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인천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 구역특성 연구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rict Unit Plan of the old city in In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1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y guideline for the case classification have not been made for specifying zones or settling the plan, even if the District Unit Plan was institutionalized in 2000 and a number of other District Unit Plans have been established for only a few years.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an but propose the planning sectors on the lines of the purpose of district specification in their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case of the District Unit Plans under way of establishment in the old city in Inche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district is different and its size and scale are so various that there is such a boundary to differentiate the plan contents from several case classification.The urban controling method should be unlike anything because there are unique formation background and a growth process in the city of Incheon, even if its geographical location is very close to Seou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and deducing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way of case studying on the old city in Incheon.
      번역하기

      Any guideline for the case classification have not been made for specifying zones or settling the plan, even if the District Unit Plan was institutionalized in 2000 and a number of other District Unit Plans have been established for only a few years.T...

      Any guideline for the case classification have not been made for specifying zones or settling the plan, even if the District Unit Plan was institutionalized in 2000 and a number of other District Unit Plans have been established for only a few years.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an but propose the planning sectors on the lines of the purpose of district specification in their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case of the District Unit Plans under way of establishment in the old city in Inche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district is different and its size and scale are so various that there is such a boundary to differentiate the plan contents from several case classification.The urban controling method should be unlike anything because there are unique formation background and a growth process in the city of Incheon, even if its geographical location is very close to Seou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and deducing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way of case studying on the old city in Inche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사례분석하여 제1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위한 유형별 계획수립의 접근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규검토 및 선행연구 과정에서 살펴본 유형화는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의 향후 정비방향설정 등에 활용가능성을 두었으나 구역의 과다로 인한 입지유형구분에 한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다수의 유형구분은 지나친 세분화 및 운영의 혼란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지구단위계획 유형별 계획특성분석을 위해서는 정비목적 이외의 지역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상세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서울시를 대상으로 시도한 기존의 유형분류는 인천시사례를 적용한 결과 1개 구역이 여러 구역에 중복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그림 1) 이는 유형분류 과정에서 구역크기, 도시별 지역특성, 구역별 내부특성에 따라 동일구역 내에 여러 지구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인천시 사례구역(4개 구역)에 공통으로 적용된 현황조사항목과 분석내용들은 제1종 지구단위계획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전반에 걸쳐 포함되고 있으며 특히,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상의 구역지정목적별 계획에 포함되는 사항과 비교할 때 복합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구역특성을 도출하는 기준이나 지침이 모호하다(표7). 이러한 구역특성 및 구역내부의 지구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황조사 및 주민의견수렴과정을 거쳐 문제점 및 중점검토사항을 도출하고 지구특성별 계획수립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구역의 지구특성으로 나타난 역사문화보호, 용도지역조정에 따른 용도상충건축물, 개발과 보존 등의 이해관계대립, 대규모 개발, 지하공간 등은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한 지침화가 필요할 것이다.
      지구단위계획의 유형화는 1개 구역전체를 하나의 유형으로 단일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구역내부를 세분하여 다중화하는 방법도 있다. 즉 1구역 1유형분류방법은 대상지성격 파악, 정비목표 설정 등을 통해 구역지정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며, 1구역내 다수의 유형세분화는 구역규모가 크거나 도시 또는 지역 여건에 따라 구역내부에 다수의 변화여건을 포함할 경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분류는 자칫 복잡해질 수도 있으므로 구역지정단계에서는 계획목표만을 제시하고 부문별계획부분에서 특성별 계획유형을 지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의 대부분이 서울시에 밀집되어 있고 관련 연구 또한 서울시를 위주로 진행되었기에 기타 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은 서울시의 답습에 그치거나 시기를 놓쳐 실효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사례인 인천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 역시 구역별 사례조사 및 계획내용에 차별성이 없었으며 그 중 부평시장역구역의 경우는 광대한 구역면적과 수립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 등 구역특성에 따른 문제점들에 부딪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구역지정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할 수립목적, 대상지성격세분, 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 등에 대한 사전 검토가 부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한 실현방안으로는 구역별 MA를 선정하여 규모가 작거나 계획목표가 단순한 구역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동주택지구단위계획과 마찬가지로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과 계획수립과정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구역면적이 크고 ...