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구어의 동사구문의 실현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73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abridgement of freedom and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verb phrase in the spoken language is defined in the existing drilled through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look to se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corpus to achieve surface, were examined issues such as the omission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t is therefore, requires a spoken language corpus analysis is actually an analysis of the corpus used in the base study. Therefore, in this paper, were constructed analysis corpus is baked using the 1 million clause spoken language morphological analysis corpus of which has been deployed in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of the spoken text, was adopted analysis method by the "sensitive grammar."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for the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surface, depending on the type of syntax representing the company, although classified examp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compiled corpus-based "Yonsei Korean Diction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Gyokuto~uru information gathering to the syntax elements, they are classified into 15 types of.
      Chapter 3, using the analysis corpus of spoken language that was built, verb phrase inquiry was classified in Chapter 2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each type actual implementation. The company,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sufficient example, was described only about the frequency more than 1000 of the verb. From what has been described in Chapter 3, the subject and Busao it looks the high frequency case being omitted, object indicates a high frequency of being realized without being omitted cases. In addition, it may take the other case markers, bu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not high. Thus, with reference to the Gyokuto~uru that is set to standard "Yonsei Korean Dictionary",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colloquially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no big difference.
      Finally, in Chapter 4, the omission of realiza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that is drilled through a feature of colloquial in the existing colloquial research, I was examined for the omission of the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example used in the normal word order it was confirmed to exhibit a higher frequency. Subject and Busao in omission of components are frequently be omitted I was confirmed to be displayed more frequently object is being implemented. Finally, the example study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the example realized, case particle was realized particularly from two or more of all the elements of the components verb clauses that are implemented in the omission of the study, which show a low frequency It was confirmed.
      번역하기

      In this paper, abridgement of freedom and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verb phrase in the spoken language is defined in the existing drilled through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look to se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corpus to achieve surface, wer...

      In this paper, abridgement of freedom and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verb phrase in the spoken language is defined in the existing drilled through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look to se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corpus to achieve surface, were examined issues such as the omission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t is therefore, requires a spoken language corpus analysis is actually an analysis of the corpus used in the base study. Therefore, in this paper, were constructed analysis corpus is baked using the 1 million clause spoken language morphological analysis corpus of which has been deployed in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of the spoken text, was adopted analysis method by the "sensitive grammar."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for the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surface, depending on the type of syntax representing the company, although classified examp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compiled corpus-based "Yonsei Korean Diction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Gyokuto~uru information gathering to the syntax elements, they are classified into 15 types of.
      Chapter 3, using the analysis corpus of spoken language that was built, verb phrase inquiry was classified in Chapter 2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each type actual implementation. The company,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sufficient example, was described only about the frequency more than 1000 of the verb. From what has been described in Chapter 3, the subject and Busao it looks the high frequency case being omitted, object indicates a high frequency of being realized without being omitted cases. In addition, it may take the other case markers, bu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not high. Thus, with reference to the Gyokuto~uru that is set to standard "Yonsei Korean Dictionary",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colloquially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no big difference.
      Finally, in Chapter 4, the omission of realiza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that is drilled through a feature of colloquial in the existing colloquial research, I was examined for the omission of the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example used in the normal word order it was confirmed to exhibit a higher frequency. Subject and Busao in omission of components are frequently be omitted I was confirmed to be displayed more frequently object is being implemented. Finally, the example study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the example realized, case particle was realized particularly from two or more of all the elements of the components verb clauses that are implemented in the omission of the study, which show a low frequency It was confi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구어에서 동사구문이 실현양상에 대하여 구어말뭉치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기존에 구어의 통사적 특징으로 규정되는 어순의 자유로움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 등 문제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사용된 언어자료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구어구문분석말뭉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에서 배포한 100만 어절의 구어형태소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구문분석의 방법은 구어 텍스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의존문법”에 의한 구문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또 동사구문의 실현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동사가 나타내는 구문유형에 따라 용례를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의 기준은 말뭉치 기반으로 편찬한 『연세한국어사전』의 격틀정보 수집하여 구문 구성 요소의 종류에 따라 15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축한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제2장에서 분류한 동사구문의 각 유형별 실제 실현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사는 충분한 용례의 수를 고려하여 빈도 1,000이상의 동사에 대하여서만 살펴보았다. 제3장에 살펴본 바에 의하면 주어와 부사어는 생략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지만 목적어는 생략되지 않고 실현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인다. 그 외에 다른 격조사를 취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출현빈도는 높지 않다. 이로부터 『연세한국어사전』에서 표준으로 설정하고 있는 격틀을 기준으로 할 때 구어에서 동사구문의 실현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기존의 구어연구에서 구어의 통사적 특징하고 있는 어순의 실현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적인 어순으로 쓰인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의 생략에 있어서 주어와 부사어는 빈번하게 생략되지만 목적어는 실현되는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의 생략에 있어서 조사가 실현된 예가 더 높은 빈도를 보였고 특히 두 개 이상의 성분이 실현된 동사구문에서 모든 성분에서 격조사가 실현된 예는 낮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구어에서 동사구문이 실현양상에 대하여 구어말뭉치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기존에 구어의 통사적 특징으로 규정되는 어순의 자유로움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 등 문제에 ...

