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장후각측정방법의 국내 적용 연구 = A Study of Odor Measurement Method Using Olfactory in the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6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dor is sensory pollu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living environments, causing displeasure people’s daily lives.
      In order to manage such odor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learly identify the odor phenomenon around the sources.
      In Korea, a method is applied to collect air from a site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ilution and 'designated offensive odor substances'. Germany and the U.S. are managing odors by a mixed standard of frequency and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regulating them with their measurement concent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in the field, and in Germany, a grid is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odors occurring, and a grid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during the total visit by a olfactometry panels based on statistical rules for a period of six months or one ye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rough a study on how to investigate odour by applying the German grid method to domestic environmental base facilities. First, it was able to reflect seasonal effects, time changes, and types of odors. Thus,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use of the odor, the affected areas and countermeasures. Second, the domestic version from the German grid method allows for Investigation of odor conditions. Third, recording the type and intensity of odors when measuring field odor helps analyze the more obvious effects when selecting the cause site. Fourth, nevertheless,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applying field odor in Korea, but difficulties in using the IoT technology can be improved.
      번역하기

      Odor is sensory pollu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living environments, causing displeasure people’s daily lives. In order to manage such odor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learly identify the odor phenomenon around the sources. In Korea, a...

      Odor is sensory pollu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living environments, causing displeasure people’s daily lives.
      In order to manage such odor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learly identify the odor phenomenon around the sources.
      In Korea, a method is applied to collect air from a site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ilution and 'designated offensive odor substances'. Germany and the U.S. are managing odors by a mixed standard of frequency and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regulating them with their measurement concent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in the field, and in Germany, a grid is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odors occurring, and a grid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during the total visit by a olfactometry panels based on statistical rules for a period of six months or one ye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rough a study on how to investigate odour by applying the German grid method to domestic environmental base facilities. First, it was able to reflect seasonal effects, time changes, and types of odors. Thus,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use of the odor, the affected areas and countermeasures. Second, the domestic version from the German grid method allows for Investigation of odor conditions. Third, recording the type and intensity of odors when measuring field odor helps analyze the more obvious effects when selecting the cause site. Fourth, nevertheless,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applying field odor in Korea, but difficulties in using the IoT technology can be im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악취는 생활환경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공해로써, 생활환경 내에서 불쾌감등을 유발한다. 이와같은 악취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악취현황을 명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국내에서는 현장의 공기를 포집하여희석배수 및 지정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 독일 및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국내에서의 방법과 같이 단일 농도값을 기준으로 악취영향을 규제하기 보다는 악취가 발생하는 빈도와 농도의 복합적인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약한 악취의 발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인정수준을 포함하고 있으나, 최소의 악취불쾌감이라도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악취의 발생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독일에서는 이와 같은 악취발생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악취발생지역을 일정간격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6개월 또는 1년동안 기간을 정하여 통계적 규칙에 기반하여 악취판정사가 현장에 방문하고, 직접 악취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한 후 총 방문기간동안의 악취빈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방법인 격자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식 격자법을 이용하여 국내형으로 변형하여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격자법에 의한 악취실태를 조사하는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절적인 영향과 시간적인 변화, 냄새의 종류등을 반영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악취의 원인과 영향지역, 대응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독일식에서 축소된 국내형으로도 악취현황파악에 적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현장악취 측정시 현장악취 측정시 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기입하여, 원인 사업장의 냄새를 선별하는 경우 좀더 명확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악취에 대한 국내에서 적용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나, IoT기술을 접목하여 활용시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다.
      번역하기

      악취는 생활환경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공해로써, 생활환경 내에서 불쾌감등을 유발한다. 이와같은 악취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악취현황을 명확히 파악...

      악취는 생활환경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공해로써, 생활환경 내에서 불쾌감등을 유발한다. 이와같은 악취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악취현황을 명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국내에서는 현장의 공기를 포집하여희석배수 및 지정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 독일 및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국내에서의 방법과 같이 단일 농도값을 기준으로 악취영향을 규제하기 보다는 악취가 발생하는 빈도와 농도의 복합적인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약한 악취의 발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인정수준을 포함하고 있으나, 최소의 악취불쾌감이라도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악취의 발생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독일에서는 이와 같은 악취발생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악취발생지역을 일정간격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6개월 또는 1년동안 기간을 정하여 통계적 규칙에 기반하여 악취판정사가 현장에 방문하고, 직접 악취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한 후 총 방문기간동안의 악취빈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방법인 격자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식 격자법을 이용하여 국내형으로 변형하여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격자법에 의한 악취실태를 조사하는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절적인 영향과 시간적인 변화, 냄새의 종류등을 반영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악취의 원인과 영향지역, 대응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독일식에서 축소된 국내형으로도 악취현황파악에 적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현장악취 측정시 현장악취 측정시 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기입하여, 원인 사업장의 냄새를 선별하는 경우 좀더 명확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악취에 대한 국내에서 적용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나, IoT기술을 접목하여 활용시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소연, "현장후각측정법을 이용한 축산악취 조사 연구" 149-150, 2014

      2 국립환경과학원, "악취실태조사 방법 및 악취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2016

      3 정상진, "악취 농도 및 빈도 규제에 따른 소각장 주변 악취 영향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12 (12): 125-133, 2013

      4 "User’s guide for the AMS/EPA Regulatory model –AERMOD"

      5 Ka-Hing Yau, "Inter-comparison of the AUSTAL2000 and CALPUFF dispersion models against the kincaid data set"

      6 Gunther Schauberger, "Concept to assess the human perception of odour by estimationg short-time peak concentrations from one-hour mean values" 2012

      7 "AUSTAL2000 2.6 Program documentation"

      1 임소연, "현장후각측정법을 이용한 축산악취 조사 연구" 149-150, 2014

      2 국립환경과학원, "악취실태조사 방법 및 악취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2016

      3 정상진, "악취 농도 및 빈도 규제에 따른 소각장 주변 악취 영향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12 (12): 125-133, 2013

      4 "User’s guide for the AMS/EPA Regulatory model –AERMOD"

      5 Ka-Hing Yau, "Inter-comparison of the AUSTAL2000 and CALPUFF dispersion models against the kincaid data set"

      6 Gunther Schauberger, "Concept to assess the human perception of odour by estimationg short-time peak concentrations from one-hour mean values" 2012

      7 "AUSTAL2000 2.6 Program document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9 0.54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