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4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자살은 오늘날 개인 뿐 아니라 국가의 노력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구강건강은 건강증진을 위한 기본적...

      연구배경: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자살은 오늘날 개인 뿐 아니라 국가의 노력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구강건강은 건강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며, 개인의 구강건강상태는 상실치아의 수로 예측할 수 있다. 최근 구강건강과 정신건강의 관련이 보고되고 있으나,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1차년도(2013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자살변수에 결측이 없는 5,083명을 대상으로 상실치아 수를 세 그룹(0개, 1-3개, 4-28개)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혼란변수를 Model 1에서는 연령, 성별을 보정하였고, Model 2에서는 Model 1에 추가로 가구소득, 교육수준, 결혼상태, 만성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인식, 활동제한, 2주 연속 우울감 여부를 보정하였으며, Model 3에서는 Model 2에 추가로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유무의 혼란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Model 1, 2, 3 모두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 4-28개인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실치아 수와 자살시도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5.88배(95% Confidence Interval, CI: 1.99-17.3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가 각각 4.34배(95% CI: 1.46-12.85)와 3.62배(95% CI: 1.11-11.73)로 유의하게 높았다.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대상자만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1.76배(95% CI: 1.12-2.76)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4-28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 4-28개인 그룹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대상자만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상실치아 수와 자살시도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10.72배(95% CI: 3.16-36.3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가 각각 21.91배(95% CI: 3.71-129.39)와 11.25배(95% CI: 1.89-67.04)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상실치아 수가 4-28개인 경우, 특히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경우, 상실치아 수가 0인 경우에 비해 가구소득,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씹기, 말하기 문제를 보정한 후에도 자살시도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상실치아 수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상실치아 수의 상태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와 이를 적용한 자살 예방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of Study: As the death rate due to suicide shows increase trend every year, interest in suicide has increased has a social problem that national efforts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are needed today. Oral health is a fundamental element fo...

      Background of Study: As the death rate due to suicide shows increase trend every year, interest in suicide has increased has a social problem that national efforts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are needed today. Oral health is a fundamental element for promotion of health and the state of individual oral health can be predicted by the number of lost teeth. Although the relevance between oral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ported recently, studies on the relevance among the number of lost teeth와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still remain hard to find,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among the number of lost teeth와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Subjects and Methods of Study: This study conducted dental examination targeting adults over 19 years old using the data of the first year (2013)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number of lost teeth into three groups (0, 1-3, 4-28) targeting 5,083 without missing in suicide variable. To understand the relevance among the number of lost tee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this study revised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and gender in Model 1, revising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chronic disease, subjective recognition of health, activity limitation and depression for 2-weeks straight in Model 2 adding to Model 2, and conduc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revising confounding factors of chewing problem and speaking problem in Model 3 adding to Model 2.
      Results of Study: As for the relevance between the number of lost teeth and suicidal idea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roups with 1-3 and 4-28 lost teeth in Model 1, 2 and 3 as compared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With respect to the relevance between the number of lost teeth and suicide attempt, group with 1-3 lost tee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el 1 comparing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whereas odds ratio in group with 4-28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5.88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CI: 1.99-17.34). In Model 2 and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with 1-3 lost teeth as compared to the group that the number of lost teeth is 0, and odds ratio in the group with 4-28 lost teeth was significantly high as 4.34 times(95% CI: 1.46-12.85) and 3.62 times(95% CI: 1.11-11.73) respectively.
      In the stratified analysis targeting subjects without prosthesis and implant, the relevance between the number of lost teeth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el 1 as odds ratio in the group with 1-3 lost teeth was 1.76 times(95% CI: 1.12-2.76) comparing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whereas the group with 4-28 lost tee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del 2 and 3, groups with 1-3 and 4-28 lost tee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When analyzing by stratifying subjects without prosthesis and implant, the relevance between the number of lost teeth and suicide attemp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with 1-3 lost teeth comparing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whereas odds ratio in the group with 4-28 lost tee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10.72 times(95% CI: 3.16-36.35). In Model 2 and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group with 1-3 lost teeth comparing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and odds ratio of the group with 4-28 lost teeth was significantly high as 21.91 times(95% CI: 3.71-129.39) and 11.25 times(95% CI: 1.89-67.0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he risk of suicide attempt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with 4-28 lost teeth especially without prosthesis and implant even after chewing and speaking problem as well as socioeconomic level like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were revised as compared to the group with 0 lost teeth.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e way that it investigated and revealed that the number of lost teeth has independent relevance to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Follow-up studies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the number of lost tee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in many respects, and continuous efforts for prevention of suicide by applying the foregoing are considered necessary in the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