      이 논문에서는 구어에서 동사구문이 실현양상에 대하여 구어말뭉치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기존에 구어의 통사적 특징으로 규정되는 어순의 자유로움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 등 문제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사용된 언어자료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구어구문분석말뭉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에서 배포한 100만 어절의 구어형태소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구문분석의 방법은 구어 텍스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의존문법”에 의한 구문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또 동사구문의 실현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동사가 나타내는 구문유형에 따라 용례를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의 기준은 말뭉치 기반으로 편찬한 『연세한국어사전』의 격틀정보 수집하여 구문 구성 요소의 종류에 따라 15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축한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제2장에서 분류한 동사구문의 각 유형별 실제 실현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사는 충분한 용례의 수를 고려하여 빈도 1,000이상의 동사에 대하여서만 살펴보았다. 제3장에 살펴본 바에 의하면 주어와 부사어는 생략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지만 목적어는 생략되지 않고 실현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인다. 그 외에 다른 격조사를 취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출현빈도는 높지 않다. 이로부터 『연세한국어사전』에서 표준으로 설정하고 있는 격틀을 기준으로 할 때 구어에서 동사구문의 실현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기존의 구어연구에서 구어의 통사적 특징하고 있는 어순의 실현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적인 어순으로 쓰인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의 생략에 있어서 주어와 부사어는 빈번하게 생략되지만 목적어는 실현되는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의 생략에 있어서 조사가 실현된 예가 더 높은 빈도를 보였고 특히 두 개 이상의 성분이 실현된 동사구문에서 모든 성분에서 격조사가 실현된 예는 낮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원표,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1

      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3 황화상, "국어 조사의 문법", 지식과교양, 2012

      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집문당, 2008

      5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9

      6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7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8 김영란, "「‘왜’의 화용 기능」", 『한국어의미학』6, 한국어의미학회, 2000

      9 안정오, "언어의 문어성과 구어성", 인문대 논문집 16, 고려대학교, 1997

      10 김정선, 이필영, "「질문의 주제전개 기능」",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35,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1 이원표,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2001

      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3 황화상, "국어 조사의 문법", 지식과교양, 2012

      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집문당, 2008

      5 강상호, "조선어 입말체 연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9

      6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7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8 김영란, "「‘왜’의 화용 기능」", 『한국어의미학』6, 한국어의미학회, 2000

      9 안정오, "언어의 문어성과 구어성", 인문대 논문집 16, 고려대학교, 1997

      10 김정선, 이필영, "「질문의 주제전개 기능」",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35,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11 전영옥, "「한국어 억양단위 연구」",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0-1, 담화인지언어학회, 2003

      12 김순자, 이필영, "「담화 표지의 습득과 발달」", 한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118, 한국어교육학회, 2005

      13 전수태, "『국어 이동동사 의미 연구』", 박이정, 박이정, 2009

      14 김정선, "상거래 대화에서의 공손 책략",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15 전영옥, "구어의 단위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2006

      16 권재일,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 방법", 서울대 출판부, 2004

      17 신지연, "구어의 텍스트 형성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18 김미형,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15, 한말연구학회, 2004

      19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한국문화사, 2009

      20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6

      21 김미경, "「한국어 대화체 구문의 정보 구조」",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8-1, 담화인지학회, 2001

      22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텍스트언어학』1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2

      23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24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김형정, 서상규,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언어정보와 사전편찬> 제14~16합집,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2005

