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치사회적 보수성 형성과정에서의 기독교 지도자들의 역할: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회역사적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ocio-historical study on the roles of Christian leaders of Daegu-Gyeungbuk area in the mist of the formation of 'socio-political conservativeness' and its socialization process. Main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historical backgrou...

      This is a socio-historical study on the roles of Christian leaders of Daegu-Gyeungbuk area in the mist of the formation of 'socio-political conservativeness' and its socialization process. Main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socio-political conservativeness peculiar to this region had been formed What are the roles of religious leaders and mechanism revealed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internalization) of conservativeness
      For the first year of research, the subjects were the relation of imperialist Japan and Christianity, the conflict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the relationship of US military government with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the cozy relationship and separation of Rhee government an Catholicism, and the close relationship of Chang Myon government and Catholicism. For the second year, the following subject are studied: the strengthening of anti-communist ideology, the deepening and spreading of the hostile regionalism,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Honam phobia as a dominant ethos of this region's unique socio-political conservativeness, and the roles of Christianity during the military governments of Park's, Chun's, and Rho's. For the third year, the internalization and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conservativeness by way of regional religious media was studied.
      The following are the peculiaritie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of politics with the regional Christianity: the first one is reveal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al conservativeness. For example, this region had built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t ideology by way of experiencing ideological conflict around socialism, and the political event such as the October's People Strife in 1946.
      Another peculiarity of the conservativeness was revealed by way of taking political advantage of local liaison network between the military governments, which established 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as the political cause for the oppression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the local religious groups that supported oppressive political activities in the name of anti-communism.
      Additional emphasis should be given on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contents of the regional religious groups, that is, the conservative orientation of religious doctrine. For example, the adhesion of Demange, the bishop of Daegu parish, on the conservative doctrine and on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made it possible for Daegu Catholicism to accommodate to the political requirement of stability.
      The regional Protestantism also has a strong religious orientation inherited from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that had shown pro-Japanese attitude due to America's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Japan. Korean church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missionaries took part in the pro-Japanese activities. Then,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atheism and socialism under the US-Soviet cold war and the experiences of Korean war and of religious persecution in North Korea made Christians stand in the van of attack on communism. Especially, the settlement of the church ministers from North Korea in the region of Daegu became a strengthening factor for the movement against communism.
      The conservative religious attitude rejecting atheism, the confrontation of US and Soviet, and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had formed the pro-American and anti-communist conservativeness. In addition to this kind of conservativeness which is general on the national level, this region, passing through the periods of military governments, had formed peculiar conservativeness with the exclusive dominant regionalism. The research conclusion is that the local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re not alien 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eculiar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Daegu-Gyeungbuk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정치사회적 보수성’이 형성과정과 이 보수성의 사회화 과정에서 기독교 종교지도자들의 역할에 대한 역사사회학적으로 고찰이다. 중심과제는 지역특유의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정치사회적 보수성’이 형성과정과 이 보수성의 사회화 과정에서 기독교 종교지도자들의 역할에 대한 역사사회학적으로 고찰이다. 중심과제는 지역특유의 정치사회적 보수성 형성의 역사적 배경은 무엇이며, 보수성의 사회화(내면화)과정에서 나타난 종교지도자들의 역할과 그 기제는 무엇인가이다. 연구는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중심축으로 하였으며, 종교지도자들의 설교나, 강론, 또는 저술에 대한 분석과 함께 지역 종교집단이 운영하고 발행하는 방송이나 신문을 집중 분석하였다.
      1차년도에는 일제와 기독교의 관계,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갈등, 천주교와 개신교의 미군정과의 관계, 천주교와 이승만 정권과의 유착과 분열, 장면 정권의 천주교와의 유착관계를 다루었다. 2차년도에는 3공, 유신, 5,6공의 군사정권기에 나타난 반공이데올로기의 강화, 지역주의의 심화와 확산, 호남 phobia의 지역 보수적 정서로의 안착 과정에서 나타난 개신교와 천주교의 역할 등을 연구하였다. 3차년도에는 지역특유의 정치사회적 보수성, 즉 친미주의와 반공주의, 지역패권주의의 지역 종교매체를 통한 내면화와 사회화 과정을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로 지역 개신교와 천주교의 정치와의 관계가 지니는 특수성이 드러났다. 먼저 지역 보수성의 역사적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특수성으로 지역 특유의 상황, 예컨대 정치적, 사회 심리적, 경제적, 사회구조적 상황이 독특한 보수성을 나타냈다. 일례로 이 지역은 일찌감치 사회주의를 둘러싼 이념적 갈등과 함께 정치적 충돌 사건(10월인민항쟁)을 경험함으로써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빠르고 강하게 친미 반공 이데올로기가 형성되었으며 좌우 이념 대결이 정치적 현실에서 가장 먼저 구체화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부터 대구는 동방의 예루살렘이라 불리었고 서울 이외에 유일하게 천주교 교구가 자리 잡았다. 또한 대구는 남한의 모스크바로 불릴 정도로 좌익사상이 팽배하기도 한 곳이었다.
      이 지역의 또 다른 보수성의 특수성은 종교집단과 군사정권과의 지연적 연계망의 정치적 활용을 통해 나타났다. 군사정권은 안보와 안정을 인권과 민주주의 억압의 정치적 명분으로 설정하였고, 이 지역의 종교집단은 반공의 이름으로 억압적 정치행태를 지지하였다.
      지역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형성된 사회정치적 보수성에 덧붙여 강조되어져야 할 것은 바로 지역의 종교가 지닌 내재적 특성이다. 즉 종교 교리에 있어서의 보수성이 하나의 강력한 요소로서 현실과의 조응관계에서 강하게 작용하였다. 예컨대 대구교구 주교였던 드망즈 주교의 보수적 교리와 정교분리원칙에의 철저한 고수가 사회안전망의 확보를 통한 선교자유의 확대의 명분으로 정치권의 안정 요구에 순응하게 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개신교는 강한 보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원류인 미국의 북장로회는 정교분리원칙을 고수하면서 교회의 정치참여를 반대하였지만 미국과 일본과의 밀월적인 관계로 인해 친일적인 행태를 보였으며 3․1만세운동 등에도 동조하지 않았다. 한국교회는 이들 선교사들의 영향권 아래 있었기에 선교사들과 더불어 친일 행위를 전개하였다. 이 후 미소 냉전체계와 한반도의 분할 상황에서 무신론적인 사회주의에 대한 이념적 대치와 함께 한국 전쟁과 북한에서의 종교박해의 경험이 어우러져 이남으로의 피난 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