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활동이 국제화되고 근로자의 해외 이동이 활발하여졌으며 소비자거래 또한 국제화되었다. 이러한 국제화의 길은 당연한 현실이 되고 말았다. 그 결과 소비자계약 사건과 근로계약 사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5003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5-298(2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업활동이 국제화되고 근로자의 해외 이동이 활발하여졌으며 소비자거래 또한 국제화되었다. 이러한 국제화의 길은 당연한 현실이 되고 말았다. 그 결과 소비자계약 사건과 근로계약 사건...
기업활동이 국제화되고 근로자의 해외 이동이 활발하여졌으며 소비자거래 또한 국제화되었다. 이러한 국제화의 길은 당연한 현실이 되고 말았다. 그 결과 소비자계약 사건과 근로계약 사건과 관련하여 국제재판관할이 문제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1962년 제정된 섭외사법으로는 이러한 급격히 변화된 상황을 규율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2001년 이를 전면 개정하여 국제적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는 국제사법 분야에서의 발전된 법제도를 수용한 국제사법을 공포하였다. 2001년 전면 개정된 국제사법은 소비자계약사건과 근로계약 사건에 관하여 국제재판관할규정을 따로 두어 사회경제적 약자인 소비자와 근로자를 보호하고 있다. 국제사법은 브뤼셀 I 규정 등을 참고하여 소비자계약 사건과 근로계약 사건에 관한 국제재판관할을 “전면적인 또는 쌍방적인”형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한국 소비자, 외국 소비자, 한국 사업자, 외국 사업자, 한국 근로자, 외국 근로자, 한국 사용자, 외국 사용자 사이에 이익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또한 이 들을 비차별적으로 규정한 것으로 설명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식의 규정은 유럽공동체와 같은 공동체 내에서 회원국 간의 국제재판관할을 규정할 경우에는 타당한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국제사법은 공동체에 속하는 회원국 간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규칙의 통합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국제재판관할을 “전면적인 또는 쌍방적인”형식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고 대한민국이 국제재판관할을 가지는 경우를 규정하면 충분하다. 국제사법이 시행된 이래 17년이 경과된 시점에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 국제사법 개정 법률안이 마련된 것은 국제사법이 다시 한번 정비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사법 개정 법률안은 소비자계약 사건에 관한 국제재판관할을 규정함에 있어서는 대한민국에 국제재판관할이 인정되는 경우만을 규정하고 있어 타당하나, 근로계약 사건에 관한 국제재판관할을 규정함에 있어서는 일부 “전면적인 또는 쌍방적인”형식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국제사법이 브뤼셀 I 규정과는 다른 상황을 규율하여야 하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사법 개정 법률안이 사회경제적 약자인 소비자와 근로자의 보호를 위하여 소비자계약 사건과 근로계약 사건에 관하여 국제재판관할규정을 특칙으로 규정하되 대한민국에 국제재판관할이 인정되는 경우만을 규정하는 형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국제사법 개정 법률안이 소비자와 근로자의 보호에 효율적인 기능을 하고 또한 대한민국이 국제재판관할을 가지는 경우만을 규정하는 합리적인 형식을 취하여 국제화된 경제상황과 국제사법이 적용될 우리나라의 입장에 부합하는 국제사법으로 정비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are fac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usiness activities, free movement of worker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nsumer contracts. As a result, a court commonly has to address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s and over ...
