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대별 여성 1인가구 범죄피해 실태 및 범죄 두려움 영향요인 = Status of crime damage of singe-female household by gener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crime f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6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인가구는 199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림동 강간미수 CCTV 영상’등 1인가구 여성의 범죄와 범죄두려움에 관하여 언론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1인가구는 199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림동 강간미수 CCTV 영상’등 1인가구 여성의 범죄와 범죄두려움에 관하여 언론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를 중심으로 또는 1인가구의 세대별 분류를 통한 범죄피해와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세대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범죄피해경험과 범죄두려움은 전체범죄와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범죄두려움 뿐만아니라 범죄유형별로 분류하여 폭력범죄, 재산범죄, 주거침입범죄로 추가적인 분류를 하여 검증하였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전국범죄피해조사(2018년 기준)’의 2차 데이터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세대별 분류를 중심으로 다루기 위하여 만18세 이하의 자료를 삭제한 다음 1인가구 여성 8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를 연령에 따라 청년, 중년, 장년, 노년으로 분류하여 검증하였을 때,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두려움에서 일반적 범죄두려움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구체적 범죄두려움에는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구체적 범죄두려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찬가치로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서도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높을 두려움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경찰신뢰도 수준이 낮을수록 1인가구 여성의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무질서는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에 사회적 무질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의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에 있어서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1990, and crimes on single-female household such as CCTV footage for attempted rape in Sillimdong and crime factors have been covered seriously in the media. Existing preceding studies cov...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1990, and crimes on single-female household such as CCTV footage for attempted rape in Sillimdong and crime factors have been covered seriously in the media. Existing preceding studies covered crime victims and influencing factor of fear on crime victim focusing on single-person or multiple-person household or through classification by single-person generation. However, this study plans to review crime victim and influencing factors of crime fear of single-female household.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ed to review if there are any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Experience on crime victim and crime fear were classified by not only overall crime, general crime fears and specific crime fears but also crime types, and further classified by violent crimes, property crimes and housebreaking to verify. The second data of Crime victim survey across the country (as of 2018) investiga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under the age 18 were deleted to cover the classification by generation and 856 data of single-female household were analyzed. SPSS 25.0ver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t-test, ANOVA, logistic-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generations were classified and verified as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according to the age, it didn t appear as a factor affecting the experience on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On the other hand,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general crime fear in the fear of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the elderly showed higher level of fear than middle-aged in terms of specific crime fear. Similarly,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was higher in the elderly than middle-aged grou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level of reliability for the pol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fic crime fear and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of single-female household. It was also found that physic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general crime fear, specific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and soci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specific crime fear, violent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We hope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in suggesting policy that can reduce crime victim and crime fears of single-female crime victi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9

      2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가구의 현황 및 특성"

      3 하희송, "여성의 성범죄 두려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가구유형(1인 가구여부)과 예방정책(CCTV설치)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4 (54): 379-423, 2020

      4 박준휘,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제고 방안 연고(II) : 1인가구 밀집지역의 안전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5 경찰청, "경찰, 데이트폭력 근절을 위한 집중신고 기간 운영 결과"

      6 김세령, "개인 및 지역요인이 1인가구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연령의 다수준 상호작용 효과 분석" 대한범죄학회 14 (14): 121-143, 2020

      7 통계청,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8 통계청,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

      9 유진, "1인가구의 범죄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85-122, 2018

      10 강지현, "1인 가구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 : 가구 유형별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8 (28): 287-320, 2017

      1 김민영,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9

      2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가구의 현황 및 특성"

      3 하희송, "여성의 성범죄 두려움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가구유형(1인 가구여부)과 예방정책(CCTV설치)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4 (54): 379-423, 2020

      4 박준휘,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제고 방안 연고(II) : 1인가구 밀집지역의 안전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5 경찰청, "경찰, 데이트폭력 근절을 위한 집중신고 기간 운영 결과"

      6 김세령, "개인 및 지역요인이 1인가구 주거침입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연령의 다수준 상호작용 효과 분석" 대한범죄학회 14 (14): 121-143, 2020

      7 통계청,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8 통계청, "2020 통계로 보는 1인가구"

      9 유진, "1인가구의 범죄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6 (26): 85-122, 2018

      10 강지현, "1인 가구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 : 가구 유형별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8 (28): 287-320, 2017

      11 강지현, "1인 가구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가구유형별 범죄두려움 수준과영향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5 (15): 22-54, 2019

      12 조현성, "1 인 가구의 범죄피해-두려움 패러독스 (victimization-fear paradox)" 6 : 482-49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