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원류를 찾아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 및 개발 탐색 =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 Investigation of Harold Rugg’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design and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our social studies educators have shown a renewed interest i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ally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thinki...

      Recently, our social studies educators have shown a renewed interest i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ally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thinking, and moreover achieve the social integration and fair society we all desire now. However,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s have not been developed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s Harold Rugg’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design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e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Considering the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solving American problems, Rugg designed and developed hi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series based upon both the social needs and the learning theories. It appears that his textbook development model is still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based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oday. If we are going to develop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e will learn much from his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외 사회과 교육학계에서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함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통합과 공정사회를 이루는 ...

      최근 국내외 사회과 교육학계에서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함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통합과 공정사회를 이루는 데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내용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와 개발에 관하여 고찰한다. Rugg는 당시에 미국 사회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습 심리에 부합되게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그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와 개발 모형은 사회문제에 기초한 사회적 쟁점의 탐구가 가능한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오늘날에 적용하기에도 거의 손색이 없다. 우리가 앞으로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고 할 때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 원리와 개발 방식은 눈여겨 볼만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운선,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 원리와 실제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34 : 463-488, 2001

      2 박민정,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79-201, 2010

      3 조대훈, "사회과교육의 도전과 전망" 동문사 2012

      4 배영민,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중등교육연구소 60 (60): 135-164, 2012

      5 정지향, "내러티브 서술 방식 적용을 통한 역사적 사고 신장에 관한 연구" 17 (17): 92-118, 2005

      6 주태연, "고등학교 ‘사회문화’ 텍스트의 내러티브 서술양식이 학업성취도와 과목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33-156, 2008

      7 Riley, K. L., "“A bootlegged curriculum”: The American Legion versus Harold Rugg" 17 (17): 62-72, 2002

      8 교육과학기술부, "‘실용경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시안 공청회 개최"

      9 Fallace, T. D., "Tracing John Dewey’s Influence on progressive education, 1903-1951: Toward a received Dewey" 113 (113): 463-492, 2011

      10 Rugg, H. O., "Three decades of mental discipline: Curriculum-making via national committees, In The twenty-six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The foundations and technique of curriculum-construction, Part I" Public School Publishing Company 33-65, 1926

      1 강운선,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 원리와 실제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34 : 463-488, 2001

      2 박민정,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79-201, 2010

      3 조대훈, "사회과교육의 도전과 전망" 동문사 2012

      4 배영민,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중등교육연구소 60 (60): 135-164, 2012

      5 정지향, "내러티브 서술 방식 적용을 통한 역사적 사고 신장에 관한 연구" 17 (17): 92-118, 2005

      6 주태연, "고등학교 ‘사회문화’ 텍스트의 내러티브 서술양식이 학업성취도와 과목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133-156, 2008

      7 Riley, K. L., "“A bootlegged curriculum”: The American Legion versus Harold Rugg" 17 (17): 62-72, 2002

      8 교육과학기술부, "‘실용경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시안 공청회 개최"

      9 Fallace, T. D., "Tracing John Dewey’s Influence on progressive education, 1903-1951: Toward a received Dewey" 113 (113): 463-492, 2011

      10 Rugg, H. O., "Three decades of mental discipline: Curriculum-making via national committees, In The twenty-six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The foundations and technique of curriculum-construction, Part I" Public School Publishing Company 33-65, 1926

      11 Kliebard, H. M.,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Routledge 1893-1951, 1986

      12 Boyle-Baise, L., "The influence of Harold O. Rugg : Conceptu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 100 (100): 31-40, 2009

      13 Totten, S., "The hist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ocial issues, In Educating about social issues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A critical annotated bibliography" Information Age 1-36, 2012

      14 Nelson, M., "The development of the Rugg social studies materials" 5 (5): 64-83, 1977

      15 Bobbitt, F., "The curriculum" Houghton Mifflin 1918

      16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1966

      17 Hunt, M. P.,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 problems in reflective thinking and social understanding" Harper & Row 1968

      18 Totten, S., "Teaching and studying social issues: Major programs and approaches" Information Age 2011

      19 Boesenberg, E., "Struggle at the frontier of curriculum : The Rugg textbook controversy in Binghamton, NY" 29 (29): 640-671, 2001

      20 Riley, K. L., "Social reconstruction: people, politics, perspective" Information Age 2006

      21 Bagenstos, N. T., "Social reconstruction : The controversy over the textbooks of Harold Rugg" 5 (5): 22-38, 1977

      22 Nelson, M., "Rugg on Rugg : His theories and his curriculum" 8 (8): 119-132, 1978

      23 Rugg, H. O., "Problems of contemporary life as the basis for curriculum-making in the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ublic School Publishing Company 260-273, 1923

      24 Rugg, H. O., "On reconstructing the social studies: Comments on Mr. Schafer’s letter" 7 (7): 249-252, 1921

      25 Rugg, H. O., "Needed changes in the committee procedure of reconstructing the social studies" 21 (21): 688-702, 1921

      26 Massialas, B. G., "Inquiry in the social studies" McGraw-Hill 1966

      27 Bobbitt, F., "How to make a curriculum" Houghton Mifflin 1924

      28 Rugg, H. O., "How shall we reconstruc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 open letter to professor Henry Johnson commenting on committee procedure as illustrated by the joint committee on history and education for citizenship" 7 (7): 184-189, 1921

      29 Carbone, P. F. Jr., "Harold Rugg’s social reconstructionism, In Social reconstruction through education: The philosophy, history, and curricula of a radical ideal" Ablex Publishing 57-88, 1995

      30 Evans, R., "Harold Rugg: Apostle of the moder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Addressing social issue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The pedagogical efforts of pioneers in the field" Information Age 49-69, 2007

      31 Evans, R., "Harold Rugg and educating about social issues, In Educating about social issues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A critical annotated bibliography" Information Age 93-114, 2012

      32 Mraz. M., "Harold O. Rugg and the foundations of social studies" 19 (19): 1-7, 2004

      33 Riley, K. L., "From vision to vilification to rehabilitation: Harold Rugg, A Journey, In Teaching and studying social issues: Major programs and approaches" Information Age 1-30, 2011

      34 Engle, S. H.,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ge Press 1988

      35 Totten, S., "Educating about social issues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A critical annotated bibliography" Information Age 2012

      36 Rugg, H. O., "Do the social studies prepare pupils adequately for life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ublic School Publishing Company 1-27, 1923

      37 Ornstein, A. C., "Curriculum: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Allyn & Bacon 2009

      38 Stanley, W. B., "Curriculum for utopia: social reconstructionism and critical pedagogy in the postmodern e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39 Rugg, H. O., "Curriculum design in the social sciences: What I believe, In The future of the social studies: proposals for an experimental social-studies curriculum"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40-158, 1939

      40 Stern, B. S., "Curriculum design and Harold Rugg: Implementing social reconstructionism, In Social reconstruction: people, politics, perspective" Information Age 167-188, 2006

      41 Charters, W. W., "Curriculum construction" Macmillan 1923

      42 McNeil, J. D., "Contemporary curriculum: In thought and action" John Wiley & Sons 2009

      43 Rugg, H. O., "A proposed social science course for the junior high school, In Social studie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ublic School Publishing Company 185-207, 1923

      44 Rugg, H. O., "A prefac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American school curriculum" 27 (27): 600-616, 1926

      45 이대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법과 정치’ 과목의 교과서 체제 개선 방안: 법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203-219, 2010

      46 홍후조,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서 학년군, 교과군 개념의 교육과정적 의의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47-70, 2009

      47 진시원,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통합사회과의 미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223-24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