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平壤對岸市街計畫」의 중단(1919~1923)과 조선인 시가 우선 개발로의 귀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平壤對岸市街計畫」은 오늘날 동평양에 대한 식민지기 평양의 첫 교외 시가계획이었다. 첫째, 식민지 조선에서 원산도시계획안(1921)보다 앞선 것이었다. 계획은 당대 만철부속지 및 도�...

      「平壤對岸市街計畫」은 오늘날 동평양에 대한 식민지기 평양의 첫 교외 시가계획이었다. 첫째, 식민지 조선에서 원산도시계획안(1921)보다 앞선 것이었다. 계획은 당대 만철부속지 및 도쿄·오사카 등을 참고했고, 주요 재원은 대일본제당 등 대기업 대상의 부 영업세였다.
      둘째, 남만주철도㈜의 조선철도 위탁경영기(1917~25) 평원선 계획과, 동양척식㈜계 회사 조선전기흥업의 무연탄 채취, 화력발전, 황산암모늄 생산 계획과 맞닿아 있었다. 조선인을 의식했지만, 위치상 일본인 대기업과 일본인을 위한 계획이었다.
      셋째, 반면 제국·조선 단위에서 만철의 조선철도 합병 실패와 평원선 노선 변동, 전흥의 황산암모늄 생산 실패, 대일본제당 등 대기업의 부역 편입 반대 청원
      과 재원 부족, 수해 등 연쇄적 엇박자가 났다. 대신 새로운 평원선 연선이며 개발비용이 낮다는 이유로, 1929년 조선인 시가 인근의 서평양 교외 시가계획이 먼저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yongyang Opposite Shore Town Plan” or “East Pyongyang” as it is known today, was the first suburban town plan of Pyongya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plan preceded the Wonsan City Plan (1921) in colonial Korea. Town plans in the So...

      The “Pyongyang Opposite Shore Town Plan” or “East Pyongyang” as it is known today, was the first suburban town plan of Pyongya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plan preceded the Wonsan City Plan (1921) in colonial Korea. Town plans in the South Manchuria Railway (SMR) Zone, Tokyo, and Osaka were used as references. Its main financial resources were municipal business taxes for large companies like Dai-Nippon Sugar (DNS).
      It was linked to the Pyongwon Line plan during SMR’s consignment management of the Chosen Government Railway (Sentesu), and the Chosen Denki Kogyo Company (CDKC)— the affiliate of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aiming to collect anthracite, develop thermal power, and produce ammonium sulfate. The plan considered Korean people living in Pyongyang. However, it was purposely planned for large Japanese companies and the Japanese people.
      The plan had many flaws such as SMR’s failure to merge the Sentesu, causing the change in the Pyongwon Line route, CDKC’s failure to produce ammonium sulfate, th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caused by the opposition of the DNS, and damage caused by floods. Instead of this plan, proximity to the new Pyongwon Line and low development cost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uburban town plan in 1929 near the Korean district that is West Pyongyang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배경 : 남만주철도㈜·동양척식㈜의 개발 개입과 3·1운동의 여파
      • Ⅲ. 계획 : 대기업 및 일본인 시가 중심성과 조선인 ‘유인책’
      • Ⅳ. 중단 : 제국·조선 단위의 연쇄적 엇박자와 조선인 시가 우선 개발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배경 : 남만주철도㈜·동양척식㈜의 개발 개입과 3·1운동의 여파
      • Ⅲ. 계획 : 대기업 및 일본인 시가 중심성과 조선인 ‘유인책’
      • Ⅳ. 중단 : 제국·조선 단위의 연쇄적 엇박자와 조선인 시가 우선 개발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진석, "한국 근현대 전력산업사, 1898~1961" 푸른역사 2021

      2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3 유경호, "평양의 도시발달과 지역구조의 변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주동빈, "평양부(협의)회의 동상이몽과 부영전기 ‘재사영화’(1927~1937)" 역사학회 (248) : 227-266, 2020

      5 박진한, "통감부 시기 인천의 시구개정사업과 시가지 행정" 국학연구원 (180) : 253-282, 2017

      6 박준형,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의 평양 진출과 평양성 내에서의 ‘잡거’ 문제"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23-56, 2015

      7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8 이송순, "조선총독부 도시계획 관련 정책 심의기구 연구 ―조선총독부토목회의와 시가지계획위원회―" 한국사연구회 (134) : 221-264, 2006

      9 정태헌, "조선철도에 대한 滿鐵 위탁경영과 총독부 直營으로의 환원 과정 및 배경" 고려사학회 (60) : 383-424, 2015

      10 "조선일보"

      1 오진석, "한국 근현대 전력산업사, 1898~1961" 푸른역사 2021

      2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3 유경호, "평양의 도시발달과 지역구조의 변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주동빈, "평양부(협의)회의 동상이몽과 부영전기 ‘재사영화’(1927~1937)" 역사학회 (248) : 227-266, 2020

      5 박진한, "통감부 시기 인천의 시구개정사업과 시가지 행정" 국학연구원 (180) : 253-282, 2017

      6 박준형, "청일전쟁 이후 일본인의 평양 진출과 평양성 내에서의 ‘잡거’ 문제"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23-56, 2015

