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도경기에서 체급 구분의 공정성 문제 = Fairness Issue in the Divided Weight Class of Ju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5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도, 태권도, 씨름 등으로 대변되는 무도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는 공정성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종 스포츠의 규정들도 공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

      유도, 태권도, 씨름 등으로 대변되는 무도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는 공정성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종 스포츠의 규정들도 공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들이 모든 선수들에게 공정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특히 유도를 포함한 투기 종목, 즉 무도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선수들 간의 경기를 규제하고 있다. 이는 체급차이에서 나타나는 경기력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맥락이다. 투기종목 이외에도 각종 신체적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종목은 상당수 있다. 농구나 배구 종목에서는 키가 큰 선수가 유리할 수밖에 없으며, 육상 트랙종목은 흑인, 수영은 백인 선수들에게서 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종목별 유리한 신체조건 등이 어느 정도 구분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투기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하여 그러한 경기력의 문제를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체급의 구분은 오히려 그 종목의 특성을 배제하는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간과하고 있으며, 이는 무체급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도라는 종목은 부드러운 것이 강함을 제압한다는 것을 기본 명제로 삼고 있으며, 그러한 것을 극복하고 상대를 제압하는 묘리를 담고 있다. 이는 유도의 본질이기도 하며, 나아가 무도의 본질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도 종목에 한해서는 체급 규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논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유도의 본질에 기초한 접근이며, 유도에서의 공정성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sports as well as the martial arts represented by Judo, Taekwondo, and Ssireum are based on the fairness. And all the provisions of the various sports are also based on the fairness. However, a question may be raised whether these provisions are f...

      All sports as well as the martial arts represented by Judo, Taekwondo, and Ssireum are based on the fairness. And all the provisions of the various sports are also based on the fairness. However, a question may be raised whether these provisions are fairly applied to all the players. In particular, all players of the combat sports, or martial arts, including Judo, are regulated by the weight class competitions, which means there being a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class. In addition to the combat sports, there are so many events in which various physical differences are revealed. Tall players must have a decided advantage in basketball and volleyball and black athletes are strong in the athletic tracks while swimming remains dominated to a remarkable degree by white athletes, which implies that the physical conditions more favorable for a specific event are ,to some extent, divided. Weight classes in the combat sports are divided by these factors, which is to supplement the performance issue. However, what`s been lost sight of here is that the divided weight classes could create the dysfunctionality which eli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The elementary proposition of Judo is that something mild overpowers and overcomes something strong, which is the exquisite principle of Judo. This may be called the essence of Judo. And furthermore, it may be the essence of the martial arts. Thus, new approach to the provisions of the weight classes in Judo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which is based on the essence of Judo and helps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Judo ga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철, "한국유도경기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2 송일훈, "한국유도 발달양상의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함의 - 대한유도학교 창립 배경을 중심으로 -" 대한무도학회 16 (16): 13-28, 2014

      3 이성동, "한․중․일 무예에 나타나는 流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87-303, 2008

      4 임일혁, "태권도가 지니고 있는 무도와 스포츠 요소의 비교" 대한무도학회 12 (12): 55-64, 2010

      5 김광오, "체전 앞둔 고교레슬링선수 무리한 체중감량훈련으로 사망"

      6 박정욱, "체육 꿈나무 목숨 앗아간 무리한 체중 감량"

      7 김명일, "체급종목 선수의 영양관리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코칭능력개발원 7 (7): 3-12, 2005

      8 유현승, "체급경기 선수들의 단기간 체중감량이 생리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7 (27): 209-219, 2016

      9 천윤석, "체급 종목선수들의 카르니틴 투여방법에 따른 신체조성과 운동능력의 변화" 대한무도학회 16 (16): 93-102, 2014

      10 김필승, "일본 유도의 국제화 과정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97-306, 2011

      1 조용철, "한국유도경기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2 송일훈, "한국유도 발달양상의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함의 - 대한유도학교 창립 배경을 중심으로 -" 대한무도학회 16 (16): 13-28, 2014

      3 이성동, "한․중․일 무예에 나타나는 流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6 (16): 287-303, 2008

      4 임일혁, "태권도가 지니고 있는 무도와 스포츠 요소의 비교" 대한무도학회 12 (12): 55-64, 2010

      5 김광오, "체전 앞둔 고교레슬링선수 무리한 체중감량훈련으로 사망"

      6 박정욱, "체육 꿈나무 목숨 앗아간 무리한 체중 감량"

      7 김명일, "체급종목 선수의 영양관리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코칭능력개발원 7 (7): 3-12, 2005

      8 유현승, "체급경기 선수들의 단기간 체중감량이 생리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7 (27): 209-219, 2016

      9 천윤석, "체급 종목선수들의 카르니틴 투여방법에 따른 신체조성과 운동능력의 변화" 대한무도학회 16 (16): 93-102, 2014

      10 김필승, "일본 유도의 국제화 과정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97-306, 2011

      11 남행웅, "유도의 교육적 잠재 가치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과학회 18 (18): 297-310, 2009

      12 김상철, "유도론" 교학연구사 2000

      13 유성연, "올림픽 경기기술을 통해 본 유도의 세계화 과정"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107-117, 2008

      14 이태득, "여고 유도선수의 체급체중 감량이 점증적 최대운동시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3 (13): 551-560, 2004

      15 이승훈, "스포츠맨십의 윤리학적 해석과 비판적 정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16 손환, "스포츠 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2008

      17 조재기, "스펜서의 사회진화론과 공리주의 사상이 가노지고로의 강도관 유도에 미친 영향" 대한무도학회 15 (15): 81-94, 2013

      18 유성연, "무도에 내재된 가노지고로 유도사상의 정립과 유도의 보편적 가치" 한국사회체육학회 (38) : 135-146, 2009

      19 김정행, "무도론" 교학연구사 2001

      20 유성연, "무도로서 유도문화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21 신승윤, "무도교육에서의 윤리교육" 대한무도학회 10 (10): 47-56, 2008

      22 이정학, "동양무도와 서양스포츠에 관한 철학적 담론" 대한무도학회 10 (10): 37-46, 2008

      23 김주연, "동아시아 무도의 체육 및 스포츠 변용: 유도에 내재된 서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 21 (21): 125-136, 2016

      24 김종식, "대학 유도선수의 체급별 체격, 체력, 호흡순환기능 및 에너지 소비량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3) : 1041-1052, 2008

      25 서금란, "남성 체급운동선수의 섭식장애 경험 탐색" 한국체육학회 52 (52): 83-94, 2013

      26 천윤석, "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체급에 따른 시합 전․후의 식생활 습관과 영양섭취형태" 대한무도학회 12 (12): 299-310, 2010

      27 조재기, "가노지고로의 강도관유도와 불교(佛敎)" 한국체육학회 50 (50): 21-29, 2011

      28 유성연, "가노지고로의 강도관유도 사상과 유학(儒學)" 한국체육학회 48 (48): 91-100, 2009

      29 조재기, "가노지고로 유도의 교육사상" 한국체육학회 47 (47): 77-86, 2008

      30 김지혁, "跆拳道, 그리고 무도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24 (24): 167-185, 2016

      31 김정행, "武道지침서" 대한미디어 2007

      32 하형주, "武道論"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3

      33 최종삼, "日本武道論" 무지개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3 0.76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