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features and its application measures of creation archives based on cultural arche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5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eek the elements of our cultural archetype, in the view of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and new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digital contents, could be very meaningfu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o gain competitive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to discover cultural archetype strategically, and which should be also understood as a means to create certain items. In that sense, based on the existing performance that cultural archetype-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siness has achieved, this study discusses mainly how to develop and use cultural archetype materials for creation and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model of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to have competitive edge and various measures to build a new paradigm as well. From several researches,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could be obtained through re-classifying and systematizing the already-developed cultural contents and similar ones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Moreover, we could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nts would be more diversified along with its enhanced efficiency through contents` conversion into storytelling, cultural archetype application and the extend function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which all will be used as two pillars of both public good function and industrial one.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ion archive based on cultural archetype is to lay a foundation for an autonomous re-production basis through such new system building-up, and maximize and advance the use of elements for crea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building and operating creation archive will be undoubtedly the surest alternative to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ment`s ambitious hope of becoming a global leader with rich cultural contents.
      번역하기

      To seek the elements of our cultural archetype, in the view of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and new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digital contents, could be very meaningfu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o gain competitive c...

      To seek the elements of our cultural archetype, in the view of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and new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digital contents, could be very meaningfu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o gain competitive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to discover cultural archetype strategically, and which should be also understood as a means to create certain items. In that sense, based on the existing performance that cultural archetype-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siness has achieved, this study discusses mainly how to develop and use cultural archetype materials for creation and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model of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to have competitive edge and various measures to build a new paradigm as well. From several researches,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could be obtained through re-classifying and systematizing the already-developed cultural contents and similar ones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Moreover, we could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nts would be more diversified along with its enhanced efficiency through contents` conversion into storytelling, cultural archetype application and the extend function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which all will be used as two pillars of both public good function and industrial one.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ion archive based on cultural archetype is to lay a foundation for an autonomous re-production basis through such new system building-up, and maximize and advance the use of elements for crea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building and operating creation archive will be undoubtedly the surest alternative to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ment`s ambitious hope of becoming a global leader with rich cultural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형 디지털스토리텔링" 살림 2005

      2 박경하, "한국의 문화원형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3 : 2004

      3 "한국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의 문화콘텐츠" 3 : 2004

      4 김원제, "컨텐츠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한국 컨텐츠 산업의 시장메카니즘 조정방안" 한국전산원 1999

      5 문화관광부, "컨텐츠 산업발전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9

      6 "정보화시대의 한국역사학. 역사학과 지식 정보사회" 서울대출판부 2001

      7 "자연유기체의 형태적 특징의 고찰과 콘텐츠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1995

      8 김 현, "인문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방향" 2003

      9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 종합계획 (2003~2007)"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2

      10 문화관광부 예술국, "예술정보의 체계적 관리 활용" 문화관광부 예술국 2006

      1 "한국형 디지털스토리텔링" 살림 2005

      2 박경하, "한국의 문화원형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3 : 2004

      3 "한국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의 문화콘텐츠" 3 : 2004

      4 김원제, "컨텐츠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한국 컨텐츠 산업의 시장메카니즘 조정방안" 한국전산원 1999

      5 문화관광부, "컨텐츠 산업발전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9

      6 "정보화시대의 한국역사학. 역사학과 지식 정보사회" 서울대출판부 2001

      7 "자연유기체의 형태적 특징의 고찰과 콘텐츠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1995

      8 김 현, "인문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방향" 2003

      9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 종합계획 (2003~2007)"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2

      10 문화관광부 예술국, "예술정보의 체계적 관리 활용" 문화관광부 예술국 2006

      11 미술의해 조직위원회, "미술문화정보센터 설립연구" 미술의해 조직위원회 1995

      12 "문화콘텐츠닷컴 사이트 분석과 활성화방안 제안" 5 : 2005

      13 "문화콘텐츠 접근성, 그 의미와 정책과제" 3 : 2003

      14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모형에 관한 연구" 14 (14): 2003

      15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 마스터플랜" 2007

      16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한 문화콘텐츠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25-2, 2004

      17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 활용방안 연구" 179 : 2007

      18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산업적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5 : 2005

      19 김기덕,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사회적 효용" 5 : 2005

      20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에 있어서의 저작권 문제" 5 : 2005

      21 "문화산업과 인문학, 순수예술의 소통 방안을 위한 일고찰" 2003

      22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에 관한 연구" 2006

      23 "디지털스토리텔링과 고전문학" 국어국문학회 2005

      24 송성욱,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방안" 고전문학연구회 25집 : 2003

      25 "2005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 중장기 로드맵"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KCI등재
      2020-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KCI등재
      2014-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0.9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