2) and selected 58 studies adopting multi-level models. Analyses were conducted by 9 criteria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research methods, analyses, and result presentations.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 research using the multi-level model is rapidly increasing in higher education as well a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particular, that 74% of research papers analyzed in the study used secondary data indicates a tendency that as the longitudinal data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urther expanded, the use of the multi-level method increased mo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 analyzed in the study did not provide specific theoretical grounds for variables. Only 17 papers (29%) presented research models. In addition, there were only a few papers that presented the minimum number of cases in a group, handling of missing values, centering, reliability estimation, and model fit, all of which are sensitive issues in multi-level models. This study suggests preparing guidelines in the Korean Educational Adminstration Society for the use of the multi-level model, which will enable the constructive and rational use of i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importance of the multi-level model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and large-scale education-related data is being collected according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조직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는 교육행정학 분야에서 내재된(nested) 또는 위계화된(hierarchical) 조직특성을 반영하여 인과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층모형의 활용이 점차 늘고 있다. 이 연...

      교육조직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는 교육행정학 분야에서 내재된(nested) 또는 위계화된(hierarchical) 조직특성을 반영하여 인과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층모형의 활용이 점차 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 연구에서 다층모형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행정학연구’ 2000년 20권 1호부터 2022년 40권 2호까지 22년 동안 수록된 다층모형을 활용한 논문 58편을 대상으로 이론적 근거, 연구방법, 분석 및 결과보고 분석영역 9가지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층모형을 활용한 논문은 초·중등분야뿐만 아니라 고등교육분야에서도 최근 급속히 늘었고, 특히 2차 자료를 활용한 논문이 74%로 교육청 종단자료 생성이 확대되면서 다층모형 활용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논문 대부분 변수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한 논문은 17편(29%)에 불과하였다. 또한 일반회귀모형과 달리 다층모형에서 민감한 이슈인 집단 내 최소사례 수, 결측치 처리 과정, 중심점 교정, 신뢰도 추정, 모형 적합도를 언급하지 않은 논문이 다수 있었다. 다층모형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이에 부합하여 대규모 교육종단자료가 수집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교육행정학연구에서 다층모형을 엄격하게 활용하기 위해 학회 내 지침을 마련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현철 ; 최호식 ; 한상태 ; 김성광,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833-843, 2011

      2 신현석 ; 박균열 ; 정주영 ; 김진미,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양적 연구 동향 분석:「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09-142, 2014

      3 임형택, "학자의 학문활동과 학파형성에 관한 과학사회학적 고찰" 3 (3): 111-131, 1991

      4 공희정 ; 이병식,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77-207, 2014

      5 변기용, "학문권력 1 : 블라인드 리뷰와 학문의 발전, 대학지성 In & Out"

      6 이고은 ; 오범호,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재정 자율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9 (39): 213-235, 2021

      7 이자형 ; 이기혜, "청소년의 정신건강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교육경험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93-222, 2019

      8 손성철 ; 정범구 ; 주지훈, "조직 연구에서 다층모형 적용에 관한 고찰 - 위계적 선형모형(HLM)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75-98, 2013

      9 유정진,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한국아동학회 27 (27): 169-187, 2006

      10 설가인,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일반대학 신입생의 대학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40 (40): 1-33, 2022

      1 강현철 ; 최호식 ; 한상태 ; 김성광,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833-843, 2011

      2 신현석 ; 박균열 ; 정주영 ; 김진미,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양적 연구 동향 분석:「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09-142, 2014

      3 임형택, "학자의 학문활동과 학파형성에 관한 과학사회학적 고찰" 3 (3): 111-131, 1991

      4 공희정 ; 이병식,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77-207, 2014

      5 변기용, "학문권력 1 : 블라인드 리뷰와 학문의 발전, 대학지성 In & Out"

      6 이고은 ; 오범호,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재정 자율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9 (39): 213-235, 2021

      7 이자형 ; 이기혜, "청소년의 정신건강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교육경험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93-222, 2019

      8 손성철 ; 정범구 ; 주지훈, "조직 연구에서 다층모형 적용에 관한 고찰 - 위계적 선형모형(HLM)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75-98, 2013

      9 유정진,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한국아동학회 27 (27): 169-187, 2006

      10 설가인,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일반대학 신입생의 대학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40 (40): 1-33, 2022

      11 주휘정,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603-626, 2012

      12 민윤경 ; 정혜주 ; 신동용, "방학생활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경기도교육청의 방학분산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63-89, 2018

      13 김승정, "박사과정생의 학문사회화와 역량에 관한 연구" 2017

      14 이병식 ; 전민경,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 가능성 탐색연구: 학내 국제화(IaH)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381-403, 2015

      15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16 이광현, "교육정책효과 양적 분석 현황 및 제언" 241-270, 2022

      17 변수용, "교육 연구 질에 대한 비판과 반성, 그리고 변화: 미국 경험을 중심으로" 135-162, 2022

      18 홍창남, "교사 효능감의 제고가능성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61-186, 2006

      19 김병찬 ; 유경훈, "‘교육행정학연구’ 게재 논문의 연구 동향 특징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73-200, 2017

      20 Merton, R. K., "The Sociology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21 McCoach, B. D., "The Review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92-312, 2019

      22 Hancock, Stapleton, Mueller, "The Review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9

      23 Maas, C. J. M., "Sufficient Sample Sizes for Multi level Modeling" 1 (1): 86-, 2005

      24 Snijders, T., "Multileve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Basic and Advanced Multilevel Modeling" Sage 1999

      25 Chetty, R., "Measuring the impacts ofteachers I : Evaluating bias in teacher value-added estimates" 104 (104): 2593-2632, 2014

      26 Antony, J. S., "Higher Education :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Vol XXI" Springer 349-380, 2002

      27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2002

      28 Raudenbush, S.W, "HLM 5,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2000

      29 Kreft, L., "Are multilevel techniques necessary? An overview: including simulation studie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1996

      30 Anold, C. L., "An introduction to Hierarchical linear models" 25 : 58-90,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