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봇교육을 통한 조작적 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f the hands on activity through the robot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of ADHD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2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the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parent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K-CBCL)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at home.
      Thir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Fourth,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the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parent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K-CBCL)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at home.
      Thir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Fourth,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부모의 동의를 얻은 ADHD 아동 4-6학년 학생 8명이다. 토요일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총 10회중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각 1회, 로봇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8회동안 적용하여 지도하였다.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의 주의산만도 측정, 학부모의 문제행동 및 주의집중력 측정, 교사의 ADHD 평정척도,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매 회기동안 실시된 임상전문가의 행동관찰 측정을 통해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치가 나타나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둘째, 부모의 아동 문제 행동 체크리스트(K-CBCL)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로봇 교육이 ADHD 아동의 가정에서의 주의집중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ADHD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부모의 동의를 얻은 ADHD 아동 4-6학년 학생 8명이다. 토요일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총 10회중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각 1회, 로봇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8회동안 적용하여 지도하였다.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의 주의산만도 측정, 학부모의 문제행동 및 주의집중력 측정, 교사의 ADHD 평정척도,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매 회기동안 실시된 임상전문가의 행동관찰 측정을 통해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치가 나타나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둘째, 부모의 아동 문제 행동 체크리스트(K-CBCL)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로봇 교육이 ADHD 아동의 가정에서의 주의집중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ADHD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학생정신건강서비스지원 확대"

      2 손미현, "초등학교 감각통합교육이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학래, "집단게임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적응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오세은, "주의집중향상전략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우세형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2011

      5 임상호,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 대학원 2009

      6 김영미, "주의집중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7 정은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2004

      8 정영철, "주의력결핍 과앙행동장애 아동의 연령에 따른 특성비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7 (7): 137-146, 2001

      9 신민섭,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11 (11): 91-99, 2000

      10 보건복지부, "소아․청소년 주의력 결핍장애, 10명 중 8명이 남자, 최근 5년 분석…7세 이전에 진단 받아 빨리 약물치료 등 받아야"

      1 교육과학기술부, "학생정신건강서비스지원 확대"

      2 손미현, "초등학교 감각통합교육이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학래, "집단게임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적응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 오세은, "주의집중향상전략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우세형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2011

      5 임상호,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학습태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 대학원 2009

      6 김영미, "주의집중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7 정은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2004

      8 정영철, "주의력결핍 과앙행동장애 아동의 연령에 따른 특성비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7 (7): 137-146, 2001

      9 신민섭,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11 (11): 91-99, 2000

      10 보건복지부, "소아․청소년 주의력 결핍장애, 10명 중 8명이 남자, 최근 5년 분석…7세 이전에 진단 받아 빨리 약물치료 등 받아야"

      11 공귀점,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과 과잉행동, 긍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12 이경희,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 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5-204, 2010

      13 "로봇 갖고 놀면 집중력이 향상 된다... 로봇사랑‘트랜스폼-에듀’ 프로그램 무료진행"

      14 이향숙, "꼴라쥬활동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력결핍·충동성·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오경자,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중앙적성 연구소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