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이 느낀 아리랑의 이미지 = Arirang in Chinese Ey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8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로서의 아리랑이 세계 유네스코 무형문화재로 등재되면서 한국문화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한민족의 민요 아리랑은 한국음악 대표로서의 아리...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로서의 아리랑이 세계 유네스코 무형문화재로 등재되면서 한국문화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한민족의 민요 아리랑은 한국음악 대표로서의 아리랑, 한국문화 전령으로서의 아리랑, 세계문화 유산으로서의 아리랑으로 중국인에게 이미지화되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아리랑은 슬픔의 벽을 넘었다. 슬퍼도 아리랑, 기뻐도 아리랑이다. 모국에 대한 향수를 부르던 조선족만의 노래로부터 민족의 동질성 향상과 진흥을 부르고 흥과 멋이 우러나는 대중가요로 거듭났다. 중국인들이 ‘아리랑’의 친화력에 매료됨으로써 아리랑은 범아시아적인 노래로 승화될 개연성이 높아가고 있다.
      아리랑은 또 음악으로서의 민요를 넘어 문화상품으로 거듭나면서 한민족의 DNA의 성격을 띠고 있다. 중국에서 아리랑은 조선족을 상징하고 한국과 한민족을 상징하면서 아리랑은 이미 조선족 그리고 한국과 한민족을 인지하는 문화 키워드로 되었다.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통해 조선족문화와 한국문화를 이해한다. IT로 한국의 경제를 보고 있듯이 아리랑으로 한국의 문화를 읽고 있는 모습이다. 그래서 한국 하면 ‘아리랑’을 연상하고 한국인 하면 ‘아리랑 민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리랑으로 한국을 부르고 아리랑으로 한국인을 그린다.
      아리랑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면서 세계 속의 아리랑이 됐다. 문화는 나만의 것이 아니다. 공유할수록 커지고 다듬어지고 더욱 빛난다. 세계화된 다문화사회에서 아리랑은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해외동포 사회를 넘어 아시아인, 세계인의 체질에 맞는 아리랑으로 거듭나야 한다.
      결국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한을 극복한 한국인의 아름다운 멋의 멜로디로, 한국문화 상징의 하나로, 세계인의 공동문화유산으로 인지하고 있다.
      한국 음악 가락에 묻어나는 아리랑의 선율로 한국문화의 전통과 현대와 미래를 아우르는 세계화의 길이 더 활짝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key word to 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irang, as recently added to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cultural image of Korea.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Arirang, which originates ...

      A key word to 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irang, as recently added to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cultural image of Korea.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Arirang, which originates from Korea folk-song, is now visualized as that in Korean songs, Korean culture and the world’s culture heritage in whole.
      In China nowadays, Arirang is unchained from the single emotion of pathos, and can now represent both joy and sadness. Originally a nostalgia folk-song by which the Korean people chant their pining for home land, Arirang is re-interpreted as a popular song of passion and gentleness, bearing the chance of solidarity and revitalization of a people. The Chinese people are also infatuated with the natural affinity brought by Arirang, thus paving the way for it’s ascending popularity in Asia as a whole.
      Transcending its one-fold significance of music and transforming into cultural product, Arirang is deeply branded with the characteristics, or rather, DNA of the Korean people. In China, Arirang standsasa symbol of not only the Korean people,but also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It has now become a cultural keywor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people,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As a result, Arirang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Chinese people and the cultures of both the Korean people and the Republic of Korea. We can have a keen observ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Arirang, as IT industry plays the same role in our observation of Korean economy. Therefore, we tend to for man instant connection with Arirang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even label Hanguk-in as the Arirang people. Arirang thus becomes a common addres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Standing in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irang is now a cultural symbol of the entire world. As culture is not to be confined within a single ethnic group, it tends to become even more solid if shared, and even more splendid after being carefully carv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celebrates the chemistry of different cultures, Arirang has walked beyond the cultural circle of the Republic of Korean, Hanguk-in and their expatriates, and is remolded into one that caters for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different peoples.
      In final words, the Chinese people is now taking Arirang as the castaway of hatred, the melody that praises the beauty of Korea, and the cultural heritage shared by not only the Korean people, but also the world as a whole.
      With the beat and rhythm of Arirang, we expect to see a path of globalization being paved, mingling the traditions of Korean culture, ancient, modern and that of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등학, "형성기 대중가요의 전개와 아리랑의 존재양상" 한국음악사학회 (32) : 5-36, 2004

      2 김태준, "한국의 아리랑 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2011

      3 이진원, "중국 소수민족 민가와 아리랑" 한국음악사학회 (29) : 597-612, 2002

      4 왕설, "조선족 아리랑 vs 강릉단오제"

      5 김연갑, "아리랑-그 맛, 멋 그리고…" 집문당 1998

      6 이창식,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한국공연문화학회 (21) : 449-489, 2010

      7 조용호, "아리랑 원형학" 학고방 2011

      8 박소현, "세계음악 <아리랑>을 통한 몽골과의 교유(交遊)" 한국몽골학회 (27) : 247-265, 2009

      9 김창석, "상해탄에 울려퍼진 아리랑" 연변인민출판사 2012

      10 이계환, "북한의 아리랑축전"

      1 강등학, "형성기 대중가요의 전개와 아리랑의 존재양상" 한국음악사학회 (32) : 5-36, 2004

      2 김태준, "한국의 아리랑 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2011

      3 이진원, "중국 소수민족 민가와 아리랑" 한국음악사학회 (29) : 597-612, 2002

      4 왕설, "조선족 아리랑 vs 강릉단오제"

      5 김연갑, "아리랑-그 맛, 멋 그리고…" 집문당 1998

      6 이창식,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한국공연문화학회 (21) : 449-489, 2010

      7 조용호, "아리랑 원형학" 학고방 2011

      8 박소현, "세계음악 <아리랑>을 통한 몽골과의 교유(交遊)" 한국몽골학회 (27) : 247-265, 2009

      9 김창석, "상해탄에 울려퍼진 아리랑" 연변인민출판사 2012

      10 이계환, "북한의 아리랑축전"

      11 김청수, "대형조선족가무예술의 정품≪장백산아리랑≫"

      12 박치정, "고구려 아리랑" 도서출판 더썬 2012

      13 김기현, "「아리랑」 노래의 형성과 전개" 퇴계연구소 1 (1): 139-17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