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Kant's Perspectives of ‘Moral Emotion’ an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2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덕 기반의 윤리교육이 도덕교육의 주류적 접근으로 부상하면서 도덕법칙과 의무개념을 주축으로 하는 칸트의 윤리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 접근법들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러나 이러...

      덕 기반의 윤리교육이 도덕교육의 주류적 접근으로 부상하면서 도덕법칙과 의무개념을 주축으로 하는 칸트의 윤리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 접근법들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고전적인 덕이론이나 칸트의 윤리이론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려는 시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칸트의 주요 저서들을 통해서 칸트가 ‘비판기’에 있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성중심의 도덕관을 유지하면서도 후기로 가면서 점차 소극적이긴 하나 도덕성 형성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을 시인하며, 윤리체계에 있어서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실천과 수행에 있어서 판단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추적하고자 한다.
      칸트는 고전적인 덕론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취해왔고, 칸트의 비판시기 저술들에서는 선험적 인식의 결과 도덕원칙을 욕구나 감정, 경험 등과 무관한 형식에서 찾는다. 이에 따라 윤리이론은 이성의 동기적 측면을 부각시키며 욕구나 감정의 동기적 측면을 배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비판기에 참된 도덕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던 명예나 동정심은 점차 도덕성 함양을 위한 도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도덕 형이상학』에서 칸트는 행위의 형식에 목적을 동시에 구비한 ‘덕의무’를 제안하고, ‘덕에의 책무’를 강조한 덕론과 도덕 실천을 고양시키는 ‘도덕 감정’ 개념을 정립한다. 명예나 동정심은 계발해야 될 도덕적 소질로서 간접적 의무의 대상이 되며, 도덕적 수행에 있어서 쾌의 긍정적 역할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칸트의 후기 저서에서 나타난 덕과 도덕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칸트가 도덕 감정의 인지적 요소와 동기화 기능을 시인하고 있음을 논증하며, 나아가 실제적으로는 도덕 감정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Virtue-based education becomes a main current of moral education, approaches based on Kant's rational, autonomous morality have relatively been weakened. However, even though Kant had been known as a critic against classical virtue theories, Kant s...

      As Virtue-based education becomes a main current of moral education, approaches based on Kant's rational, autonomous morality have relatively been weakened. However, even though Kant had been known as a critic against classical virtue theories, Kant sought to make use of motivational force of virtue or emotion so that practical reason or moral will could work better. In his earlier books Kant argued that act on natural sympathy had not any moral values. But in his later book Moral Metaphysics, Kant suggested his virtue ethics composed of 'virtue duty' and categorized sympathy as 'moral emotion' that should be developed and should be a indirect duty.
      This paper aims to focus on why those changes happened and what those changes means to Kant's ethical theory. I propose that those changes were caused by weak points of Kant's theory such as formalistic, intellectualistic, and anti-emotional orientation etc. However, by virtue of those changes Kant's ethical theory has more promising vision to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that both judgement and sympathy play a role, than his earlier t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nt,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김덕수, "칸트의 자율성과 덕" 새한철학회 76 (76): 213-230, 2014

      3 이원봉, "칸트의 덕이론연구- 덕윤리학의 비판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대학원철학과 1 : 2005

      4 맹주만, "칸트의 덕과 덕-감정" 한국칸트학회 (28) : 29-50, 2011

      5 김덕수,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에서 ‘동시에 의무인 목적’" 새한철학회 68 (68): 125-146, 2012

      6 맹주만, "칸트와 흄 - 도덕적 이성과 공감" 한국칸트학회 (34) : 195-218, 2014

      7 김석수, "칸트와 헤겔에 있어서 형이상학" 새한철학회 66 (66): 183-206, 2011

      8 김수배,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9 김광명,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10 공병혜,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1 Kant,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 김덕수, "칸트의 자율성과 덕" 새한철학회 76 (76): 213-230, 2014

      3 이원봉, "칸트의 덕이론연구- 덕윤리학의 비판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대학원철학과 1 : 2005

      4 맹주만, "칸트의 덕과 덕-감정" 한국칸트학회 (28) : 29-50, 2011

      5 김덕수,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에서 ‘동시에 의무인 목적’" 새한철학회 68 (68): 125-146, 2012

      6 맹주만, "칸트와 흄 - 도덕적 이성과 공감" 한국칸트학회 (34) : 195-218, 2014

      7 김석수, "칸트와 헤겔에 있어서 형이상학" 새한철학회 66 (66): 183-206, 2011

      8 김수배,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9 김광명,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10 공병혜,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11 허미화,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286-316, 1996

      12 최인숙,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13 맹주만, "칸트와 ‘행복한 자선가’" 범한철학회 56 (56): 111-134, 2010

      14 강병호, "칸트, 인간의 도덕적 감수성에 관하여 - 도덕법에 대한 존경심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123) : 71-95, 2015

      15 김석수, "칸트 윤리학에서 판단력과 덕이론" 한국칸트학회 (31) : 145-176, 2013

      16 김성호, "칸트 윤리학에서 덕의 개념" 한국가톨릭철학회 (9) : 118-138, 2007

      17 안수현, "칸트 윤리학에서 감정의 문제" 동서사상연구소 11 : 155-178, 2011

      18 문성학, "칸트 윤리학과 형식주의" 경북대학교출판부 2007

      19 Licokna, T, "인격교육론" 백의출판사 1998

      20 Kant,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1

      21 노영란, "의무로부터의 행위에 관하여: 덕윤리적 도전에 대한 칸트주의적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71 : 197-220, 2002

      22 Kant,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5

      23 Kant,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2012

      24 박장호,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교수의 의미" 한국윤리교육학회 (9) : 145-176, 2006

      25 Kant,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26 Kant,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 아카넷 2014

      27 리쩌허우, "비판철학의 비판-칸트와 마르크스의 교차적 읽기" 문학동네 2017

      28 Koragaard, Christine M, 김양현 강현정 역, "목적의 왕국: 칸트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철학과 현실사 2007

      29 김수배, "도덕형이상학" 한길사 2018

      30 황경식, "도덕행위의 動機化와 修養論의 문제― 의무와 덕이 상보하는 통합윤리의 모색 ―" 한국철학회 (102) : 55-80, 2010

      31 Schopenhauer, A, "도덕의 기초에 관하여" 책세상 2004

      32 Bentham, Jeremy,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서론" 아카넷 2013

      33 McIntyre, A, "덕의 상실" 문예출판사 1997

      34 황경식,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아카넷 2012

      35 Aristoteles, "니코마코스윤리학" 서광사 1984

      36 Louden, Robert B., "Virtue Ethic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97

      37 Cohen, Alix, "The Role of Feeling in Kant's Account of Moral Education" 50 (50): 511-521, 2016

      38 Kristjánsson, Kristján, "Phronesis and moral education: Treading beyond the truism" 12 (12): 151-171, 2014

      39 Jang-Ho Park, "Neuroscientific Challenges to deontological theory: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 73-125, 2011

      40 Ware, Owen, "Kant on Moral Sensibility and Moral Motivation" 52 (52): 727-746, 2014

      41 Beck, L. W, "Early German Philosophy. Kant and His Predecessors" Mass 1969

      42 Koragaard, Christine M, "Aristotle, Kant, and the Stoics-Rethinking Happiness and Du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3-237, 1996

      43 박장호, "Aristoteles의 실천적 지혜와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6) : 147-182, 2004

      44 Jang-Ho Park, "Akrasia and Its Implication to Moral Education: Meanings of Moral Knowledge"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 131-16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