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시각문화는 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과 광범위한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시각적 인지를 통한 정보 전달과 수용이라는 단편성을 벗어나 복합 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56005
2007
-
607
KCI등재
학술저널
189-215(27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시각문화는 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과 광범위한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시각적 인지를 통한 정보 전달과 수용이라는 단편성을 벗어나 복합 매...
오늘날 시각문화는 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과 광범위한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시각적 인지를 통한 정보 전달과 수용이라는 단편성을 벗어나 복합 매체적 특징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범주를 스스로 형성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저작 매체의 발달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시각문화 생산과 공유의 대중화를 가져왔고 청소년들은 이러한 시각문화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수용자이자 다양한 시각문화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매체적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시각문화가 곧 문화로 직결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의 미술교육은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교실수업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당면 과제는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 비주얼 리터러시를 신장시킬 수 있는 실제적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각문화 교육을 미술이라는 교과영역에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과 비주얼 리터러시의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삶 속에 일상화 되어있는 매체인 휴대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논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수업방안의 예시가 바로 그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visual culture has developed systematically, embracing a vast and various cultural spectrum with extensive categories. It has developed new categories that covers all traits not only as a media for only delivering information or get...
Today, visual culture has developed systematically, embracing a vast and various cultural spectrum with extensive categories. It has developed new categories that covers all traits not only as a media for only delivering information or gett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cognition but as multiple media.<BR>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making mediums and the fast development of Internet use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nd share visual culture easily. Youth culture has taken a major role as an active producer as well as active consumer of visual cultures easily. They have been shown the powerful use of this medium by producing and using various visual culture tools .<BR> Visu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leads to a culture where students exist in a culture where they are exposed to and use visual images for communication.<BR> This has created an educational necessity for instruction in visual literacy. but visual literacy and visual culture have not been used as a curriculum actively in today’s art classes. therefore the main work that art education has to accomplish is to establish real curriculum which can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also to look for educational uses for visual culture.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the justifiability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art classes. This is the lesson plan which consists of students using camera phones to take and use documentary photographs which we can utilize to discuss visual cultures and visual literacy. the medium to be used by the students is the camera phone due to its common usage and availabi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미술교육의 반성과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미술교육학회 10년사 157-176, 2002
2 "이제, 문화교육이다" 서울: 문화과학사 2003
3 "의사소통 중심의 시각문화 교육을 통한 미술교육 개선 연구" 2004b
4 "의미의 경쟁" 서울: 눈빛 2001
5 "영상문화와 세계화 시대의 교육" 서울: 문음사 2004
6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18 (18): 29-44, 2004a
7 "시각이미지 읽고 쓰기" 서울: 미담북스 2005
8 "시각문화의 인식론적 접근" 20 (20): 277-292, 2006
9 "사진의 의미와 사진의 구조" 서울: One & One 2004
10 "미술교육의 동향과 전망" 서울: 학지사 2003a
1 "한국미술교육의 반성과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미술교육학회 10년사 157-176, 2002
2 "이제, 문화교육이다" 서울: 문화과학사 2003
3 "의사소통 중심의 시각문화 교육을 통한 미술교육 개선 연구" 2004b
4 "의미의 경쟁" 서울: 눈빛 2001
5 "영상문화와 세계화 시대의 교육" 서울: 문음사 2004
6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18 (18): 29-44, 2004a
7 "시각이미지 읽고 쓰기" 서울: 미담북스 2005
8 "시각문화의 인식론적 접근" 20 (20): 277-292, 2006
9 "사진의 의미와 사진의 구조" 서울: One & One 2004
10 "미술교육의 동향과 전망" 서울: 학지사 2003a
11 "미술교육과 미학" 27 : 63-80, 1999
12 "미술교육과 문화" 서울: 학지사 2003b
13 "미술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14 "미디어와 문화교육" 한울아카데미 2005
15 "미디어 교육의 이해" 서울: 한나래 1999
16 "미디아 리터러시 교육공학연구" 83-113, 1987
17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21 : 5-42, 2004
18 "다큐멘터리 사진론" 서울: 눈빛 1997
19 "Visual Literacy" 서울: 정글 2004
20 ". The contest of meaning." 1992
21 ". A conceptual approach to graphic problem solving by Judith Wilde and Richard Wilde." 1991
현대 디자인 의미 이해를 위한 유아 디자인교육 개선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5-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 |
2005-05-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5 | 0.74 | 0.91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