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아비투스를 재현하는 성의 정치학  :  수애가 출연한 영화를 중심으로 = The Representation of Women’s Abitus and the Sexual Politics in the Movies SooAe Ac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00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배우 수애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전부인 <가족>, <나의 결혼원정기>, <그 해 여름>, <님은 먼 곳에> 등 네 편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영화가 한 여배우를 호명하고 가상의 여성 캐릭터를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한 의미를 생산하고 구축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성의 정치학을 분석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영화에서 여성인물들은 폭력, 분단, 반공 이데올로기, 전쟁 등의 실존의 조건에 의해 조용하고 순종적인 아비투스를 취하게 된다. 남성들은 이와 같은 여성의 연약한 모습을 수난 받는 국가와 동일시하여 지키고 보호하려고 애쓰며 마침내 여성은 남성에 의해 삶을 보장받고 특히 순결을 지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견고한 성정체성에 기반한 전근대적 서사구조에서 여성 인물은 주체적이지 못한 수동적 인간상으로 재현되고 남성과 여성은 상하관계 및 우열관계로 이원화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화의 여성인물 재현방식과 반복적으로 호명되는 여배우의 이미지는 오늘의 사회에서 여성에게 은밀하게 요구되는 이데올로기를 보여주며 가부장제 고착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페미니즘의 퇴보를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배우 수애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전부인 <가족>, <나의 결혼원정기>, <그 해 여름>, <님은 먼 곳에> 등 네 편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영화가 한 여배우를 ...

      본 연구는 여배우 수애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전부인 <가족>, <나의 결혼원정기>, <그 해 여름>, <님은 먼 곳에> 등 네 편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영화가 한 여배우를 호명하고 가상의 여성 캐릭터를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한 의미를 생산하고 구축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성의 정치학을 분석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영화에서 여성인물들은 폭력, 분단, 반공 이데올로기, 전쟁 등의 실존의 조건에 의해 조용하고 순종적인 아비투스를 취하게 된다. 남성들은 이와 같은 여성의 연약한 모습을 수난 받는 국가와 동일시하여 지키고 보호하려고 애쓰며 마침내 여성은 남성에 의해 삶을 보장받고 특히 순결을 지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견고한 성정체성에 기반한 전근대적 서사구조에서 여성 인물은 주체적이지 못한 수동적 인간상으로 재현되고 남성과 여성은 상하관계 및 우열관계로 이원화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화의 여성인물 재현방식과 반복적으로 호명되는 여배우의 이미지는 오늘의 사회에서 여성에게 은밀하게 요구되는 이데올로기를 보여주며 가부장제 고착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페미니즘의 퇴보를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4 movies actress SooAe performed as main character.
      She has a traditional images, as to say, she seems to be calm, passive and submissive to men and society. She acted in <a Family, 2004>, <Wedding Campaign, 2005>, <Once in a Summer, 2006> and <Sunny, 2008>. Women characters shows calm and submissive abitus come from existence condition as violence, divided country, anticommunism ideology, war etc.
      Men regard these week women as nation suffered and work to keep and protect them. Finally women can live and keep their purity by men's help. In these premodern narrative story women characters were represented as dependent and passive human beings. And men and women are divided into mutual relation and two sides as superiority and inferiority finally.
      In the end, the women characters representation styles and the images of actress repeatedly called in these movie to contribute to adhere patriarchy and retreat of feminism in this society.
      번역하기

      This is a study on the 4 movies actress SooAe performed as main character. She has a traditional images, as to say, she seems to be calm, passive and submissive to men and society. She acted in <a Family, 2004>, <Wedding Campaign, 2005>, ...

      This is a study on the 4 movies actress SooAe performed as main character.
      She has a traditional images, as to say, she seems to be calm, passive and submissive to men and society. She acted in <a Family, 2004>, <Wedding Campaign, 2005>, <Once in a Summer, 2006> and <Sunny, 2008>. Women characters shows calm and submissive abitus come from existence condition as violence, divided country, anticommunism ideology, war etc.
      Men regard these week women as nation suffered and work to keep and protect them. Finally women can live and keep their purity by men's help. In these premodern narrative story women characters were represented as dependent and passive human beings. And men and women are divided into mutual relation and two sides as superiority and inferiority finally.
      In the end, the women characters representation styles and the images of actress repeatedly called in these movie to contribute to adhere patriarchy and retreat of feminism in this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Ⅱ. 본론
      • 1. 이분화된 성정체성과 남성 환타지의 구현
      • Ⅰ. 서론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Ⅱ. 본론
      • 1. 이분화된 성정체성과 남성 환타지의 구현
      • 2. 여성의 재현에 내재된 성의 정치학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