      26 김정선, "상거래 대화의 진행 구조와 설득 책략",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27 민현식,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 111", 국어국문학회, 1994

      28 김수진, "「언어병리학과 학문간 구어연구 탐색」", 한국어학회, 『한국어학』45, 한국어학회, 2009

      29 장소원, "국어학에서의 구어성, 「한일어학논총」", 남학 이종철 선생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95

      30 임성규, "글말과 입말의 문체 분석, 국어국문학 102", 국어국문학회, 1989

      31 김정선, 장경희, "유아의 화행 수행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30, 국어교육학회, 2007

      32 김정은,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한국어교육』14-1,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33 장경희,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 vol. 45", 한국어학회, 2009

      34 전영옥, 전영옥, "한국어 발화단위 종결방식의 화용론적 분석",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1993

      35 서은아, 서상규, 남길임,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학회, <한글> 246, 2004

      36 김순자, "「말차례 뺏기에 나타난 남녀 화자의 특징」", 한국화법학회, 『국어화법과 대화분석』, 한국화법학회, 2000

      37 장경희, 김순자, "「구어자료의 정보화: 화행 주석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28, 한국언어문학학회, 2005

      38 김세환, "『구어 말뭉치 자료를 통한 피동 표현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9 김미형, "한국어 구어와 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2004

      40 한정한, "'공부를 하다' 구문의 정보구조, 한국어학 제11집", 한국어학회, 2000

      41 김민영, 김민영, "구어 담화의 응집성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2 이진희, "언어의 구어성과 문어성에 관한 연구, 독일문학 85",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43 남길임, "텍스트 장르와 억양단위 통사 구조의 상관성 연구", 『텍스트언어학』, vol21, 2009

      44 안예리, "최근세국어 타동구문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2006

      45 전영옥, "「담화분석(1) : 발표 요지와 실제 발표의 상관 관계」", 담화인지언어학회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7

      46 김정선, 김명희, "「아동의 일상대화에 나타난 질문확장의 발달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18, 한국어의미학회, 2005

      4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5

      48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2

      49 김은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입말과 글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16, 연세대학교 어학당, 1992

      50 김미경(Kim, Mi-Kyung),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논항구조 비교", 한국언어학회, 『언어』27권 3호, 한국언어학회, 2002

      51 안의정, "말뭉치를 이용한 어휘의 구어성 측정과 활용, 어문논집 57", 민족어문학회, 2008

      52 김보라, "『대화함축에 대한 연구: 현대 미국 구어체 영어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3 박동근, "구어 음운 전사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 겨레어문학 35", 겨레어문학회, 2005

      54 성연숙, "한국어 구어의 특징 -TV 토론 방송 대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34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어학회, 2005

      55 권재일, 김건희, "구어 조사의 특성-문법 표준화를 위한 계량적 분석,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2004

      56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 라디오의 시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7 김흥규,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한국어 입말뭉치의 구축방법)", 국립국어원, 1998

      58 장경현, "문어/문어체ㆍ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 의미학 13호", 한국어 의미학회, 2003

      59 김명희, 이다미, "「아동대화에서의 문중 ‘-요’의 양상과 기능」, 『텍스트언어학』1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3

      60 김재선, "『텔레비전광고의 언어에 관한 일연구: 구어(spoken language)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1986

      61 김순자, "『여성 화자의 화행 수행에 관한 연구 : 동료들 사이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2 구현정, 서상규, "코퍼스에 반영된 구어와 문어, 한국언어학회 2005년 겨울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언어학회, 2005

      63 김숙희, "『연맥이론과 본문분석: 영어의 구어체본문과 문어체분문의 비교를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64 남길임, "구어 억양 단위의 통사적 상관성 연구 -구어 독백 말뭉치를 중심으로-, 어문학 96집", 한국어문학회, 2007

      65 최명식, "『조선말구두어문법』, 료녕민족출판사최명식(1985/1996), 『조선말 입말체 문장연구』", 해외 우리문화학연구총서95", 한국문화사, 1988

      66 김영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어오류수정에 대한 인식조사-학문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37, 이중언어학회, 2008

      67 구현정, "입말뭉치 구성과 구어의 특징, 21세기 세종계획 특수자료 구축 분과전문가 초청 특강 발표요지",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0

      68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69 이선희, "국어의 조사와 의미역-조사{-를}과 논항 실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이원표(1997),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2004

      70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텍스트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