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거리와 주택점유형태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주거리가 길수록 주택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주택을 자가로 점유할 확률이 낮아짐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이에 더하여 이러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주거리와 주택점유형태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주거리가 길수록 주택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주택을 자가로 점유할 확률이 낮아짐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이에 더하여 이러한...
이주거리와 주택점유형태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주거리가 길수록 주택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주택을 자가로 점유할 확률이 낮아짐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이에 더하여 이러한 정보의 부족이 단순히 거리에 의존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역 간 이주시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나라는 과거로부터 권역 간 지역성이 명확하고 이러한 권역 간 이질성으로 권역 간 이주가 빈번하지 못하다. 주택시장에 대한 정보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회피적인 선호를 갖는 경제주체는 주택을 자가로 점유할 확률이 보다 낮을 것이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2020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권역 간 경계를 넘는 이주는 시군구 내 이주에 비해 자가점유확률이 5.4%p만큼 낮다. 또한, 권역 간 경계를 넘는 이주로 분석을 한정하는 경우 인접한 시군구 간 이주와 인접하지 않은 시군구 간 이주 사이 자가점유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이주를 통한 주택자가점유확률의 하락에서 얼마나 먼 거리를 이주하느냐보다는 이주가 권역 간 경계를 넘느냐가 오히려 중요함을 함축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distance and housing tenure choice, the probability of occupying a housing unit as an owner is lower with a longer migration distance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housing ...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distance and housing tenure choice, the probability of occupying a housing unit as an owner is lower with a longer migration distance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housing market at the destin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the insufficiency of information appears with the migration across the border of regions rather than simply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migration. In Korea, locality across regions has been obvious from the past and migration across regions does not occur frequently due to the heterogeneity across regions. As the uncertainty in the housing market increases, economic agents who have a risk-averse preference would become less likely to occupy the house as owner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0 from Korea Statistics, the likelihood of owner-occupancy from the migration across regions is lower than that from the migration within an area (i.e., city, county, or ward) by 5.4 percentage points. Additionally, when the analysis is restricted to the migration across regions, the owner-occupancy rate does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between migration among neighboring and remote areas. This implies that whether or not the migration crosses the border of regions is more important than how far the household migrates with respect to the drop in the owner-occupancy rate with migration.
실거래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아파트 시장의 투자수요 식별 및 아파트 가격의 변동 요인 분석*
벡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시기별 미분양주택 영향요인 분석
주택시장 안정화와 부동산 금융규제 정책의 유효성: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비교 분석
주택저당증권(Mortgage-Backed Securities, MBS)의 구조변화 분석: 30년 만기 도입 전·후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