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꾸준히 고도화되고 있는 스마트 글래스의 불편요소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 및 사용 시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 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27493
2023
Korean
004
학술저널
799-80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꾸준히 고도화되고 있는 스마트 글래스의 불편요소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 및 사용 시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 요...
본 연구의 목적은 꾸준히 고도화되고 있는 스마트 글래스의 불편요소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 및 사용 시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 요소를 파악하였고 각각의 요소들이 종합적인 불편함에 대해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18 명의 피험자가 상용화된 스마트 글래스인 Nreal Air 와 Vuzix Blade 를 체험하는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정성평가를 통해 6 가지 불편함 요소(‘코 무게감’, ‘귀 무게감’, ‘머리 압박감’, ‘불안정함’, ‘눈 피로감’, ‘어지러움’)와 ‘종합불편함’에 대해서 불편함 정도를 0-10 척도로 응답하였다. 실험결과로 제품에 따라 사용자들이 민감하게 느끼는 불편함 요소가 달랐으며 이는 제품의 무게분포, 크기, 압박력 등의 차이에 기인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 글래스 제품별로 개선 방향이 달라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동작인식 기반 전통 사자탈 아바타 매핑 및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컴퓨터비전 AI 모델을 활용한 감정반응형 명상공간 메타버스 개발
Illumination Augmentation for Single-source Domain Generalization in Polyp Image Seg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