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미결정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34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시간전망 개념에 초점을 두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371명이었고 연구도구로는 진로 미결정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Wallace(1960)의 이론을 바탕으로 측정된 시간전망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하여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에 있어서 시간전망 하위척도 중 시간길이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척도 중 미래계획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대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미결정을 포함하여 시간전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시간전망 하위요인 중 응집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응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 미결정 상태를 이해하여 상담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간전망을 적용하여 진로미결정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시간전망 개념에 초점을 두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시간전망 개념에 초점을 두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371명이었고 연구도구로는 진로 미결정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Wallace(1960)의 이론을 바탕으로 측정된 시간전망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하여 T-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전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에 있어서 시간전망 하위척도 중 시간길이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척도 중 미래계획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대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미결정을 포함하여 시간전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시간전망 하위요인 중 응집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응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 미결정 상태를 이해하여 상담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간전망을 적용하여 진로미결정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me protective, I wanted to make 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71 collage students(male and female) and the career decision scale(CD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S-SF) were used for this study. time perspective is measured based on the wallace(1960) theory. For data analysis, t-test, correlational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on time length of time perspective and future pla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le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in relations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career indecis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coherence of time perspective variab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indecision. Finally,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ully mediated with coherence and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s would help understanding the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and could be applied in counseling sessions. In particular, in terms of understanding clients with career indecision by applying time perspective which is a somewhat new variables, it is meaningfu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me protective, I wanted to make sure the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ime perspec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me protective, I wanted to make 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71 collage students(male and female) and the career decision scale(CD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S-SF) were used for this study. time perspective is measured based on the wallace(1960) theory. For data analysis, t-test, correlational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 on time length of time perspective and future pla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le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in relations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career indecis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coherence of time perspective variab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indecision. Finally,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ully mediated with coherence and career indecision.
      These results would help understanding the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and could be applied in counseling sessions. In particular, in terms of understanding clients with career indecision by applying time perspective which is a somewhat new variables, it is meaningf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개관 7
      • 목 차
      • Abstract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개관 7
      • 1) 진로미결정 7
      • 2) 시간전망 9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2
      • 4) 변인 간 관계 16
      • (1) 시간전망과 진로미결정 16
      • (2) 시간전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6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 16
      • 3. 연구문제 및 가설 17
      • Ⅱ. 연구방법 18
      • 1. 연구대상 18
      • 2. 측정도구 19
      • 1) 진로미결정 19
      • 2) 시간전망 20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21
      • 3. 자료분석 22
      • Ⅲ. 결과 23
      • 1. 기술통계 및 차이검증 23
      • 2. 상관분석 24
      • 3. 중다회귀분석 25
      • 4. 측정모형 검증 26
      • 5. 구조모형 검증 29
      • 6.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 31
      • Ⅳ. 논의 32
      • 참고문헌 38
      • 부록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