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농촌마을 주민들이 어떻게 공동체 학습 활동에 적응하고, 균형을 이루며 학습공동체를 형성해 가는지를 적응, 조화, 변화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53490
박선경 (아주대학교)
2011
Korean
공동체 학습 ; 학습공동체 ; 생태학적 관점 ; 학습활동 ; 농촌마을 ; A community learning ; Ecological perspective ; Learning community ; Learning activity ; Rural
370
KCI등재
학술저널
129-15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농촌마을 주민들이 어떻게 공동체 학습 활동에 적응하고, 균형을 이루며 학습공동체를 형성해 가는지를 적응, 조화, 변화의...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농촌마을 주민들이 어떻게 공동체 학습 활동에 적응하고, 균형을 이루며 학습공동체를 형성해 가는지를 적응, 조화, 변화의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그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특성을 도출 하고자 한다. 이에 고령화된 농촌 마을에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하고 행군마을배움터를 운영하고 있는 Y시 행군마을을 대상으로 문헌자료, 포커스 인터뷰, 참여관찰, 비공식 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마을에서의 공동체 학습 활동은 마을 리더들의 역동적이고 조화로운 리더십으로 마을의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기여하였으며, 노인학습자들의 학습 성과는 다른 학습자들과 마을리더, 가족, 이웃 등 주변인들의 인식 전환과 상호 호혜적인 상호작용으로 가장 강력한 변화촉진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주민들은 개별학습보다는 공동체 학습을 선호하였으며, 학습 성과와 주변의 인정은 자긍심은 물론 참여를 지속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학습에 대한 접근성과 전문가 부재를 보완한 외부 조력자들과의 조화는 마을주민들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공동체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상호 호혜성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데 큰 영향력을 주었다. 이러한 공동체 학습활동에서 나타난 생태학적 주요 특성으로는 학습의 지속성, 학습유지와 촉진의 외적영향, 상호의존성과 호혜성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interpret the existed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So,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 community learning activity in a rural, how to adapt to new conditions and in balance learning community formation from adap...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interpret the existed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So,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 community learning activity in a rural, how to adapt to new conditions and in balance learning community formation from adaptation, harmony and change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and draw ec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in its formation process.
Data are collected by reference, interview, observation, conversation by Hangkun town in Y-City, which mad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in aging society and operated Lifelong Learning cent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ty leader became a motive for an a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 residents and minimize confusion and discord. And Leaning results of aged learners were showed as the strongest change-promoting factors with perception change of people around then, such as other learners, village leader, families, neighbors, etc. and reciprocal interactions. Also, rural people preferred community learning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The community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ivate learning. the Performance of study and compliment make self-esteem and motive of participation. Accessibility and Cooperation of external experts, supplements of no experts, influences on a consistent learning activity and a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rust and solidarity. For the main ecological learning characteristics showed in the learning community’s formation process, there were durability of learning, external effects of learning maintenance and its promotion, mutual dependence and reciproc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적시학습 지원을 위한 모바일러닝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효과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교육방송 강화를 위한 디지털 학습 생태 시스템 모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