We are fac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business activities, free movement of worker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nsumer contracts. As a result, a court commonly has to address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s and over individual contracts of employment. By adopting the approach of the Brussels I Regulation,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was reformed to provide an advanced rule for determining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 cases and over individual employment contract cases in 2001. The 2001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contains special rules of jurisdiction for the benefit of the consumer and the employee as a weaker party.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is aligned with the Brussels I Regulation in providing, regardless of locale of connecting factors, for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 cases and over individual employment contract case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approach reasonably balances interests between a local consumer and a foreign trader, a local trader and a foreign consumer, a local employee and a foreign employer, and a foreign employee and a local employer, and does not discriminate them.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approach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common rules on jurisdiction in a community such as the European Union.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does not intend to unify the rules of conflict of jurisdiction across member states in a community, and thus has only to provide for jurisdiction of Korean courts instead of providing for jurisdiction regardless of locale of connecting factors.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will be refined again by revisiting it in 17 years with respect to jurisdiction. The amendment bill sets out special rules of jurisdiction of Korean courts only with respect to consumer contracts but special rules of jurisdiction, regardless of locale of connecting factors, with respect to individual employment contracts. The bill mistakenly adopts the approach of the Brussels I Regulation for jurisdiction over individual employment contracts. The bill should provide for special rules of jurisdiction of Korean courts only to protect the consumer and the employee in consumer contract cases and individual employment cases respectively.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will be revisited to set out special rules of jurisdiction of Korean courts only for the benefit of the consumer and the employee taking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of Korea instead of adopting the approach of the Brussels I Regul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현, "항공기사고에서 국제근로계약과 불법행위의 국제재판관할권 판단기준"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31 (31): 73-98, 2016
2 박희주, "전자거래와 국제재판관할" 한국소비자원 (24) : 2001
3 김문숙, "일본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하여 -2011년 개정민사소송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사법학회 (18) : 279-331, 2012
4 홍기문, "인터넷에 의한 국제민사분쟁과 재판"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1 (21): 2001
5 석광현, "인터넷과 국제재판관할" 한국인터넷법학회 (2) : 2003
6 고준기, "외국에서의 국제적 노동관계를 둘러싼 법적문제" 한국기업법학회 (16) : 365-390, 2004
7 김수형, "섭외사법 개정법률안의 검토" 한국국제사법학회 6 : 2001
8 한충수, "섭외사법 개정법률안의 검토" 한국국제사법학회 6 : 2001
9 법무부, "국제사법 해설" 2001
10 석광현, "국제사법 해설" 박영사 2013
1 조정현, "항공기사고에서 국제근로계약과 불법행위의 국제재판관할권 판단기준"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31 (31): 73-98, 2016
2 박희주, "전자거래와 국제재판관할" 한국소비자원 (24) : 2001
3 김문숙, "일본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에 관하여 -2011년 개정민사소송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사법학회 (18) : 279-331, 2012
4 홍기문, "인터넷에 의한 국제민사분쟁과 재판"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1 (21): 2001
5 석광현, "인터넷과 국제재판관할" 한국인터넷법학회 (2) : 2003
6 고준기, "외국에서의 국제적 노동관계를 둘러싼 법적문제" 한국기업법학회 (16) : 365-390, 2004
7 김수형, "섭외사법 개정법률안의 검토" 한국국제사법학회 6 : 2001
8 한충수, "섭외사법 개정법률안의 검토" 한국국제사법학회 6 : 2001
9 법무부, "국제사법 해설" 2001
10 석광현, "국제사법 해설" 박영사 2013
11 법무부, "국제사법 전부개정법률안 공청회"
12 김인호, "국제사법" 박영사 2012
13 김인호, "국제근로계약의 준거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대한변호사협회 (441) : 25-39, 2014
14 이병화, "국제근로계약에 관한 국제사법적 고찰" 한국국제사법학회 20 (20): 339-389, 2014
15 長田眞里, "消費者契約および勞動關係にかかる國際裁判管轄の新規定" 한국국제사법학회 (18) : 357-389, 2012
16 Andrew Dickinson, "The Brussels I Regulation Recast" 2015
17 Burkhard Hess, "The Brussels I Regulation 44/2001" 2008
18 Vesna Lazie, "Procedural Position of a ‘Weaker Party’ in the Regulation Brussels Ibis" 2017
19 Louise Merrett, "Employment Contracts in Private International Law" 2011
20 Trevor Hartley, "Civil Jurisdiction and Judgments in Europe" 200-, 2017
21 Adrian Briggs, "Civil Jurisdiction and Judgments" 2015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 있어서 외국부양결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해석론적 고찰
FIDIC 계약조건에서 국제중재 전 선결절차로서의 분쟁재정위원회(Dispute Adjudication Board)의 효용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64 | 0.958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