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4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屛谷 權榘의 <屛山六曲>은 18세기에 제작된 육가계 연시조로, 육가의 맥락을 18세기로 이어갔다는 의미를 지 닌다. 육가계 연시조는 이별의 <장육당육가>로부터 비롯되지만, 이황의 &...

      屛谷 權榘의 <屛山六曲>은 18세기에 제작된 육가계 연시조로, 육가의 맥락을 18세기로 이어갔다는 의미를 지 닌다. 육가계 연시조는 이별의 <장육당육가>로부터 비롯되지만, 이황의 <도산십이곡>이 선구적 역할을 하여 이후의 작품들은 대부분 <도산십이곡>의 정신을 본받게 된다. <병산육곡>이 <도산십이곡>을 효방한 육가 계 연시조란 사실은 出處觀, 강호의 공간, 修己의 자세, 유기적 구조물이란 내용을 포함함을 환기한다. 아울러 18세기의 작품이란 점은 이러한 제반 요소를 변용하여 수용했을 것이란 짐작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점들에 유념한 <병산육곡>의 본격적인 작품론 이다. 본고에서는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 해지던 <병산육곡>의 작자가 권구임이 밝혀진 과정을 밝히고, <병산육곡>의 여섯 수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 석을 하였다. 작품을 조망함에 있어서는 ‘육가’ ‘연시조’ 그리고 ‘18세기’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토대로 첫째로는 강호의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시조로 서 기능하기 위하여 작품의 유기적 연결성과 함께 그것의 연작성에도 주목하였다. 아울러 육가계 연시조의 전 통을 어떻게 18세기로 이어갔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병산육곡>은 전반적으로는 육가계 연시조의 전통을 따르지만 강호인식과 연작성 모두에서 변화된 모습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호를 修己의 공간임과 동시에 삶의 공간으로도 인식하였다. 이는 물의 공 간과 육지의 공간으로 변별되는데 물의 공간에서는 평온을, 육지에서는 갈등을 하게 된다. 연작성 또한 전반 적으로는 연시조의 흐름을 따르지만 낱낱의 연결은 유기적으로 구조화되지 못하여 한계를 지닌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Gwongu's <Byeongsanyukgok> is Yukgagye-Yeonsijo(六歌系 연시조). This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This is a value that 'Yukga(六歌)' continued until the 18th century. Yukgagye Yeonsijo was succeeded a ToeyGae(退溪)'s <Dosansib...

      Gwongu's <Byeongsanyukgok> is Yukgagye-Yeonsijo(六歌系 연시조). This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This is a value that 'Yukga(六歌)' continued until the 18th century. Yukgagye Yeonsijo was succeeded a ToeyGae(退溪)'s <Dosansibigok(陶山十二曲)>. This means that <Byeongsanyukgok> was relation to Chulcheogwan(出處觀), Space of mountains and rivers(江湖), the positions of Sugi(修己), Organic structure. This research is work study of <Byeongsanyukgok>. This work 'Yukga', ‘Yeonsijo', '18 Century' is noted for three terms. Based on this, as the firs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pace. The second was focused on the continuity. In front of the works is to study the Yeonsijo as a means. And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The <Byeongsanyukgok> as a whole followed a tradition of Yukgagye Yeonsijo. But,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rivers and continuity, both were changed. In other words, recognized mountains and rivers with two kind is a space of sugi and a space of life. In addition, the water space and land space was recognized separately. Namely, the water space to feel the comfort and in the space of land was the conflict. Also, in general followed the flow of the Yeonsijo. But were not structured organically. This is a limitation of <Byeongsanyukg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權榘와 ‘屛山’
      • Ⅱ. ‘六歌’의 전개와 강호를 바라보는 시각
      • Ⅲ.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과 삶
      • 1. 忘機의 지향
      • <국문 요약>
      • Ⅰ. 權榘와 ‘屛山’
      • Ⅱ. ‘六歌’의 전개와 강호를 바라보는 시각
      • Ⅲ.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과 삶
      • 1. 忘機의 지향
      • 2. 浮雲을 향한 갈등
      • 3. 武陵의 발견
      • Ⅳ. <屛山六曲>의 연작성
      • Ⅴ.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2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4

