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물 형태를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 잎과 덩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eramic formative art applying vegetal fig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14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활동 공간 안에서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자연의 소중함’이라는 말은 교육이나 매체를 통해 우리의 무의식 세계에 자리 잡고 있지만, 현실 생활 속에서는 각개인의 관심이나 체험의 의지가 없다면 자연의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식물은 인간을 숨 쉴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의, 식, 주 모든 부분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작은 관심만으로 주위를 살펴보면, 틈새에서 유약한 생명력으로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고 적응하며 돋아있는 풀과 꽃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런 식물들을 관찰하면서, 살아있음에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었고, 그 생명의 아름다움을 개인의 심상으로 재해석 해 보고자한다.
      예술적인 표현은 작가의 축적된 주관적 경험을 외적 물질에 감정이입하여 의미부여 함으로써 또 하나의 독립적 주체가 되는 것이라 고 생각한다. 이에 식물의 고유한 생명력과 본인의 주관적 경험에 의한 식물의 이미지를 예술적으로 조형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식물의 생명력 표현, 유기적 조형미 그리고 생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알아보고, 식물을 표현한 작품의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본 작품은 식물의 구조 중 잎과 덩굴을 응용하여, 푸르름과 성장, 그리고 유기적 곡선미를 보여주려 한다. 생명력 표현을 위해 덩굴이 뻗어 나가는 운동감을 곡선적 이미지로 나타내었고, 근원적 모성을 표현하기 위해 잎은 안정된 구도와 볼륨감의 형태로 제작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식물의 이미지를 도자로 조형화 하여 새로운 표현의 한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보는 것을 연구 방향으로 한다.
      번역하기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활동 공간 안에서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자연의 소중함’이라는 말은 교육이나 매체를 통해 우리의 무의식 세계에 자리 잡고 있지만, 현실 생활 속에...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활동 공간 안에서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자연의 소중함’이라는 말은 교육이나 매체를 통해 우리의 무의식 세계에 자리 잡고 있지만, 현실 생활 속에서는 각개인의 관심이나 체험의 의지가 없다면 자연의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식물은 인간을 숨 쉴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의, 식, 주 모든 부분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작은 관심만으로 주위를 살펴보면, 틈새에서 유약한 생명력으로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고 적응하며 돋아있는 풀과 꽃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런 식물들을 관찰하면서, 살아있음에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었고, 그 생명의 아름다움을 개인의 심상으로 재해석 해 보고자한다.
      예술적인 표현은 작가의 축적된 주관적 경험을 외적 물질에 감정이입하여 의미부여 함으로써 또 하나의 독립적 주체가 되는 것이라 고 생각한다. 이에 식물의 고유한 생명력과 본인의 주관적 경험에 의한 식물의 이미지를 예술적으로 조형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식물의 생명력 표현, 유기적 조형미 그리고 생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알아보고, 식물을 표현한 작품의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본 작품은 식물의 구조 중 잎과 덩굴을 응용하여, 푸르름과 성장, 그리고 유기적 곡선미를 보여주려 한다. 생명력 표현을 위해 덩굴이 뻗어 나가는 운동감을 곡선적 이미지로 나타내었고, 근원적 모성을 표현하기 위해 잎은 안정된 구도와 볼륨감의 형태로 제작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식물의 이미지를 도자로 조형화 하여 새로운 표현의 한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보는 것을 연구 방향으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who live in cities as modern people, have difficulties to contact and experience the nature directly, managing the liv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ough the words, "significance on the nature" take their place in our unconscious world through education and media even like brainwashing, we are just driving our lives, forgetting and even never thinking at all the existence of the nature around us, if we do not have a concern and a willingness to meet the nature by experience. Vegetation not only lets the human being breathe air but also maintains a close relation tied with all parts of routine life. And also if we take a look around us with a little care, it's not difficult to find grasses and flowers that grow up, adjust themselves and make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Observing the plants, I found the beauty that they reveal through their silence and latent power. A reason why I feel even a certain responsibility to compose their lives with clay is there, ― the beauty among the modes in which the plants accommodate themselves to environment can be called balance and harmony. For the reason I get encouraged to re-interpret the beauty of the life by my personal (mental) image.
      Artistic expression is thought as becoming a independent subject through the course a author has outer materials sympathize with his or her accumulated subjective experiences. Thus, the works are composed for the purpose of artistic formation that has a same meaning with a certain space that the genuine power which plants contain in their lives encounter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To prepare a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d the expression of vegetation's vitality, organic formative beauty and images emerging from ecology and investigated some examples of works which have expressed vegetation.
      The focus of my works is on showing greenness, vegetative vividness and organic beauty of curves and lines by using leaves and vines among the structures of plants. I represent dynamic figures of vines spreading with curvilineal images in order to express vitality, and make leaves into the shape that has the stable composition and the sense of volume to realize fundamental maternity.
      Through this study, I'll try to show a new way of ceramic-representing vegetal images formatively.
      번역하기

      We, who live in cities as modern people, have difficulties to contact and experience the nature directly, managing the liv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ough the words, "significance on the nature" take their place in our unconscious world through edu...

      We, who live in cities as modern people, have difficulties to contact and experience the nature directly, managing the liv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ough the words, "significance on the nature" take their place in our unconscious world through education and media even like brainwashing, we are just driving our lives, forgetting and even never thinking at all the existence of the nature around us, if we do not have a concern and a willingness to meet the nature by experience. Vegetation not only lets the human being breathe air but also maintains a close relation tied with all parts of routine life. And also if we take a look around us with a little care, it's not difficult to find grasses and flowers that grow up, adjust themselves and make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Observing the plants, I found the beauty that they reveal through their silence and latent power. A reason why I feel even a certain responsibility to compose their lives with clay is there, ― the beauty among the modes in which the plants accommodate themselves to environment can be called balance and harmony. For the reason I get encouraged to re-interpret the beauty of the life by my personal (mental) image.
      Artistic expression is thought as becoming a independent subject through the course a author has outer materials sympathize with his or her accumulated subjective experiences. Thus, the works are composed for the purpose of artistic formation that has a same meaning with a certain space that the genuine power which plants contain in their lives encounter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To prepare a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d the expression of vegetation's vitality, organic formative beauty and images emerging from ecology and investigated some examples of works which have expressed vegetation.
      The focus of my works is on showing greenness, vegetative vividness and organic beauty of curves and lines by using leaves and vines among the structures of plants. I represent dynamic figures of vines spreading with curvilineal images in order to express vitality, and make leaves into the shape that has the stable composition and the sense of volume to realize fundamental maternity.
      Through this study, I'll try to show a new way of ceramic-representing vegetal images forma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방법 = 2
      • Ⅱ. 본론 = 3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방법 = 2
      • Ⅱ. 본론 = 3
      • 1) 식물의 생명력표현 = 3
      • 2) 식물의 유기적 조형미 = 4
      • 3) 식물의 생태와 이미지 = 8
      • 4) 식물 표현의 작품 사례 = 15
      • Ⅲ. 작품제작 = 20
      • 1) 작품설명 및 제작방법 = 20
      • Ⅳ. 결론 = 40
      • 참고문헌 = 41
      • Abstract =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