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후각적 감정과 시각적 감정의 연관관계 : 향수 향기와 패키지 색채의 공감각적 분석을 중심으로 = Associative relation between olfactory emotion and visual emotion : with the scent of the perfume and multisensory analysis of the color of the perfume packages at the center of the foc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8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디자인 트렌드 중 하나는 감성디자인이다. 과거에는 제품이나 디자인의 기능적인 측면이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유발시켰다면 현재 소비자의 제품 구매 성향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이 우수하여 생활에 편리를 주는 부분뿐만 아니라 제품에서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 중심의 디자인 제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디자인에 있어서 감성적 요소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감성디자인 중에서도 시각을 통해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이 가장 비중을 크게 차지한다. 우리는 눈을 뜬 그 순간부터 눈을 감고 있는 순간에도 색을 느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만큼 시각은 아주 중요한 감각기관인데 그 중에서도 색채는 우리 생활 속에 있는 모든 사물을 보고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며, 제품의 가독성을 향상시켜주며 주의를 끄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제품 또는 브랜드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상징성을 느끼게 해주는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색채는 제품의 경쟁력과 마케팅 측면에서 평가할 때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움을 주는 것뿐만 다른 감각기관에도 영향을 주어 공감각적인 감각현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시각은 미각, 청각, 촉각, 후각에 영향을 주어 공감각현상으로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키는데, 시각과 미각, 시각과 청각, 시각과 촉각에 대한 연구에 비해 시각과 후각에 대한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그런 반면 후각감성을 활용하는 감성디자인마케팅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후각은 여러 감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억을 재생하는 과정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색채를 통하여 향수와 화장품, 탈취제, 방향제 등의 후각감성 제품의 패키지 혹은 광고에서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제품에 관한 연상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향수는 패키지에서 나타나는 시각감성과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감성이 연관되어 심미성이 강조되고 그 후각에서 오는 감성 메시지는 상품 자체의 이미지와 동일시 될 만큼 중요하다.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되는 색채는 향수 자체의 이미지를 반영하며, 향에 대한 느낌을 대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적 감성을 기초로 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을 진행한 뒤 언어적 의미에로 나타나는 결과를 추출한다. 그리하여 향수 패키지의 색채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감성을 언어적 의미에서 비교분석하여 향수 향기의 후각적 감정과 패키지 색채의 시각적 감정 일치성 분석에 대한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후각적 감성에 대한 매개체로는 마이클 애드워즈의 향기의 바퀴를 참고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향수의 그룹을 분석하여 7가지 그룹으로 설정하여 향 그룹별 4가지를 이용하여 총 28가지를 실험 자극물로 선정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은 국내 20~30대 여성과 남성이었으며 대상인원은 총 20명으로 조사 분석하여 통계를 내고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약 140여개의 향수 제품들의 패키지 색채 이미지를 I.R.I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각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향기와 패키지 색채는 약 60%의 일치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향기와 패키지가 일치한 그룹은 우디, 씨트러스, 그린, 프루티 그룹이었으며 이 그룹들의 패키지디자인 특징은 고명도, 그리고 고채도에서 저채도의 흐름이 이어지는 색조 분포가 나타났다. 이는 고명도의 난색계열에서 향기로운 냄새를 느낀다는 기본적인 문헌적 이론에 근거와 일치하게 나타나는 연구결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색채 디자인 패턴과 이미지 언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향수 패키지의 주조색이 무채색인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하양을 적용한 패키지들은 일러스트나 로고, 또는 향 그룹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등 향수 이미지에 연관된 색채나 이미지를 포인트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검정에 가까울수록 패턴과 다른 색상 없이 로고가 적용되어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심플하고 모던하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21세기 디자인 트렌드 중 하나는 감성디자인이다. 과거에는 제품이나 디자인의 기능적인 측면이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유발시켰다면 현재 소비자의 제품 구매 성향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

