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양한 분할 잠재성장모형 비교 = A Comparison of Various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잠재성장모형은 종단연구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변화 측정에 매우 유연하다. 교육학 분야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분할 잠재성장모형의 소개 및 적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1차(초등학교 4학년)-8차(고등학교 2학년) 학업성취도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하여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모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할 잠재성장모형, 비연속 분할 잠재성장모형, 선형-비선형 분할 잠재성장모형, 선형-비선형 비연속 분할 잠재성장모형, 초․중․고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패널자료가 장기간 축적됨에 따라 자료의 특성에 맞는 잠재성장모형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패널자료에 적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잠재성장모형은 종단연구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변화 측정에 매우 유연하다. 교육학 분야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할 수 ...

      잠재성장모형은 종단연구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변화 측정에 매우 유연하다. 교육학 분야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분할 잠재성장모형의 소개 및 적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1차(초등학교 4학년)-8차(고등학교 2학년) 학업성취도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하여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모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할 잠재성장모형, 비연속 분할 잠재성장모형, 선형-비선형 분할 잠재성장모형, 선형-비선형 비연속 분할 잠재성장모형, 초․중․고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패널자료가 장기간 축적됨에 따라 자료의 특성에 맞는 잠재성장모형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할 잠재성장모형을 패널자료에 적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tent growth modeling(LGM) has been popularly used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the LGM approach is extremely flexible in the measurement of change. In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performance in education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data should be reflected in the model. This study presented five piecewise LGMs that can be applied to changes of the school stages. Specifically, piecewise LGM, discontinuous piecewise LGM, linear-nonlinear piecewise LGM, linear-nonlinear discontinuous piecewise LGM and multiphase piecewise LGM were applied to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panel data(from 1st to 8th wav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xploring various piecewise LGM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nd increased possibility of using various piecewise LGMs.
      번역하기

      Latent growth modeling(LGM) has been popularly used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the LGM approach is extremely flexible in the measurement of change. In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performance in education from elementary to high ...

      Latent growth modeling(LGM) has been popularly used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the LGM approach is extremely flexible in the measurement of change. In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confirm the performance in education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data should be reflected in the model. This study presented five piecewise LGMs that can be applied to changes of the school stages. Specifically, piecewise LGM, discontinuous piecewise LGM, linear-nonlinear piecewise LGM, linear-nonlinear discontinuous piecewise LGM and multiphase piecewise LGM were applied to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panel data(from 1st to 8th wav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xploring various piecewise LGM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nd increased possibility of using various piecewise LG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2 이자영,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1, 2013

      3 정예화,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4 강태훈, "초6-중3 학업성취도 검사의 IRT 수직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287-315, 2012

      5 이지선, "지수함수를 이용한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의 탐색: 2차함수 모형의 대안으로서"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791-816, 2017

      6 김미향, "중학생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한국상담학회 11 (11): 189-206, 2010

      7 손윤희, "중등학생의 사교육 및 개인공부시간이 학업성취도의 종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8 양수경, "종단자료 결측치의 대체방법 비교"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65-190, 2009

      9 김성훈, "제7차년도 서울교육종단연구 학업성취도검사 척도점수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10 김수영, "잠재성장모형의 사용을 위한 표본크기 결정" 한국심리학회 34 (34): 599-617, 2015

      1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2 이자영,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1, 2013

      3 정예화,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4 강태훈, "초6-중3 학업성취도 검사의 IRT 수직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287-315, 2012

      5 이지선, "지수함수를 이용한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의 탐색: 2차함수 모형의 대안으로서"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791-816, 2017

      6 김미향, "중학생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한국상담학회 11 (11): 189-206, 2010

      7 손윤희, "중등학생의 사교육 및 개인공부시간이 학업성취도의 종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8 양수경, "종단자료 결측치의 대체방법 비교"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65-190, 2009

      9 김성훈, "제7차년도 서울교육종단연구 학업성취도검사 척도점수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6

      10 김수영, "잠재성장모형의 사용을 위한 표본크기 결정" 한국심리학회 34 (34): 599-617, 2015

      11 정윤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81-210, 2018

      12 김소영,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71-296, 2016

      13 신택수, "인간발달연구에서의 종단자료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28, 2014

      14 홍세희, "성장모형을 적용한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분석. 제3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포럼 연구자료집" 3-45, 2009

      15 박상현,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18

      16 조주연, "사회 자아개념 및 학업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379-396, 2018

      17 홍세희, "비연속시간 사건사 분석을 위한 분할함수 모형화 방법의 제시 및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953-973, 2010

      18 김진호,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불안의 변화 추정과 생태학적 영향 요인의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405-425, 2012

      19 성은모,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중·고등 학생의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에 대한 종단적 변화 탐색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1 (31): 949-969, 2015

      20 김진숙,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83-108, 2006

      21 이호섭, "고등학교 유형이 학교의 학업성취와 학업중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549-558, 2015

      22 부재율, "가교문항 수직적 동등화를 이용한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의 학년 간 비교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81-100, 2005

      23 Muthén, B. O., "Using mplus monte carlo simulations in practice: A note on non-normal missing data in latent variable models" Mplus Web Notes

      24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1998

      25 Kim, S. Y., "Issues in using stage-sequential growth mixture model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1

      26 Schwarz, G., "Estimating dimensions of a model" 6 (6): 461-464, 1978

      27 Singer, J. D.,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New"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8 Sclove, L.,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52 (52): 333-343, 1987

      29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1993

      30 Akaike, H.,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19 (19): 716-723,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