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8608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성식

      • UCI식별코드

        I804:11031-000002300307

      • 소장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학년 내 동료 간의 협력활동에서 많은 현장경험지식을 가진 고경력 교사들이 동학년 조직의 효과를 높이는데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내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살펴 고경력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고 학교교육에 동참하도록 유도하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학년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학년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경력 교사의 개념과 동학년에서의 역할, 학년조직효과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등을 설정하였다. 질문지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고경력 교사의 역할은 지도조언, 인화조성, 역할모델의 3개 하위변인과 15개의 문항으로, 종속변인인 학년조직효과성은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조직몰입의 4개 하위변인과 1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고경력 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하위 요소별로는 인화조성의 역할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년조직효과성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학년조직효과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몰입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수준이 학년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은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중 인화조성이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학년 내 동료 간의 협력활동에서 많은 현장경험지식을 가진 고경력 교사들이 동학년 조직의 효과를 높이는데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동학년 내 동료 간의 협력활동에서 많은 현장경험지식을 가진 고경력 교사들이 동학년 조직의 효과를 높이는데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내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살펴 고경력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고 학교교육에 동참하도록 유도하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학년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학년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경력 교사의 개념과 동학년에서의 역할, 학년조직효과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등을 설정하였다. 질문지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고경력 교사의 역할은 지도조언, 인화조성, 역할모델의 3개 하위변인과 15개의 문항으로, 종속변인인 학년조직효과성은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조직몰입의 4개 하위변인과 1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고경력 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하위 요소별로는 인화조성의 역할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년조직효과성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학년조직효과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몰입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수준이 학년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은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중 인화조성이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the same grad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measures which use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 as below.
      First, how is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by experienced teachers which teachers of same grade levels perceive?
      Second, how i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which teachers perceive?
      Thir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of this research, an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Through th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experienced teachers, their role in same grade levels,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and the components were decided. A questionnaire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employed after som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 to su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role of experienced teachers’ consisted of 3 sub-variables including guidance and advice, creating harmony, and role model, with 15 ques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consisted of 4 sub-variables including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19 questions.
      Online survey was requested to 38 elementary schools based in the city of Seoul to draw a research result, and valid 255 copies of 437 retrieved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First, an environment which allows experienced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should be created.
      Second, customized trainings should be provided for experienced teachers which enhance their capacity to easily share their filed knowledge with new teachers.
      Third, a community culture should be vitalized between teachers of same grad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where experienced teachers are respected and promoted as education expert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the same grad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measures which use the 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the same grad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measures which use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 as below.
      First, how is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by experienced teachers which teachers of same grade levels perceive?
      Second, how i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which teachers perceive?
      Thir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of this research, an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Through th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experienced teachers, their role in same grade levels,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and the components were decided. A questionnaire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employed after som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 to su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role of experienced teachers’ consisted of 3 sub-variables including guidance and advice, creating harmony, and role model, with 15 ques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consisted of 4 sub-variables including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19 questions.
      Online survey was requested to 38 elementary schools based in the city of Seoul to draw a research result, and valid 255 copies of 437 retrieved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First, an environment which allows experienced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should be created.
      Second, customized trainings should be provided for experienced teachers which enhance their capacity to easily share their filed knowledge with new teachers.
      Third, a community culture should be vitalized between teachers of same grad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where experienced teachers are respected and promoted as education expe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4. 연구의 제한점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4. 연구의 제한점
      • Ⅱ. 이론적 배경
      • 1. 고경력 교사의 개념과 역할
      • 2. 학년조직효과성
      • 3. 선행 연구 분석
      • Ⅲ. 연구 방법
      • 1. 분석의 틀
      • 2. 연구 대상
      • 3. 측정 도구
      • 4. 변인 정의
      • 5.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1.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 2. 학년조직효과성
      • 3.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
      • Ⅴ. 논의
      • 1.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 2.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년조직효과성
      • 3.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
      • Ⅵ. 요약 및 결론
      • 1. 요약
      • 2.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