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설현장의 추락재해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기인물별 위험성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43728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 건설재료공학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Risk assessment of the cause object using fall accident cases at construction sites

      • 형태사항

        vii, 7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주진규
        참고문헌 : p. 61-64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6465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점차적으로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건설현장 내 안전관리체계가 복잡하고 다양해진다. 특히, 건설공사는 프로젝트를 정해진 예산 및 기간에 끝내야...

      건설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점차적으로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건설현장 내 안전관리체계가 복잡하고 다양해진다. 특히, 건설공사는 프로젝트를 정해진 예산 및 기간에 끝내야 하기 때문에 공기가 부족한 경우는 무리하게 공사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심지 공사의 경우는 다양한 복잡한 외부 변수와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위험요소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현장 내 안전사고의 위험성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10년간 제조업 등의 전 업종 재해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건설업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연도별 산업재해 지표에 따르면, 전 산업 천인율은 2009년 7.05‰에서 2017년 4.84‰으로 약 2.21‰가량 감소한 반면 건설업의 경우 2009년 6.55‰에서 2017년 8.42‰으로 약 1.87‰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때, 건설업 재해현황 중에 추락재해로 인한 사망자수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건설현장의 지속가능한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실제 추락 사고사례를 통해 원인을 심층 분석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수립 및 예방기법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의 추락재해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기인물별 리스크 평가 및 예방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락사고 빈도, 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인물별 추락재해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인물별 추락사고 발생빈도지수()는 사다리(40.20%), 비계(25.67%), 작업발판(19.18%), 개구부(8.38%), 지붕(6.75%)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기인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 즉, 작업자 스스로 위험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수준, 에서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기인물별 추락사고 재해심도()는 지붕(3.721), 개구부(3.648), 사다리(3.567), 비계(3.560), 작업발판(3.519)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붕, 개구부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경우, 추락사고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지만,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사망사고와 같은 중대재해로 직결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최종적으로 빈도와 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락재해위험 우선순위는 사다리(1.428), 비계(0.914), 작업발판(0.675), 개구부(0.306), 지붕(0.251)순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추락재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빈도와 심도를 모두 고려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사망사고와 같이 중대재해로 직결되는 작업들은 우선적으로 특별관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 추락재해에 관한 안전관리 제도 개선 및 정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실무적으로 건설현장 내 추락재해 저감에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nstruction technologies continue to develop and gradually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safety management systems within construction sites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In particular, construction projects tend to be carried out excessively...

      As construction technologies continue to develop and gradually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safety management systems within construction sites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In particular, construction projects tend to be carried out excessively when there is a lack of air because they have to be completed on a fixed budget and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urban construction, the risk factor is intensified due to various complex external variables and constraints. For this reason,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continues to increase. Over the past decade, the rate of disasters in all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has been decreasing, while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industrial accident index by year, the mortality rate for all industries decreased by about 2.21% from 7.05% in 2009 to 4.84% in 2017.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reased by about 1.87% from 6.55‰ in 2009 to 8.42‰ in 2017. At this time, the number of fatalities due to a fall accident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the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for sustainable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and present prevention techniques that can prevent the cause by analyzing in-depth through actual cases of f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techniques for incident ev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accident cases.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d depth of fall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risk of falls by personality was evalua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index of falls by person was in the order of ladder (40.20%), scaffolding (25.67%), work scaffolding (19.18%), openings (8.38%) and roofs (6.7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many accidents at a relatively low height compared to other attributes, i.e., the level at which the operator himself recognises that it is not dangerous.
      Second, the depth of accidental falls by person was shown in the order of roof (3.721), opening (3.648), ladder (3.567), scaffolding (3.560), and work scaffolding (3.519).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working in relatively high positions, such as roofs and openings, falls do not occur often, but once an accident occurs, it leads directly to a serious disaster, such as a death accident.
      Finally,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frequency and depth, the risk priority for falls was derived in the order of ladder (1.428), scaffolding (0.914), work platform (0.675), opening (0.306) and roof (0.251).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fall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accidents by considering both frequency and depth, and operations that directly lead to serious accidents, such as deaths, will need special management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evidence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establishment on falls disasters academically, and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falls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Ⅱ. 예비적 고찰 6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Ⅱ. 예비적 고찰 6
      • 2.1 건설업 재해발생 현황 6
      • 2.2 건설업 추락재해 기인물 14
      • 2.3 위험성 평가 기법 19
      • 2.4 선행연구 고찰 22
      • 2.5 소결 26
      • Ⅲ. 추락재해 데이터 수집 28
      • 3.1 데이터 수집 개요 28
      • 3.2 기인물별 추락재해 데이터 31
      • 3.3 각 재해자별 요양일수, 신체장해등급, 사고발생형태 37
      • 3.4 소결 39
      • Ⅳ. 추락재해 데이터 분석 40
      • 4.1 데이터 분석 개요 및 방법 40
      • 4.2 빈도분석 42
      • 4.3 심도분석 45
      • 4.4 소결 49
      • Ⅴ. 기인물별 리스크 평가 50
      • 5.1 리스크 평가 개요 및 방법 50
      • 5.2 리스크 우선순위 도출 51
      • 5.3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54
      • 5.4 소결 57
      • Ⅵ. 결론 58
      • 6.1 결론 58
      • 6.2 한계점 및 연구방향 60
      • 참고문헌 61
      • 부 록 65
      • Abstract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