      3 김상진, "조선중기 연시조의 연구" 민속원 1997

      4 임주탁, "연시조의 발생과 특성에 관한 연구-<어부가> <오륜가> <도산육곡> 계열 연시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0

      5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6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출판부 1986

      7 성병희, "병곡선생의 내정편" 안동대학 안동문화연구소 99-119, 1989

      8 이종호, "병곡 권구의 <천유록> 연구-사대부층의 눈에 비친 18세기 안동의 민중형상" 성신한문학회 5 : 1-51, 1995

      9 김상진, "김득연의 <산중잡곡> 재조명" 한국시가학회 16 (16): 190-218, 2004

      10 "국역 병곡선생문집(상하)" 魯東書社 1994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2

      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4

      3 김상진, "조선중기 연시조의 연구" 민속원 1997

      4 임주탁, "연시조의 발생과 특성에 관한 연구-<어부가> <오륜가> <도산육곡> 계열 연시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0

      5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6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출판부 1986

      7 성병희, "병곡선생의 내정편" 안동대학 안동문화연구소 99-119, 1989

      8 이종호, "병곡 권구의 <천유록> 연구-사대부층의 눈에 비친 18세기 안동의 민중형상" 성신한문학회 5 : 1-51, 1995

      9 김상진, "김득연의 <산중잡곡> 재조명" 한국시가학회 16 (16): 190-218, 2004

      10 "국역 병곡선생문집(상하)" 魯東書社 1994

      11 성낙훈, "韓國黨爭史" 고대민족문화연구소 221-388, 1965

      12 최재남, "藏六堂六歌와 六歌系 時調 : 藏六堂六歌의 복원"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7 : 119-130, 1983

      13 권순회, "田家時調의 美的 特質과 史的 展開 樣相" 고려대학교 2000

      14 정혜원, "權榘의 屛山移居期 작품연구" 한국시조학회 12 : 17-36, 1996

      15 심재완, "時調의 文獻的 硏究" 세종문화사 1972

      16 심재완, "時調硏究 補完 二題" 한국시조학회 11 : 43-45, 1995

      17 "屛谷先生文集"

      18 구만옥, "屛谷 權구(1672-1749)의 주자학적 자연학과 理法天觀: 18세기 전반 嶺南 南人系 자연학의 一端" 한국과학사학회 25 (25): 103-124, 2003

      19 박노준, "安旼英 時調의 기본 ‘틀’과 志向世界" 한국고전문학연구회 5 : 36-72, 1990

      20 김상진, "妓女時調에 나타난 밤의 의미 고찰" 한양어문학회 17 : 375-402, 1999

      21 최재남, "‘六歌’의 受容과 傳承에 대한 고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2 : 319-347, 1987

      22 이상원, "‘육가(六歌)’ 시형의 연원과 ‘육가형 시조’의 성립" 민족어문학회 52 : 179-208, 2005

      23 "http://www.byeongsan.net/"

      24 윤정화, "18세기 향촌사대부의 ‘육가’ 수용의 양상과 의미" 문창어문학회 41 : 115-142, 2004

      25 정혜원, "18세기 강호시조연구-연시조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 인문과학연구소 4 : 71-91, 1995

      26 임형택, "17세기 전후 육가형식의 발전과 시조 문학" 민족문학사연구소 6 : 6-40, 1994

      27 이상원, "17세기 육가형 시조 연구 -장경세의 <강호연군가>와 이중경의 <어부별곡>" 한국언어문학회 65 (65): 239-265, 2008

      28 김흥규, "16·17세기 江湖時調의 變貌와 田家時調의 形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96 : 217-24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ongyang Kojon yonguso of HANSEO UNIVERSITY -> INSTITUTE FOR EASTERN CLASS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2 1.40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