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주거빈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그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3020
2025
Korean
청년 ; 주거빈곤 ; 자살생각 ; 우울 ; 매개효과 ; Young Adults ; Housing Poverty ; Suicidal Ideation ; Depression ; Mediating Effect
KCI등재
학술저널
25-4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주거빈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그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주거빈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그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2019년 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분석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3,018명에 관한 자료를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주거빈곤은 자살생각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의 주거빈곤과 우울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의 우울은 자살생각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의 우울은 주거빈곤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년은 주거빈곤으로 인해 우울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우울은 자살생각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청년의 자살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among young adults on suicidal ide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conduct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raw data f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among young adults on suicidal ide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conduct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raw data from the 2019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Young Adult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ata from 3,018 young adults aged 19 to 34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poverty among young adult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Thir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Fourth, dep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adul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ousing poverty leads to feelings of depression,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suicide among young adults are discussed.
치매노인 간병살인에 관한 연구: 1995년~2024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청소년 성장소설에 재현된 ‘난민화’하는 청소년의 생의 의지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국내 노인 대상 집단상담의 연구 동향 및 과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신중년경력형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병원치료조력서비스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