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보건의료팀 협력 = A Study on Assesment System for Nursing Program : Collaboration with the healthcare team for health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461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P대학교 간호학과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배경과 지식을 탐구하고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평가체계 및 평가사례를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평가체계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에 대한 개념의 속성 간 관계를 분석하고 교과목의 학습목표에 따라 졸업시점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및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교육과정에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간호학생의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P대학교 간호학과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P대학교 간호학과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배경과 지식을 탐구하고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평가체계 및 평가사례를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평가체계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에 대한 개념의 속성 간 관계를 분석하고 교과목의 학습목표에 따라 졸업시점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및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교육과정에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간호학생의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of department of nursing in P University. This methodological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and knowledge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and presents an evaluation framework and case studies to achieve program learning outcomes. To ensure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assessment system,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collaboration with the healthcare team for health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and establishes an evaluation system for both graduation-level program learning outcomes and course-level learning outcomes based on course objectives. The develop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curriculum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nursing students' collaboration with the healthcare tea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of department of nursing in P University. This methodological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and knowledge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of department of nursing in P University. This methodological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and knowledge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and presents an evaluation framework and case studies to achieve program learning outcomes. To ensure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assessment system,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collaboration with the healthcare team for health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and establishes an evaluation system for both graduation-level program learning outcomes and course-level learning outcomes based on course objectives. The develop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curriculum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nursing students' collaboration with the healthcare te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8
      •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8
      • 2. 연구목적 19
      • II. 연구방법 20
      • 1. 연구설계 및 연구절차 20
      • I. 서론 18
      •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8
      • 2. 연구목적 19
      • II. 연구방법 20
      • 1. 연구설계 및 연구절차 20
      • III. 연구결과 20
      • 1.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배경 20
      • 2. 프로그램 평가체계 개발 23
      • 가. PO 설정, 의미 분석 및 이행수준 23
      • 나. 관련 교육과정 편성 23
      • 다. 수행준거와 수행(성취)수준 24
      • 라. 달성목표 수립 24
      • 마. 평가체계, 평가도구 및 루브릭 24
      • 바. 학습성과의 개선 25
      • Ⅳ. 결론 및 제언 26
      • V. 참고문헌 2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