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말여초 시를 논 할 때 일반적으로 최치원 만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시문집이 현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당시 많은 빈공제자들이 중국에서 시 창작을 했지만, 그들의 시문집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나말여초 시를 논 할 때 일반적으로 최치원 만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시문집이 현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당시 많은 빈공제자들이 중국에서 시 창작을 했지만, 그들의 시문집이 ...
나말여초 시를 논 할 때 일반적으로 최치원 만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시문집이 현존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당시 많은 빈공제자들이 중국에서 시 창작을 했지만, 그들의 시문집이 전해지지 않고 있어서 당연히 최치원 개인에게 치우쳐 그의 문학적 활약과 공헌을 설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치원 이외의 빈공제자 중 나말여초의 문학발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는 4명의 교유시를 검토해 보았다.
박인범, 최광유, 최승우, 김입지 등이 당나라 사람들과 교류한 인물은 문인, 고관, 승려 등이며, 이들과의 친분이 매우 두터웠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교유시는 총 17편이 있으며, 당인에게 증여한 시를 신분별로 세분하면, 박인범은 문인이 4수, 승려가 3수 있고, 최광유는 문인이 1수 있고, 최승우는 문인이 6수, 고관이 1수 있으며, 김입지는 승려가 2수 있다.
박인범, 최광유, 최승우, 김입지 등 교유시의 특징은 엄격한 대우격식 사용, 첩자의 사용, 전고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의 교유시는 대부분 7언 율시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나말여초 근체시의 확립에 공헌했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柳晟俊, "韓國漢詩和唐詩的比較" 푸른사상사 2002
2 梁光錫, "韓國漢文學的形成過程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5
3 李家源, "韓國漢文學史" 民衆書館 1961
4 全海宗, "韓中關係史硏究" 一潮閣 1977
5 金世潤, "關于新羅下代的渡唐留學生" 韓國史硏究會 37 : 1982
6 李晬光, "芝峰類說" 景仁文化社 1974
7 "舊唐書" 中華書局 1975
8 李九義, "羅末的詩人們-以朴仁範, 崔匡裕, 崔承佑爲中心" 嶺南語文學會 15 : 1988
9 朴義鍊, "羅末漢詩的形態硏究-以崔致遠, 崔匡裕, 朴仁範, 崔承佑的作品中心" 忠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1
10 金重烈, "羅·唐文人的交流詩硏究" 東洋古典學會 6 : 1996
1 柳晟俊, "韓國漢詩和唐詩的比較" 푸른사상사 2002
2 梁光錫, "韓國漢文學的形成過程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5
3 李家源, "韓國漢文學史" 民衆書館 1961
4 全海宗, "韓中關係史硏究" 一潮閣 1977
5 金世潤, "關于新羅下代的渡唐留學生" 韓國史硏究會 37 : 1982
6 李晬光, "芝峰類說" 景仁文化社 1974
7 "舊唐書" 中華書局 1975
8 李九義, "羅末的詩人們-以朴仁範, 崔匡裕, 崔承佑爲中心" 嶺南語文學會 15 : 1988
9 朴義鍊, "羅末漢詩的形態硏究-以崔致遠, 崔匡裕, 朴仁範, 崔承佑的作品中心" 忠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1
10 金重烈, "羅·唐文人的交流詩硏究" 東洋古典學會 6 : 1996
11 朴趾源, "燕巖集" 景仁文化社 1974
12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民族文化推進委員會 1984
13 安鼎福, "東史綱目" 景仁文化社 1975
14 尹榮玉, "新羅詩歌的硏究" 螢雪出版社 1980
15 扈承喜, "新羅漢詩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6 李九義, "新羅漢文學硏究" 亞世亞文化社 2002
17 地俊模, "新羅漢文學史" 嶺南大 新羅伽倻文化硏究所 1973
18 申瀅植, "新羅末期的渡唐留學生 in: 韓國史的再照明" 민성사 1985
19 申章燮, "新羅末唐朝留學生的漢詩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1985
20 "新唐書" 中華書局 1975
21 李九義, "崔致遠의 삶과 文學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3
22 成樂喜, "崔致遠的詩精神硏究" 中央大學校 大學院 1986
23 金重烈, "崔致遠文學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3
24 權悳永, "在唐新羅人社會硏究" 一潮閣 2005
25 胡震亨, "唐音癸籤" 世界書局 1985
26 計有功, "唐詩紀事" 臺灣中華書局 1981
27 王溥, "唐會要" 中華書局 1990
28 辛文房, "唐才子傳" 世界書局 1985
29 柳晟俊, "唐代後期詩硏究" 푸른사상사 2001
30 河世甯, "全唐詩逸" 廣文書局 1970
31 陳尙君, "全唐詩補編" 中華書局 1988
32 "全唐詩" 中華書局 1979
33 蔣非非, "中韓關係史" 社會科學文獻出版社 1998
34 楊慶華, "中韓朝․唐代友好詩歌選粹" 中國書籍出版社 2005
35 李巖, "中韓文學關係史論"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36 楊通方, "中韓古代關係史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6
37 黃有福, "中朝佛敎文化交流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3
38 一然, "三國遺事" 乙酉文化社 1984
39 金富軾,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1984
판소리 <春香歌>를 중심으로 본 中國文學의 受容과 變容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18 | 0.36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