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20918
2020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99-222(24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
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부분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향상에 미치는 가정의 역할이다.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가정 변인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 문항들을 추출하고 기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변인의 일부 항목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선 이번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된 항목들을 중심으로 가정이 교육적 중재를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학습자 특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여 영향력 있는 가정 변인 항목들을 새로 발굴하고 그 효과를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literacy will b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Literacy consis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ve domain is ...
Digital literacy will b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Literacy consis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ve domain is emphasiz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household in improving learner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everal items were selected as househol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igital literacy attitude was assessed with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 A total of 1008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tudy found that some items among the household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some do not. The items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by families of learners as par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foster digital literac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influential household variable items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more closely and verifying their effects through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준채, "한국판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223-246, 2008
2 서수현,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대한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43) : 243-270, 2017
3 윤준채, "초등학생 필자의 쓰기 태도 발달 연구" 한국작문학회 (8) : 277-298, 2009
4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5 이창호, "인터넷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에 관한 한․중․일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6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7 윤지영,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9-45, 2016
8 홍원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7-86, 2011
9 정현선,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우리학교 2017
10 정재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 : 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회 45 (45): 197-225, 2011
1 윤준채, "한국판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223-246, 2008
2 서수현,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대한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43) : 243-270, 2017
3 윤준채, "초등학생 필자의 쓰기 태도 발달 연구" 한국작문학회 (8) : 277-298, 2009
4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5 이창호, "인터넷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에 관한 한․중․일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6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7 윤지영,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9-45, 2016
8 홍원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7-86, 2011
9 정현선,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우리학교 2017
10 정재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 : 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회 45 (45): 197-225, 2011
11 이경숙, "부모의 관심과 문화자본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 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123-133, 2014
12 정혜승,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쟁점 탐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61-185, 2008
13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7-39, 2017
14 정현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21) : 5-42, 2004
15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50) : 263-294, 2015
16 옥현진,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2) : 251-283, 2016
17 이운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교육연구소 40 (40): 201-221, 2019
18 소경희,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7-50, 2010
19 Moll, L. C.,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9-348, 1990
20 Larson, R. W., "Toward a psychology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55 (55): 170-183, 2000
21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 Education 2030" OECD 2018
22 Graber, D., "Raising humans in a digital world" Harper Collins Leadership 2019
23 Boehm, H., "Parenting across the digital divide" AuthorHouse 2018
24 OECD, "PISA 2018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OECD Publishing 2019
25 Mullis, I. V. S., "PIRLS 2016 Assessment Framework" Boston College 2015
26 Barton, D., "Literacy: An introduction to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Blackwell 1994
27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996
28 Goldberg, I.,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29 Purcell-Gates, V.,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3)" LEA 853-870, 2000
30 Coiro, J., "From curiosity to deep learning" Stenhouse 2019
31 Taylor, D., "Family literacy: Young children learning to read and write"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83
32 Morrow, L., "Family literacy: Connections in schools and communities" IRA 1995
33 Teale, W.,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Ablex 1986
34 Griffiths, M.,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evidence" 1997
35 Ministry of Economic Development, "Digital strategy 2.0" MED 2008
36 Gilster, P., "Digital literacy" Wiley 1997
37 Lankshear, C., "Digital literacies" Peter Lang 2008
38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 "Digital britain" TSO 2009
39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Sage 2011
40 Vuorikari, R., "DigComp 2. 0 :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6
41 Hobbs, R., "Create to learn: Introduction to digital literacy" John Wiley & Sons 2017
42 Pahomov, L., "Authentic learning in the digital age" ASCD 2014
43 New London Group.,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 Designing social features" 66 (66): 60-92, 1996
44 Law, N.,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45 Davis, R. A.,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17 : 187-195, 2001
46 Harari, Y., "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김영사 2018
47 김지경, "2018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48 노명선,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49 최두진, "2018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초등교사의 국악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분석: 성취 기준 해설을 중심으로
교육지원청영재원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학습에 관한 흥미, 자기조절능력 및 과제집착력 비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