      21세기 디자인 트렌드 중 하나는 감성디자인이다. 과거에는 제품이나 디자인의 기능적인 측면이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유발시켰다면 현재 소비자의 제품 구매 성향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이 우수하여 생활에 편리를 주는 부분뿐만 아니라 제품에서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 중심의 디자인 제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디자인에 있어서 감성적 요소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감성디자인 중에서도 시각을 통해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이 가장 비중을 크게 차지한다. 우리는 눈을 뜬 그 순간부터 눈을 감고 있는 순간에도 색을 느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만큼 시각은 아주 중요한 감각기관인데 그 중에서도 색채는 우리 생활 속에 있는 모든 사물을 보고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며, 제품의 가독성을 향상시켜주며 주의를 끄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제품 또는 브랜드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상징성을 느끼게 해주는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색채는 제품의 경쟁력과 마케팅 측면에서 평가할 때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움을 주는 것뿐만 다른 감각기관에도 영향을 주어 공감각적인 감각현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시각은 미각, 청각, 촉각, 후각에 영향을 주어 공감각현상으로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키는데, 시각과 미각, 시각과 청각, 시각과 촉각에 대한 연구에 비해 시각과 후각에 대한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그런 반면 후각감성을 활용하는 감성디자인마케팅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후각은 여러 감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억을 재생하는 과정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색채를 통하여 향수와 화장품, 탈취제, 방향제 등의 후각감성 제품의 패키지 혹은 광고에서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제품에 관한 연상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향수는 패키지에서 나타나는 시각감성과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감성이 연관되어 심미성이 강조되고 그 후각에서 오는 감성 메시지는 상품 자체의 이미지와 동일시 될 만큼 중요하다.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되는 색채는 향수 자체의 이미지를 반영하며, 향에 대한 느낌을 대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적 감성을 기초로 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을 진행한 뒤 언어적 의미에로 나타나는 결과를 추출한다. 그리하여 향수 패키지의 색채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감성을 언어적 의미에서 비교분석하여 향수 향기의 후각적 감정과 패키지 색채의 시각적 감정 일치성 분석에 대한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후각적 감성에 대한 매개체로는 마이클 애드워즈의 향기의 바퀴를 참고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향수의 그룹을 분석하여 7가지 그룹으로 설정하여 향 그룹별 4가지를 이용하여 총 28가지를 실험 자극물로 선정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은 국내 20~30대 여성과 남성이었으며 대상인원은 총 20명으로 조사 분석하여 통계를 내고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약 140여개의 향수 제품들의 패키지 색채 이미지를 I.R.I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각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향기와 패키지 색채는 약 60%의 일치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향기와 패키지가 일치한 그룹은 우디, 씨트러스, 그린, 프루티 그룹이었으며 이 그룹들의 패키지디자인 특징은 고명도, 그리고 고채도에서 저채도의 흐름이 이어지는 색조 분포가 나타났다. 이는 고명도의 난색계열에서 향기로운 냄새를 느낀다는 기본적인 문헌적 이론에 근거와 일치하게 나타나는 연구결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색채 디자인 패턴과 이미지 언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향수 패키지의 주조색이 무채색인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하양을 적용한 패키지들은 일러스트나 로고, 또는 향 그룹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등 향수 이미지에 연관된 색채나 이미지를 포인트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검정에 가까울수록 패턴과 다른 색상 없이 로고가 적용되어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심플하고 모던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7
      • 2.1. 관련 선행 연구 7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7
      • 2.1. 관련 선행 연구 7
      • 2.2. 색채에 대한 이해 9
      • 2.2.1. 색채의 개념과 특징 9
      • 2.2.2. 색채의 공감각 10
      • 2.3. 후각과 향에 대한 이해 15
      • 2.3.1. 후각의 개념과 특징 15
      • 2.3.2. 향의 기능 및 분류 17
      • 2.4. 감성디자인에 대한 이해 22
      • 2.4.1. 감성디자인의 시대적 배경 22
      • 2.4.2.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23
      • 2.4.3. 후각 감성마케팅의 사례 24
      • 3. 향수의 향과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실험 설계 및 방법 27
      • 3.1. 실험범위 27
      • 3.2. 샘플선정 28
      • 3.2.1. 향수 샘플 선정 28
      • 3.2.2. SD 측정용어 선정 33
      • 3.2.3. 피험자 선정과 설문조사 방식 35
      • 3.3. 측정평가 및 통계방법 36
      • 4. 향수 향기의 감정측정실험 및 패키지 색채 분석 37
      • 4.1. 향수의 향에 대한 실험 내용 분석 및 결과 37
      • 4.1.1. 측정용어 분석 37
      • 4.1.2. 주성분분석 인자추출 40
      • 4.1.3. 주성분득점배치도 분석 42
      • 4.2. 후각적 감정의 색채대입 및 분석 51
      • 4.2.1. 향기의 후각적감성언어에 대한 색채대입 51
      • 4.2.2. 후각감성언어의 주성분 부하량 색채분석 56
      • 4.3. 향 그룹별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이미지 분석 67
      • 4.4. 향수의 향기와 패키지디자인의 감정 일치성 분석 76
      • 4.5. 연구결과 95
      • 5. 결론 및 연구의 기대효과 100
      • 참고문헌 104
      • 부록 109
      • 영문초록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