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작적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 부모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부모의 동의를 얻은 ADHD 아동 4-6학년 학생 8명이다. 토요일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총 10회중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각 1회, 로봇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8회동안 적용하여 지도하였다.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의 주의산만도 측정, 학부모의 문제행동 및 주의집중력 측정, 교사의 ADHD 평정척도,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매 회기동안 실시된 임상전문가의 행동관찰 측정을 통해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치가 나타나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둘째, 부모의 아동 문제 행동 체크리스트(K-CBCL)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로봇 교육이 ADHD 아동의 가정에서의 주의집중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ADHD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