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미,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이윤미, "해방 후 여성 고등교육 취학동기의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49-174, 2002
3 윤택림, "한국의 모성" 미래인력연구원 2001
4 김영화, "한국의 고등교육팽창과 여성의 고등교육기회 구조변화" 1 (1): 1991
5 강유진, "한국여성노인의 생애경험과 노년기 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기석, "한국고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08
8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1970년대편(1)" 인물과사상사 2002
9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10 이미정, "한국 노동시장에서 여성교육의 저활용: 거시적 차원의 설명" 19 (19): 107-137, 1996
1 이영미,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이윤미, "해방 후 여성 고등교육 취학동기의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49-174, 2002
3 윤택림, "한국의 모성" 미래인력연구원 2001
4 김영화, "한국의 고등교육팽창과 여성의 고등교육기회 구조변화" 1 (1): 1991
5 강유진, "한국여성노인의 생애경험과 노년기 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기석, "한국고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08
8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1970년대편(1)" 인물과사상사 2002
9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10 이미정, "한국 노동시장에서 여성교육의 저활용: 거시적 차원의 설명" 19 (19): 107-137, 1996
11 김은실, "한국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논리와 성별 정치학, In 동아시아의 근대성과성의 정치학" 푸른사상사 183-212, 2002
12 이혜정, "한국 고등교육 기회의 성별 격차(1964~2005): 고등교육 팽창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2007
13 최돈민, "학력주의에서 능력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7 (7): 97-118, 2009
14 장상수, "학력성취의 계급별‧성별 차이" 한국사회학회 38 (38): 51-75, 2004
15 조경희, "학교 밖의 조선여성들" 일조각 2009
16 이미정, "인적자본으로서의 여성교육의 의미" 20 (20): 135-159, 1997
17 채성주, "유신(維新) 체제 하의 고등교육 개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17-336, 2003
18 LEEGYUNG SOOK, "유리천장 깨뜨리기" 한울 2004
19 윤경애, "우리나라 중ㆍ고등학교 입시제도의 변천에 관한 고찰" 11 : 77-92, 1980
20 민무숙, "여자박사의 노동시장내 지위에 대한 여성주의석 해석과 대응" 한국여성학회 18 (18): 173-201, 2002
21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31-64, 2002
22 이미정,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노동시장참여: 1980-1990년대를 중심으로" 21 (21): 75-114, 1999
23 장상수,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기회: 누가왜딸을대학에보냈는가?" 한국사회학회 40 (40): 127-156, 2006
24 조혜정, "여성과 직업: 전문직 활동을 중심으로, In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120-178, 1988
25 김은실, "식민지 근대성과 여성의 근대 체험: 여성 경험의 구술과 해석에 관한 방법론적 모색, In 한국의 근대성과 가부장제의 변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0-101, 2003
26 이기연, "성인여성의 학습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방송대 주부학생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27 이정옥, "산업자본주의시대, 여성의 삶과 서사" 한국여성문학학회 (8) : 231-260, 2002
28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29 오성철, "박정희의 국가주의 교육론과 경제성장" 11 : 53-80, 2003
30 전혜진, "미혼 공장 여성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근대적 여성성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31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32 丁海淑, "대학의 성별 구성이 여학생의 교육경험 및 교육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33 이혜영, "대학 입학정원 결정의 사회적 동인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34 안재희,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85-110, 2006
35 이윤미, "대졸 여성의 사회적 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여성교육정책에의 함의" 한국교육개발원 31 (31): 405-436, 2004
36 이재경, "근대 한국 사회의 '과학적 모성' 이데올로기의 출현과 전개, In 동아시아의근대성과 성의 정치학" 푸른사상사 145-166, 2002
37 김원, "그녀들의 반(反)역사, 여공 1970" 이매진 2005
38 "국가통계포털 추계 인구"
39 배은경,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경제적 기여와 돌봄노동, 친족관계 관리의 결합" 한국여성연구소 8 (8): 69-123, 2008
4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1964~2010" 2010
41 유희정, "고학력 전문직여성의 지위와 직업생활: 박사학위소지자를 중심으로" 7 : 159-179, 1990
42 김기헌, "고등교육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의 영향과 성별 격차: 한국과 일본의 경우" 한국사회학회 39 (39): 119-151, 2005
43 장미혜, "가족: 계급과 성별 불평등의 또 다른 영역: 중간계급과 노동자계급간 및 계급 내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105-146, 2005
44 우에노 치즈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녹두 1994
45 Acker, Sandra, "Women “Learning to Labour” in the “Male Emporium”: Exploring Gendered Work in Teacher Education" 19 (19): 297-316, 2007
46 Gill Valentine, "Theorizing and researching intersectionality : A challenge for Feminist geography" 59 (59): 10-21, 2007
47 Martin Trow, "The Second Transformation of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105-118, 1961
48 Scott, Joan W., "Gender: a Useful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Gender and the Politics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8-50, 1988
49 Butler, Judith P., "Gender trouble :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0
50 정미숙, "70년대 여성노동운동의 활성화에 관한 경험세계적 연구 : 섬유업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51 장하진, "70년대 세대의 여성적 체험" 6 : 10-18, 1995
52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통계분석자료집" 교과부 2008
53 장미경,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섹슈얼리티와 계급정치, In 1960-70년대 한국 노동자의 계급문화와 정체성" 한울 219-254, 2006
54 김영옥, "1970년대 근대화의 전개와 여성의 몸" 18 : 27-4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