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원표,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1
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3 황화상, "국어 조사의 문법", 지식과교양, 2012
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집문당, 2008
5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9
6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7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8 김영란, "「‘왜’의 화용 기능」", 『한국어의미학』6, 한국어의미학회, 2000
9 안정오, "언어의 문어성과 구어성", 인문대 논문집 16, 고려대학교, 1997
10 김정선, 이필영, "「질문의 주제전개 기능」",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35,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11 전영옥, "「한국어 억양단위 연구」",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0-1, 담화인지언어학회, 2003
12 김순자, 이필영, "「담화 표지의 습득과 발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118, 한국어교육학회, 2005
13 전수태, "『국어 이동동사 의미 연구』", 박이정, 박이정, 2009
14 김정선, "상거래 대화에서의 공손 책략",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15 전영옥, "구어의 단위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2006
16 권재일,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 방법", 서울대 출판부, 2004
17 신지연, "구어의 텍스트 형성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18 김미형,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15, 한말연구학회, 2004
19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한국문화사, 2009
20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6
21 김미경, "「한국어 대화체 구문의 정보 구조」",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8-1, 담화인지학회, 2001
22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텍스트언어학』1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2
23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24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김형정, 서상규,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언어정보와 사전편찬> 제14~16합집,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2005
26 김정선, "상거래 대화의 진행 구조와 설득 책략",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27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 111", 국어국문학회, 1994
28 김수진, "「언어병리학과 학문간 구어연구 탐색」", 한국어학회, 『한국어학』45, 한국어학회, 2009
29 장소원, "국어학에서의 구어성, 「한일어학논총」", 남학 이종철 선생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5
30 임성규, "글말과 입말의 문체 분석, 국어국문학 102", 국어국문학회, 1989
31 김정선, 장경희, "유아의 화행 수행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30, 국어교육학회, 2007
32 김정은,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한국어교육』14-1,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33 장경희,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 vol. 45", 한국어학회, 2009
34 전영옥, 전영옥, "한국어 발화단위 종결방식의 화용론적 분석",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1993
35 서은아, 서상규, 남길임,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학회, <한글> 246, 2004
36 김순자, "「말차례 뺏기에 나타난 남녀 화자의 특징」", 한국화법학회, 『국어화법과 대화분석』, 한국화법학회, 2000
37 장경희, 김순자, "「구어자료의 정보화: 화행 주석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28, 한국언어문학학회, 2005
38 김세환, "『구어 말뭉치 자료를 통한 피동 표현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9 김미형,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2004
40 한정한, "'공부를 하다' 구문의 정보구조, 한국어학 제11집", 한국어학회, 2000
41 김민영, 김민영, "구어 담화의 응집성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2 이진희, "언어의 구어성과 문어성에 관한 연구, 독일문학 85",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43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억양단위 통사 구조의 상관성 연구", 『텍스트언어학』, vol21, 2009
44 안예리, "최근세국어 타동구문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2006
45 전영옥, "「담화분석(1) : 발표 요지와 실제 발표의 상관 관계」", 담화인지언어학회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7
46 김정선, 김명희, "「아동의 일상대화에 나타난 질문확장의 발달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18, 한국어의미학회, 2005
4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5
48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2
49 김은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입말과 글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16, 연세대학교 어학당, 1992
50 김미경(Kim, Mi-Kyung),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논항구조 비교", 한국언어학회, 『언어』27권 3호, 한국언어학회, 2002
51 안의정, "말뭉치를 이용한 어휘의 구어성 측정과 활용, 어문논집 57", 민족어문학회, 2008
52 김보라, "『대화함축에 대한 연구: 현대 미국 구어체 영어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3 박동근, "구어 음운 전사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 겨레어문학 35", 겨레어문학회, 2005
54 성연숙, "한국어 구어의 특징 -TV 토론 방송 대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34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어학회, 2005
55 권재일, 김건희, "구어 조사의 특성-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분석,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2004
56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 라디오의 시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7 김흥규,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한국어 입말뭉치의 구축방법)", 국립국어원, 1998
58 장경현, "문어/문어체ㆍ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 의미학 13호", 한국어 의미학회, 2003
59 김명희, 이다미, "「아동대화에서의 문중 ‘-요’의 양상과 기능」, 『텍스트언어학』1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3
60 김재선, "『텔레비전광고의 언어에 관한 일연구: 구어(spoken language)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61 김순자, "『여성 화자의 화행 수행에 관한 연구 : 동료들 사이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2 구현정, 서상규, "코퍼스에 반영된 구어와 문어, 한국언어학회 2005년 겨울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언어학회, 2005
63 김숙희, "『연맥이론과 본문분석: 영어의 구어체본문과 문어체분문의 비교를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64 남길임, "구어 억양 단위의 통사적 상관성 연구 -구어 독백 말뭉치를 중심으로-, 어문학 96집", 한국어문학회, 2007
65 최명식, "『조선말구두어문법』, 료녕민족출판사최명식(1985/1996), 『조선말 입말체 문장연구』", 해외 우리문화학연구총서95", 한국문화사, 1988
66 김영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어오류수정에 대한 인식조사-학문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37, 이중언어학회, 2008
67 구현정, "입말뭉치 구성과 구어의 특징, 21세기 세종계획 특수자료 구축 분과전문가 초청 특강 발표요지",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0
68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69 이선희, "국어의 조사와 의미역-조사{-를}과 논항 실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이원표(1997),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2004
70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