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 중학 축구선수 생활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60245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6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95.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The) Verstehen of a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Life Everyday

      • 형태사항

        58 L.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L.56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ising a child to a soccer player brings up much concern from neighbors. Furthermore the player himself and his parents live a uneasy life from uncertain future. The identity of a middle school student as a soccer player is entirely different from normal students.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these studies 'The process of confidence formation as a successful soccer player's through Phenomenology ( the interpretation of photogra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disposition of sense, perception is connected with soccer. Photographs and data reveals the student's fantasy, joy and anxiety.
      2. The student successfully adjusted himself to soccer team(the same area of objectivity) however fail to win the ultimate victory(his pursuing goal)
      3. Though the student had much more actual match experiences, he revealed the same level of anxiety when his colleagues of Joong-ni Middle showed those.
      4. In School Culture, the principal's interest and concern have much effect on the school soccer team.
      5. The student's motive to recognize his possibility as a soccer player was from the coach of Won-ju Technical High School. Furthermore it became a turning point to the student.
      번역하기

      Raising a child to a soccer player brings up much concern from neighbors. Furthermore the player himself and his parents live a uneasy life from uncertain future. The identity of a middle school student as a soccer player is entirely different from n...

      Raising a child to a soccer player brings up much concern from neighbors. Furthermore the player himself and his parents live a uneasy life from uncertain future. The identity of a middle school student as a soccer player is entirely different from normal students.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these studies 'The process of confidence formation as a successful soccer player's through Phenomenology ( the interpretation of photogra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disposition of sense, perception is connected with soccer. Photographs and data reveals the student's fantasy, joy and anxiety.
      2. The student successfully adjusted himself to soccer team(the same area of objectivity) however fail to win the ultimate victory(his pursuing goal)
      3. Though the student had much more actual match experiences, he revealed the same level of anxiety when his colleagues of Joong-ni Middle showed those.
      4. In School Culture, the principal's interest and concern have much effect on the school soccer team.
      5. The student's motive to recognize his possibility as a soccer player was from the coach of Won-ju Technical High School. Furthermore it became a turning point to the stud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에서 자녀를 축구선수로 키운다는 것은 주위로부터 많은 우려를 받을 수 있으며, 당사자들은 불안 속에서 일상생활을 한다. 한 중학생이 축구체험을 통하여 형성되어지는 정체성은 분명 학교생활에서 공부하는 중학생들과는 다를 것이다. 연구자는 참여자가 ‘축구선수로 성공할 수 있다’라는 의식의 형성과정을 현상학 방법(사진해석)으로 기술하고, 해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각, 지각의 지향성은 축구와 연관이 되었고, 기억되어진 사진 및 관찰 자료부터 파악된 것은 판타지, 즐거움, 불안이었다.
      2. 참여자가 객관화의 동질적 영역에(축구부) 흡수는 되었지만, 지향적 대상인 승리의 결과물(우승)을 얻는데 실패하였다.
      3. 실전경험이 중리중 동료들보다 풍부한 참여자도 팀 구성원들의 다수 심리적 상태(불안)에는 같은 불안을 보였다.
      3. 학교문화에서 학교장의 관심과 배려는 그 학교 축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 되었다.
      4. 참여자가 축구선수로서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는 타자로서 원주공고 지도자와의 연관이었으며, 전기(turning point)가 되었다.
      번역하기

      대한민국에서 자녀를 축구선수로 키운다는 것은 주위로부터 많은 우려를 받을 수 있으며, 당사자들은 불안 속에서 일상생활을 한다. 한 중학생이 축구체험을 통하여 형성되어지는 정체성은...

      대한민국에서 자녀를 축구선수로 키운다는 것은 주위로부터 많은 우려를 받을 수 있으며, 당사자들은 불안 속에서 일상생활을 한다. 한 중학생이 축구체험을 통하여 형성되어지는 정체성은 분명 학교생활에서 공부하는 중학생들과는 다를 것이다. 연구자는 참여자가 ‘축구선수로 성공할 수 있다’라는 의식의 형성과정을 현상학 방법(사진해석)으로 기술하고, 해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각, 지각의 지향성은 축구와 연관이 되었고, 기억되어진 사진 및 관찰 자료부터 파악된 것은 판타지, 즐거움, 불안이었다.
      2. 참여자가 객관화의 동질적 영역에(축구부) 흡수는 되었지만, 지향적 대상인 승리의 결과물(우승)을 얻는데 실패하였다.
      3. 실전경험이 중리중 동료들보다 풍부한 참여자도 팀 구성원들의 다수 심리적 상태(불안)에는 같은 불안을 보였다.
      3. 학교문화에서 학교장의 관심과 배려는 그 학교 축구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파악 되었다.
      4. 참여자가 축구선수로서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는 타자로서 원주공고 지도자와의 연관이었으며, 전기(turning point)가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3. 연구의 한계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3. 연구의 한계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선험적 현상학 = 3
      • 2. 생활 세계적 현상학 = 6
      • 3. 질적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 8
      • 4. 사회과학적 이해 = 13
      • 5. 간주관성의 문제 = 16
      • 6. 후설과 하이데거의 세계 개념 = 20
      • 7. 정체성 형성의 3단계 = 21
      • Ⅲ. 연구방법 = 23
      • 1. 연구대상 = 23
      • 2. 연구기간 = 24
      • 3. 자료수집, 분석 = 24
      • Ⅳ. 연구결과 = 24
      • 1. 지향적 체험 = 24
      • 2. 아동의 판타지 = 25
      • 3. 한정된 재화 = 27
      • 4. 동질화 = 35
      • 5. 관심과 배려 = 37
      • 6. 불안 = 41
      • 7. 발생 = 43
      • 8.타자인식을 통한 자아발견 = 50
      • Ⅴ. 연구결과 요약 및 해석 = 51
      • 1. 연구결과 요약 = 51
      • 2. 연구결과 해석 = 52
      • 3. 시사점 = 54
      • 4. 제언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