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사례분석하여 제1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위한 유형별 계획수립의 접근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사례분석하여 제1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위한 유형별 계획수립의 접근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규검토 및 선행연구 과정에서 살펴본 유형화는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의 향후 정비방향설정 등에 활용가능성을 두었으나 구역의 과다로 인한 입지유형구분에 한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다수의 유형구분은 지나친 세분화 및 운영의 혼란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지구단위계획 유형별 계획특성분석을 위해서는 정비목적 이외의 지역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상세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서울시를 대상으로 시도한 기존의 유형분류는 인천시사례를 적용한 결과 1개 구역이 여러 구역에 중복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그림 1) 이는 유형분류 과정에서 구역크기, 도시별 지역특성, 구역별 내부특성에 따라 동일구역 내에 여러 지구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인천시 사례구역(4개 구역)에 공통으로 적용된 현황조사항목과 분석내용들은 제1종 지구단위계획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전반에 걸쳐 포함되고 있으며 특히,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상의 구역지정목적별 계획에 포함되는 사항과 비교할 때 복합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구역특성을 도출하는 기준이나 지침이 모호하다(표7). 이러한 구역특성 및 구역내부의 지구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황조사 및 주민의견수렴과정을 거쳐 문제점 및 중점검토사항을 도출하고 지구특성별 계획수립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구역의 지구특성으로 나타난 역사문화보호, 용도지역조정에 따른 용도상충건축물, 개발과 보존 등의 이해관계대립, 대규모 개발, 지하공간 등은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한 지침화가 필요할 것이다.
      지구단위계획의 유형화는 1개 구역전체를 하나의 유형으로 단일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구역내부를 세분하여 다중화하는 방법도 있다. 즉 1구역 1유형분류방법은 대상지성격 파악, 정비목표 설정 등을 통해 구역지정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며, 1구역내 다수의 유형세분화는 구역규모가 크거나 도시 또는 지역 여건에 따라 구역내부에 다수의 변화여건을 포함할 경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분류는 자칫 복잡해질 수도 있으므로 구역지정단계에서는 계획목표만을 제시하고 부문별계획부분에서 특성별 계획유형을 지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의 대부분이 서울시에 밀집되어 있고 관련 연구 또한 서울시를 위주로 진행되었기에 기타 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은 서울시의 답습에 그치거나 시기를 놓쳐 실효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사례인 인천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 역시 구역별 사례조사 및 계획내용에 차별성이 없었으며 그 중 부평시장역구역의 경우는 광대한 구역면적과 수립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 등 구역특성에 따른 문제점들에 부딪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구역지정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할 수립목적, 대상지성격세분, 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 등에 대한 사전 검토가 부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한 실현방안으로는 구역별 MA를 선정하여 규모가 작거나 계획목표가 단순한 구역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동주택지구단위계획과 마찬가지로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과 계획수립과정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구역면적이 크고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구단위계획에서 인센티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01.11

      2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3 "일본의 지구계획제도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지구단위계획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0.12

      4 "우리나라 도시설계에서 특별구역제도의 실태와 시행방안의 개선에 관한 연구. 2002."

      5 "서울시지하도상가 관리개선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8.

      6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실효성 개선 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7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운영평가와 개선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8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밀도관리방안에 관한 워크샵"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밀도관리방안에 관한 워크샵 2004.

      9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기문당.2002.

      10 "기성시가지 상업지의 도시건축여건을 고려한 환경개선형 도시설계기법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003.

      1 "지구단위계획에서 인센티브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01.11

      2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3 "일본의 지구계획제도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지구단위계획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0.12

      4 "우리나라 도시설계에서 특별구역제도의 실태와 시행방안의 개선에 관한 연구. 2002."

      5 "서울시지하도상가 관리개선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8.

      6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실효성 개선 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7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운영평가와 개선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8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밀도관리방안에 관한 워크샵"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밀도관리방안에 관한 워크샵 2004.

      9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기문당.2002.

      10 "기성시가지 상업지의 도시건축여건을 고려한 환경개선형 도시설계기법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003.

      11 "2001구정백서" 부평구청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