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융투자 자산으로서 가상화폐 규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ulations of Cryptocurrency as Financial Investment Ass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9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in which cryptocurrency is recognized as a financial asset.
      Bitcoin, a cryptocurrency introduced in 2009, has been increasing its share in the alternative currency market. However, its recep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has been varied. In this light, comparing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ies is meaningful, for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point of view regarding the emerging technology.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t viewpoint of many countries and the consequent regulations. The United States acknowledged cryptocurrency as a tangible asset liable for taxation while China prohibited all cryptocurrency-related businesses.
      Korea is looking for ways to minimize side effects of cryptocurrency in the form of monitored transaction. European Union made cryptocurrency trading platforms and e-wallet service providers a subject to the anti-money laundering law and forced suspicious transactions to be reported to the related government agencies for customer protection with the fourth amendment of European Commission. This paper suggests countermeasures, from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cryptocurency, establishing the corresponding taxation system,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creasing the volume of cryptocurrency used in actual purchasing activities, increasing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legal tender and cryptocurrency, changing viewpoint regarding cryptocurrency, to finding healthy cryptocurrency with development requirements. These countermeasures will help lift regulations and promote the market.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the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in which cryptocurrency is recognized as a financial asset. Bitcoin, a cryptocurrency introduced in 2009, has been increasing its share in the alternative currency market. However, its reception i...

      This paper discusses the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in which cryptocurrency is recognized as a financial asset.
      Bitcoin, a cryptocurrency introduced in 2009, has been increasing its share in the alternative currency market. However, its recep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has been varied. In this light, comparing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ies is meaningful, for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point of view regarding the emerging technology.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t viewpoint of many countries and the consequent regulations. The United States acknowledged cryptocurrency as a tangible asset liable for taxation while China prohibited all cryptocurrency-related businesses.
      Korea is looking for ways to minimize side effects of cryptocurrency in the form of monitored transaction. European Union made cryptocurrency trading platforms and e-wallet service providers a subject to the anti-money laundering law and forced suspicious transactions to be reported to the related government agencies for customer protection with the fourth amendment of European Commission. This paper suggests countermeasures, from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cryptocurency, establishing the corresponding taxation system,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creasing the volume of cryptocurrency used in actual purchasing activities, increasing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legal tender and cryptocurrency, changing viewpoint regarding cryptocurrency, to finding healthy cryptocurrency with development requirements. These countermeasures will help lift regulations and promote the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금융투자자산으로서 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각국의 정책에 대한 연구이다. 2009년 탄생한 비트코인이라는 암호 화폐는 기존 화폐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시장 성장을 이어갔다. 그러나 국제 시장은 여전히가상화폐 시장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국가별 가상화폐에 대한 정책 차이점을 살펴보는것은 의미가 있다. 새로운 금융수단이 금융투자 자산으로서 화폐를 대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국가별 시각이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의 차이를 이해하고, 시장 규제의 완화를 위해 국가별가상화폐에 규제동향을 살펴보았다. 정책의 비교 결과 미국은 가상화폐에 대해 과세를 통해 실물자산으로인정하고 있으며, 중국은 모든 가상화폐 관련 사업이 금지된 상태이고, 한국은 등록제를 통해 가상화폐 거래가가능하도록 하여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EU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제4차 개정안을통해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과 전자지갑 제공자도 자금세탁방지법 적용 대상에 포함시키고, 고객주의의무를수행하기 위한 조치로 의심되는 거래를 당국에 보고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주요국 정책을 통해 규제를 버리고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가상화폐에 대한 명확한 정의, 조세 제도의 확립, 국제공조, 실제 사용증가, 법정통화와의 차이점 인식, 가상화폐 홍보를 위한 관점 변화, 가상화폐 개발시 고려사항을 통한 우량 코인 선별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금융투자자산으로서 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각국의 정책에 대한 연구이다. 2009년 탄생한 비트코인이라는 암호 화폐는 기존 화폐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시장 성장을 이어갔다. 그...

      본 연구는 금융투자자산으로서 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각국의 정책에 대한 연구이다. 2009년 탄생한 비트코인이라는 암호 화폐는 기존 화폐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시장 성장을 이어갔다. 그러나 국제 시장은 여전히가상화폐 시장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국가별 가상화폐에 대한 정책 차이점을 살펴보는것은 의미가 있다. 새로운 금융수단이 금융투자 자산으로서 화폐를 대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국가별 시각이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의 차이를 이해하고, 시장 규제의 완화를 위해 국가별가상화폐에 규제동향을 살펴보았다. 정책의 비교 결과 미국은 가상화폐에 대해 과세를 통해 실물자산으로인정하고 있으며, 중국은 모든 가상화폐 관련 사업이 금지된 상태이고, 한국은 등록제를 통해 가상화폐 거래가가능하도록 하여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EU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제4차 개정안을통해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과 전자지갑 제공자도 자금세탁방지법 적용 대상에 포함시키고, 고객주의의무를수행하기 위한 조치로 의심되는 거래를 당국에 보고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주요국 정책을 통해 규제를 버리고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가상화폐에 대한 명확한 정의, 조세 제도의 확립, 국제공조, 실제 사용증가, 법정통화와의 차이점 인식, 가상화폐 홍보를 위한 관점 변화, 가상화폐 개발시 고려사항을 통한 우량 코인 선별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진화, "전자금융거래법" 법문사 2008

      2 윤인숙, "유럽연합의 가상화폐 규제분석" 한국법제연구원 47-49, 2018

      3 "암호화폐 규제, 시장혼란 해소에 초점을"

      4 "비트코인 제도화한 미국과 일본"

      5 "비트코인 거래량 세계 3위 한국, 제도화는 꼴찌"

      6 "블록체인, 어느 분야에 사용될까?(전시현)"

      7 금융보안원, "국내외 금융분야 블록체인(Blockchain) 활용 동향" 4-, 2015

      8 신동희, "국내 소비자들의 비트코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4-41, 2016

      9 임선우, "국가의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수용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10 "국가법령정보센터 전자금융거래법(2016년 1월27일 일부개정)"

      1 손진화, "전자금융거래법" 법문사 2008

      2 윤인숙, "유럽연합의 가상화폐 규제분석" 한국법제연구원 47-49, 2018

      3 "암호화폐 규제, 시장혼란 해소에 초점을"

      4 "비트코인 제도화한 미국과 일본"

      5 "비트코인 거래량 세계 3위 한국, 제도화는 꼴찌"

      6 "블록체인, 어느 분야에 사용될까?(전시현)"

      7 금융보안원, "국내외 금융분야 블록체인(Blockchain) 활용 동향" 4-, 2015

      8 신동희, "국내 소비자들의 비트코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4-41, 2016

      9 임선우, "국가의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수용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10 "국가법령정보센터 전자금융거래법(2016년 1월27일 일부개정)"

      11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현황과 시사점" 18 (18): 10-, 2018

      12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18 (18): 10-, 2018

      13 "http://www.europarl.europa.eu/sides/getDoc.do?pu bRef=-//EP//TEXT+REPORT+A8-2016-0168+0+DOC+XML+V0//EN"

      14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15 European Central Bank, "Virtual Currency Schemes"

      16 EBA, "Opinion on virtual currencies 2014"

      17 "Let’s Talk Payments, Public and Private Blockchain Concepts and Examples"

      18 European Parliament,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f 26 May 2016 on virtual currenc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0.96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