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평생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50181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교육전공 , 2010. 8
2010
한국어
서울
77 ; 26 cm
지도교수: 유재봉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평생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
본 연구는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평생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 및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여 표현하고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형성‧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는 학업의 지속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양한 상담 장면에서 전략적 상담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20대와 30대 성인학습자 338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성인용 정서지능 검사도구, 자기효능감 검사도구와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 검사도구이다. 성인용 정서지능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로서, Mayer와 Salovey(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AEQT(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는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한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 상호작용 검사도구는 Wiggins(1979, 1982)의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IAS)를 축약한 IAS-R(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Revised version)을 모델로 하여 정남운(2004)이 개발한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KIAS)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바람직한 분원과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변인 간 Pe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은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상호작용의 바람직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25.7%였으며, 정서조절(F=80.226, p<.001), 정서표현(F=15.683, p<.001), 감정이입(F=8.999, p<.01), 정서인식(F=7.786,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정서지능의 설명력은 21.6%였으며, 정서표현(F=56.171, p<.001), 정서활용(F=26.969, p<.001), 정서조절(F=6.967,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상호작용의 바람직한 분원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은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F=83.373, p<.001)이 19.6%의 설명력을 보였다. 바람직하지 못한 분원 전체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16.2%였으며, 자신감(F=59.825, p<.001), 자기조절효능감(F=6.517, p<.01)의 하위요인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help adult learners to mainta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help adult learners to mainta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ompetence and emotions on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Also this study wanted to present basic resources for counselling strategies for adult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2. What is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38 adult learners who study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in Seoul. Main methods for collecting data in this study were The Adult Emotional Quotient Test(AEQT), Self-Efficacy Rating Scale, and Korea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KIAS)(Jung, 2004). AEQT was developed by Moon(1996) based on the Mayer and Salovey(1990)'s emotional intelligence mode. KIAS was revised by Jung(2004) who shorten Wiggins'(1979, 1982) IAS-R.
SPSS 17.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of this study. Especially the data analyzed frequent analysis, Preason's co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al analysi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adul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explained significantly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were emotional regulation (F=80.226, p<.001), emotional expression (F=15.683, p<.001), empathy(F=8.999, p<.01), emotional acknowledge (F=7.786, p<.01) and R² was 25.7%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Second,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dult learner's self-efficacy affected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others.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at R² of self regulation efficacy(F=83.373, p<.001) was 19.6% in the positive section. In the negative section, this showed that R² of self-efficacy was 16.2%, followed by confidence(F=59.825, p<.001 and self regulation efficacy(F=6.517, p<.01).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