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성공 측정은 정보시스템 관리의 가치와 효과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을 위한 다양한 기준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시스템 개발자의 인식을 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80855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5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시스템 성공 측정은 정보시스템 관리의 가치와 효과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을 위한 다양한 기준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시스템 개발자의 인식을 분석...
정보시스템 성공 측정은 정보시스템 관리의 가치와 효과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을 위한 다양한 기준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시스템 개발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정보시스템 개발자들은 전략 및 사용자 수준의 기준보다 조직 및 시스템수준에 관련된 기준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보시스템 개발자들은 간접/장기적 기준보다 직접/단기적 기준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성공 기준의 중요성에 대한 개발자의 견해가 혁신적 기업의 개발자들과 비혁신적인 기업의 개발자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직급에 따른 개발자 인식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firms increase their operations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anagers to understand cross-cultural issues in adopting information systems(IS). The present study surveyed IS developers with respect to their perceptions on ...
As firms increase their operations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anagers to understand cross-cultural issues in adopting information systems(IS). The present study surveyed IS developers with respect to their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various criteria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velopers perceive criteria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and systems level to be more important than criteria on the strategic and user level. In addition, the developers perceive immediate/direct criteria as more important that indirect/long term criteria. The current study found little differences between developers working for innovative versus those working for non-innovative companies with respect to their views on the importance of various success criteria. There were also very littl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IS developers at different hierarchical ranks.
목차 (Table of Contents)
산학협력준비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개방형혁신협업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끼를 활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 및 이끼별 공기정화 능력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