      7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8 이송순, "조선총독부 도시계획 관련 정책 심의기구 연구 ―조선총독부토목회의와 시가지계획위원회―" 한국사연구회 (134) : 221-264, 2006

      9 정태헌, "조선철도에 대한 滿鐵 위탁경영과 총독부 直營으로의 환원 과정 및 배경" 고려사학회 (60) : 383-424, 2015

      10 "조선일보"

      11 박세훈,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근대도시 형성" 심산출판사 2013

      12 고태우, "일제하 토건업계와 식민지 개발" 연세대 2019

      13 염복규,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4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5 박우현, "일제시기 평원선 부설과 횡단철도의 주변화(1904~194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197-236, 2020

      16 전성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확장의 식민성과 지역민의 동향 - 釜山府 府域 1, 2次 擴張을 中心으로 -" 역사문화학회 19 (19): 111-146, 2016

      17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 과정과 그 성격" 10 : 2003

      18 최병택, "일제 강점기 하천개수사업의 전개와 그 문제점" 인문학연구원 75 (75): 225-269, 2018

      19 박현, "일제 강점기 평양의 도시 공간 분석"

      20 나가타 아키후미,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일조각 2008

      21 하시야 히로시,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BOOK 2005

      22 전성현, "식민지 도시와 철도" 선인 2021

      23 허영란, "시가지 개조를 둘러싼 지역주민의 식민지 경험" 2007

      24 이은희, "설탕, 근대의 혁명" 지식산업사 2018

      25 염복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이데아 2016

      26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7 "매일신보"

      28 "동아일보"

      29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30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31 "기성도병(箕城圖屛)"

      3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3 "국가기록원"

      34 야마자키 다카시, "공간의 정치지리" 푸른길 2010

      35 박준형, "개항기 平壤의 개시과정과 開市場의 공간적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77-118, 2013

      36 齋藤實, "齋藤實文書 4" 고려서림 1990

      37 정태헌, "道歲入-道稅의 구성 추이를 통해 본 植民地 道財政의 성격" 고려사학회 (15) : 7-226, 2003

      38 朝鮮電氣興業, "營業報告書 8~13" 1923

      39 越澤明, "滿洲國の首都計劃" 日本経済評論社 1988

      40 松本武祝, "植民地権力と朝鮮農民" 社会評論社 1998

      41 "東洋拓殖株式會社移管ノ理由(1924)(勝田家文書 72)"

      42 黒瀬郁二, "東洋拓殖会社" 日本経済評論社 2003

      43 朝鮮總督府鐵道局, "朝鮮鐵道狀況(第十二, 三十回)"

      44 橋谷弘, "朝鮮鉄道の満鉄への委託経営をめぐって" 19 : 1982

      45 "朝鮮總督府官報"

      46 "朝鮮新聞"

      47 "朝鮮地方行政"

      48 "朝鮮公論"

      49 朝鮮銀行調査部, "朝鮮ニ於ケル石炭ノ需給ト其ノ利用トニ就テ" 1921

      50 篠本敬雄, "朝鮮の電氣事業を語る" 朝鮮電氣協會 1937

      51 広瀬貞三, "朝鮮における土地収用令 : 1910〜20年代を中心に" 2 : 1999

      52 石田賴房, "日本近現代都市計劃の展開" 自治體硏究社 1987

      53 五島寧, "日本統治下朝鮮の市区改正の特徴に関する研究" 46 (46): 2011

      54 五島寧, "日本統治下の平壌における街路整備に関する研究" 14 : 1994

      55 孫禎睦, "日帝强占期 都市計劃硏究" 一志社 1990

      56 孫禎睦, "日帝强占期 都市社會相硏究" 一志社 1996

      57 孫禎睦, "日帝强占期 都市化過程硏究" 一志社 1996

      58 平南土木課, "平安南道土木槪要(大正十一年十二月)(M2-97)"

      59 朝鮮總督府內務局土木課, "平壤都市計劃書"

      60 "平壤經濟彙報"

      61 "平壤彙報"

      62 "平壤商業會議所月報"

      63 平壤商業會議所, "平壤全誌 上"

      64 平壤商業會議所, "平元線ニ関スル一般調査(報告)" 1918

      65 "帝国議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66 井上直樹, "帝国日本と満鮮史" 塙書房 2013

      67 平壤商業會議所, "工業地としての平壤"

      68 平南警察部, "大正十二年平壤付近未曾有の大水害の回顧(M2-102)"

      69 平壤商業會議所, "大工業地としての平壤"

      70 元山府廳, "元山都市計畫說明書"

      71 "京城日報"

      72 정미성,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전반기 조선총독부의 면 재정 정비과정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56) : 203-235, 2005

      73 박우현, "1920년대 조선사업공채 정책 변화와 재원조달의 부실화" 한국사연구회 (185) : 125-162, 2019

      74 주동빈, "1920년대 경성부 상수도 생활용수 계량제 시행과정과 식민지‘공공성’" 한국사연구회 (173) : 253-296, 2016

      75 朝鮮總督府, "(秘)道知事會議速記錄(1919.10, 1920.9, 1921.4)"

      76 허수열, "(國家記錄院) 日帝文書解題 [6] : 土木篇"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7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