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집단상담 연구의 동향과 미래 과제를 파악하고자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실시하였다. 문헌 수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고급 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3022
2025
Korean
노인 ; 집단상담 ; 연구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 Group Counseling ; Older Adults ; Research Trends ; Scoping Review ; Korea
KCI등재
학술저널
119-140(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집단상담 연구의 동향과 미래 과제를 파악하고자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실시하였다. 문헌 수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고급 검...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집단상담 연구의 동향과 미래 과제를 파악하고자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실시하였다. 문헌 수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고급 검색이 가능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2022년부터 2024년 사이 발표된 등재학술지 이상 학술논문으로 하였다. 수집된 문헌 중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부합하는 최종 18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군 대상 연구(8편), 양적 연구(9편), 성과 중심 연구(9편)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6편의 노인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한 결과, 상담 분야로는 언어상담과 예술치료가 각각 8편으로 동일한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론적 배경이 명시되지 않은 연구가 절반 이상(9편), 주요 개입 변인으로는 자아통합감과 정체성(6편)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론적 기반을 갖춘 프로그램의 개발, 개입 변인 및 운영 방식의 다양화, 긍정적 변인에 대한 연구 확대 필요성을 제안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mployed a scoping review framework to investigate trends and challenges in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A systematic analysis of 18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22 and 2024 in accredited journ...
This study employed a scoping review framework to investigate trends and challenges in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A systematic analysis of 18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22 and 2024 in accredited journals was conducted using advanced searches in the RISS and KCI databases. Findings revealed a predominance of studies involving general populations (n=8), employing quantitative methodologies (n=9), and emphasizing outcome-based research (n=9). Among the 16 group counseling programs identified, language counseling and art therapy were equally represented (n=8 each). Notably,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n=9) lacked explicit theoretical frameworks, with self-integrity and identity emerging as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intervention variables (n=6).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theoretically grounded group counseling programs, greater diversity in intervention variables and delivery methods, and increased attention to positive psychological constructs. The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its limitations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치매노인 간병살인에 관한 연구: 1995년~2024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청년의 주거빈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성장소설에 재현된 ‘난민화’하는 청소년의 생의 의지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신중년경력형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병원치료조력서비스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